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동포들에게 캐나다 주제로 강연하고 싶습니다”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8-03-10 00:00

한국에 캐나다학과 최초 개설한 문영석 강남대 주임교수

강남대학교에 2001년 한국 최초의 캐나다학과를 개설한 문영석 주임교수(사진)가 안식년을 맞아 밴쿠버를 방문했다. 한국에 캐나다학과가 개설된 지 8년째를 맞지만, 아직은 낯선 캐나다학에 대해 문 교수를 만나 얘기를 들어봤다. 문 교수는 9월 웨스턴 온타리오대 강의를 위해 떠나기 전까지 밴쿠버에서 한인사회를 위한 강연 활동을 계획하고 있다.  한국 캐나다학회 회장을 지낸 문 교수는 현재 한카교류재단 회장을 맡고 있다.

-캐나다학은 최근에 생긴 학문인가?
“한국에 학과가 생긴 것은 근래지만 학문은 오래됐다. 1998년부터 2000년 사이 한국 사회에서는 캐나다 이민 바람이 불었다. 새로 이민 가려는 사람들에게 캐나다는 미국의 대안으로 떠올랐다. 이때 한국 정부도 세계화를 추진했고, 캐나다 정부도 대사관을 통해 적극적으로 지원을 해서 학과가 개설됐다.”

-캐나다학의 정수는 무엇인가?
“캐나다인의 가치, 이상, 철학을 전파하는 것이 캐나다학이다. 캐나다학은 지역학으로, 과정의 1/4 가량은 영어에 집중돼 있다. 캐나다의 역사, 정치, 사회, 문화 등을 배우게 된다. 3학년 학생들은 웨스턴 온타리오대에서 1년간 유학을 하게 된다.”

-캐나다 정부가 학과 개설을 지원한 배경은?
“국제화가 되면서 자국의 이미지를 먼저 팔지 않으면 상품을 팔기 힘든 시대가 됐다. 사람들은 전혀 들어본 적이 없는 문화는 야만시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잘 알려지지 않은 국가의 상품은 사지 않는다. 경제 2위 일본만 해도 100년 전부터 일본 문학이나 정원 등 자국 문화를 전세계에 먼저 확산시켰고 이를 배경으로 상품을 팔았다. 상품광고는 단기간이지만 문화는 영속적인 힘이 있다. 이 점을 캐나다도 잘 알고 있다.”

-캐나다학을 하는 사람들은 얼마나 되는가?
“현재 캐나다학과는 전세계 34개국에 뻗어있으며 40만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이 학문을 닦고 있다. 가장 먼저 캐나다학과를 개설한 것은 미국이다. 미국은 국제사회경영을 위해 오래 전에 캐나다학 같은 ‘지역학’을 만들어낸 만큼, 캐나다학 인원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다. 한국은 일본과 중국에 비해서는 규모가 아직은 작다.”

-한국인의 일반적인 캐나다 인식은 어느 정도인가?
“아직 사회보장제도가 잘돼있는 경치 좋은 나라 정도의 인식을 갖고 있다. 캐나다인들도 한국에 대한 인식이 깊지 않아 양국간에 왕래가 더 필요하다. 한국 사람들이 캐나다 교육분야의 힘과 첨단기술에서 성취를 보지 못하는 점이 가장 아쉽다.”

-캐나다학의 현재와 미래는 어떤가?
“지역학은 지역간에 왕래가 있을수록 발전하는 성격을 갖고 있다. 한국과 캐나다는 현재 인적 교류가 활발한 국가로, 향후 경제교류가 커질 것이다. 인적 교류가 있으면 사람이 빈손으로 다닌다. 반드시 경제가 따라가기 때문에 양쪽의 이해관계가 커질수록 캐나다학도 그 규모가 커질 것으로 본다.”

-동포사회를 대상으로 활동계획이 있는가?
“그 나라에 아무리 오래 살아도 사회 현상과 제도의 배경이 되는 문화, 역사, 철학을 모르면 그 나라를 안다고 말 못한다. 한인들이 알아야 할 캐나다의 문화, 사회, 철학에 대해 강연하고 싶다.”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1997년 한국 외환위기 이후 처음
캐나다 달러대비 원화환율이 1000원을 넘어섰다. 14일 외환은행 고시기준 매매기준율은 1015.37원을 기록했다. 원화환율이 1000원대를 돌파한 것은 1997년 한국 외환 위기 이후 처음이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환율급등으로 인해 한국에서의 송금은 물론 유학생,...
보석감정사에서 트럭 운전사로…이경화씨
보통 사람은 보기만해도 엄두가 나지 않는 10만3500파운드짜리 대형트럭. 괴물 같은 이 덩치를...
캐나다 달러가 크게 상승하면서 캐나다 달러대비 원화환율이 1000원대를 눈앞에 두고 있다. 13일 외환은행 고시기준 매매기준율은 991.92원이었다. 한국에서 캐나다로 송금하려는 경우는 이미 1000원을 넘어선 상태. 이날 토론토 외환시장에서 거래된 캐나다 달러...
봄 향기 솔솔 2008.03.10 (월)
전남 광양시 다압면 매화마을에 매화가 만발했다. 8일부터 16일까지 이 일대에서 광양매화축제가 열려 절정을 이룬 매화의 모습을 볼 수 있을 전망이다.
한국에 캐나다학과 최초 개설한 문영석 강남대 주임교수
강남대학교에 2001년 한국 최초의 캐나다학과를 개설한 문영석 주임교수(사진)가 안식년을 맞아 밴쿠버를 방문했다. 한국에 캐나다학과가 개설된 지 8년째를 맞지만, 아직은 낯선 캐나다학에 대해 문 교수를 만나 얘기를 들어봤다. 문 교수는 9월 웨스턴 온타리오대...
BC주택건설협회 M.J. 화이트마쉬 대표
지난 2월 7일 밴쿠버 다운타운 웨스틴 베이쇼어 호텔에서는 800여명의 건설업계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조지상(Georgie Awards®) 성대한 시상식이 거행됐다. 성대한 디너 파티로 BC주 건설업계 실력자들이 한자리에 모두 모이는 이 행사는 BC주택건설협회(CHBA BC)의 M.J....
3월1일과 2일 양일간 코퀴틀람 매킨 파크에서는 불어계 캐나다인들의 축제 페스티발 듀 보아가 개최됐다. 올해로 19번째를 맞이하는 축제는 서부 캐나다 지역에서 프랑스계 캐나다인 문화를 소개하는 가장 큰 행사로 자리 잡고 있다.     권민수...
29일 충남 천안시 병천면 유관순 열사 기념관 광장에서 열린 3·1절 기념 봉화제에서 시민들이 횃불을 들고 만세를 부르고 있다. 이들은 유관순 열사가 만세운동을 벌였던 아우내 장터까지 행진을 했다. 밴쿠버에서는 한인회 주최로 3월 1일 오전 11시부터...
"오늘은 핑크!" 2008.02.28 (목)
27일 한 학교에서 열린 ‘핑크 입는 날’(Wear Pink Day) 행사에서 분홍색 옷을 입은 학생들이 또래 학생과 교사들의 얼굴에?핑크색 물감을 칠해주고 있다. 이날 행사는 지난해 9월, 9학년 남학생이 개학 첫날 단지 분홍색 옷을 입고 왔다는 이유만으로 몇몇 학생들에게...
26일 미국의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가 역사적 북한 공연을 가진 평양의 동평양대극장에서, 미국 국가가 연주되는 동안 관람객들이 기립해 있다. 공연장 왼쪽과 오른쪽으로 각각 미국 성조기와 북한 인공기가 보인다. 이날 공연은 전세계에 생중계됐다.
이명박 대통령이 2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대통령 취임 선서를 하고 있다
밴시티 어카운트 매니저 최범씨
지역사회 발전 환경보호 위해 노력 매년 조합 멤버들에게 수익금 배당 캐나다 영어권 최대의 신용조합(Credit Union)으로 BC주에서는 여느 메이저 은행 못지 않은 지점 수와 자금력을 자랑하는 밴시티가 한인 커뮤니티와의 접점을 마련했다. 최근 새롭게 문을 연...
  세르비아 시위대 15만여 명이 21일 수도 베오그라드의 정부 청사 앞을 가득 메우고, 지난 17일 세르비아 내 코소보가 일방적으로 독립을 선언한 것을 규탄하고 있다(사진 위). 시위대는 또 코소보 독립을 인정한 미국 정부에 항의하며 베오그라드 소재 미국...
캐나다 국민에게 수여되는 최고의 명예 훈장인 ‘오더 오브 캐나다(Order of Canada)’수여식이 22일 총독관저 리도 홀에서 열렸다. 이번 수여식에서는 장 크레티엥 전 총리를 비롯해 게리 슈와츠 오넥스사 회장, 재즈가수 몰리 존슨 등 38명이 훈장을 받았다. 미카엘 장...
▲ 정월대보름을 이틀 앞둔 19일 오후 전남 함평군 월야면 영월리 달맞이공원에서 마을 주민들이 한해 풍년과 건강을 기원하며 달집을 태우고 있다.
UBC 엔지니어링 학생들이 스스로 개발한 이동 모형기계를 캠퍼스 내에서 시범 운행하고 있다. 정영한 인턴기자(UBC 2학년) peteryh22@gmail.com  
 숭례문 화재 사건의 유력 용의자 채모씨가 12일 오전 서울지방경찰청에서 남대문 경찰서로 이송되고 있다. 
▲ 국보 1호 숭례문이 화재로 사라졌다. 사진 위는 화마에 휩싸여있는 숭례문의 모습. 사진 아래는 처참한 폐허로 남은 숭례문의 모습 / 조선일보
홍현승씨, ‘순수문학’지 문학평론가로 데뷔
“문학평론은 누군가의 글을 비평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작가와 독자의 중간에서 서로의 공감대를 이어주는 교량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독자가 접근할 수 없는 부분을 쉽게 풀어서 해석해 문학적인 가치를 걸러 독자들에게 전달해주고, 이것은 작가의...
설날 축하 공연 2008.02.07 (목)
음력 설날이 캐나다 사회에도 조금씩 자리잡고 있다. 복합문화주의를 지향하는 캐나다에서는 아시아 문화권의 새해 첫날인 7일을 전후에 다양한 행사가 열리고 있고, 많은 주민들이 함께 음력 설 행사를 즐기고 있다. 사진은 최근 한인타운과...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