Login

밴쿠버 녹색 개발의 상징 올림픽 선수촌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8-08-23 00:00

내년 11월 완공 예정… 높은 가격에 분양은 미완

2010년 밴쿠버 동계올림픽 선수촌은 두 군데 세워진다. 하나는 밴쿠버시내 펄스 크릭(False Creek)남동쪽에 있다. 노스 쇼어 산맥을 먼 배경으로 가까이 밴쿠버 내항 풍경이 보이는 펄스 크릭 선수촌은 140만 제곱피트(약 4만평) 공간에 16동의 건물과 1개의 커뮤니티 센터로 이뤄진다. 또 다른 선수촌은 위슬러 인근 체카머스 밸리(Cheakamus Valley)에 건설 중이다. 올림픽 준비위원회(VANOC)는 선수촌 위치에 따라 밴쿠버 선수촌, 위슬러 선수촌으로 둘을 나눠 부르고 있다.

밴쿠버 선수촌은 요즘 녹색 개발을 하려는 이들 사이에서는 화제가 되고 있다. 아파트 건물들은 친환경공법의 국제적인 기준인 미국 그린빌딩위원회(USGBC)의  ‘에너지 및 환경설계 리더십(LEED)’ 등급에서 골드급으로 평가되고 있고 커뮤니티 센터는 이보다 한 등급 높은 플래티넘 급으로 건설 중이기 때문이다.

일반인에게 생소한 개념이지만 LEED 등급이 높다는 것은 결국 건물 관리비가 많이 절약된다는 얘기와 같다. 올림픽 선수촌 지붕에는 태양열 집열판이 설치돼 난방을 돕는다. 여기에  ‘그린 루프’ 기능을 통해 빗물을 축적해 난방용수와 조경용수로 사용하게 된다.

두터운 외벽 안에는 건물 내벽과 면한 파이프로 흐르는 물을 이용해 냉난방을 제공하는 ‘인슬랩 하이드로닉 시스템(in-slab hydronic system)’이 설치된다.

심지어 하수도 파이프에서 자연 발생하는 열마저 열교환기를 이용해 건물 냉난방에 사용한다. 물을 많이 소모할 것 같지만 사용하는 만큼 빗물을 저장하는 이른바 ‘워터 뉴트랄리티(Water Neutrality)’ 구조를 취했다.

선수촌 전체는 보행자 우선 원칙을 따른다. 사실 지상에서는 차를 보기가 어렵다. 차들은 모두 지하 주차장에 수납되도록 설계했기 때문이다. 캐나다 지방자치제 연합(FCM) 건축프로그램 담당 매니저 칼멘 본씨는 “캐나다 국내 개발은 자동차보다 자전거를, 자전거보다 보행자를 우선하며 선수촌도 마찬가지 개념으로 건설된다”고 설명했다.

현재 구조 공사는 거의 끝난 상태로 외벽과 창문 공사를 진행 중인 1100세대로 구성된 밴쿠버 선수촌은 2009년 11월 중에 완공 예정이다. 단, 내년 완공 후에도 구매자들은 입주를 하지 못한다. 9월부터 올림픽 행사를 위한 가설 시설 공사가 들어갈 예정이다. 그리고 2010년 2월이 되면 2800명의 선수단이 밴쿠버 선수촌을 사용하게 된다. 올림픽이 끝나면 3월부터 가설 시설 철거 공사를 시작해 4월7일 이후부터 구매자 입주가 가능해질 예정이다.

첨단 친환경 구조와 펄스 크릭이라는 매력적인 입지에 반해 가격은 매력을 더해주지 못한다.

2007년 11월 분양 개시 당시 선수촌 초기 분양가는 600평방피트(16.85평)에 최저가 45만에 시작했다. 꼭대기 층은 350만달러에 나왔다. 첫날 판매는 2억달러 어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가격과 입주시기가 걸림돌이 돼 현재까지 분양이 모두 완료되지 못했다. 밴쿠버 다운타운 등 인근 지역 개발 콘도에 비해 가격이 월등히 높은 데다가 입주시기도 2010년 4월 이후로 입주자들은 새 집이 아닌 선수들이 사용했던 집을 넘겨받게 되기 때문이다. 올림픽 선수촌이라는 ‘역사적 가치’를 내세우고 있으나 이 역사적 가치가 얼마만한 금액으로 환산될지는 미지수다.

한편 반드시 선수촌 주택을 구입해야 입주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많은 내용이 아직 미정이지만 선수촌에서 약 250세대 가량은 소셜 하우징(Social housing)으로 일정 임대료를 지불하는 조건으로 저소득층 입주가 가능해질 예정이기 때문이다.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