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밴쿠버 집값 상승세 2년간 지속될 것"
밴쿠버 주택가격 상승세가 향후 2년간 지속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밴쿠버에서 주택 구입을 희망하는 이들에게 안타까운 소식이 될 전망이다.센트럴 원(Central 1) 신용조합 수석 경제전문가 브라이언 유(Yu)는 12일 "2017년까지 BC주 주택가격 상승세가 계속될 것"이라고 밝혔다.유는 BC주 평균 주택가격이 올해 6% 오른 42만5000달러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이후 2년간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2017년에는 46만2000달러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특히 메트로밴쿠버 주택가격 상승세가 심화되면서 밴쿠버의 경우 주택 중간가격이 100만달러까지 치솟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주변에도 영향을 끼쳐 칠리왁, 애버츠포드 등의 주택가격도 동반 상승할 것으로 예측된다.BC주 주택가격 상승세는 끊임없는 수요와 이에 따른 토지 부족의 영향으로 인한 것이라고 유는 설명했다.박준형기자 jun@vanchosun.com<▲가을 하늘 아래 밴쿠버 고층아파트. 박준형기자 jun@vanchosun.com>
박준형 기자
2015-11-12 14:09:49
-
주택 시장 조정, 젊은 세대에겐 큰 부담
주택 시장이 조정을 받게 될 경우 이로 인한 경제적 피해는 상대적으로 젊은 집주인들 사이에서 더욱 크게 나타날 수 있다. 캐나다대안정책연구소(CCPA)에서 나온 경고다.CCPA는 9일자 보고서를 통해 부동산 가치가 20% 하락한 후의 시장을 예측했다. 만약 이 전망대로라면 국내 40세 미만 16만9000세대의 부채 부담이 순자산 규모를 넘어서게 된다. 살고 있는 집을 처분해도 남는 것은 빚 뿐일 거라는 얘기다.관련 수치를 살펴보면 내 집 마련의 꿈은 주로 빚에 의존해 이루어진다. CCPA는 1999년 이후 소득 대비 부채 비율이 두 배 가까이 급증했다고 전했다. 현재 소득이 1달러라면 부채는 4달러다. 이는 전 연령대에서 공동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이러한 상황에서 집값 거품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캐나다중앙은행에 따르면 국내 집값은 현재 10%에서 30% 고평가됐다.CCPA 는 “부동산 가격이 20% 내려갈 경우 30대에 해당되는 주택 소유주는 평균 6만달러 혹은 순자산의 39%를 잃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문용준 기자 myj@vanchosun.com
문용준 기자
2015-11-10 11:12:41
-
새 이민자, 주택 구매 숨통 트인다
캐나다 은행 RBC가 주택담보대출의 일종인 모기지론(mortgage-loan) 제한을 없애면서 새로운 이민자들의 주택 구매가 용이해질 전망이다.6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RBC는 밴쿠버 새로운 이민자들을 대상으로 모기지론 한도를 둔 내부 규정을 폐지했다.RBC 다문화시장 담당자인 크리스틴 시슬러(Shisler)는 "지난 5월부터 캐나다 신용기록이 없는 대출자들에게 내부적으로 정한 모기지 대출 상한선 125만달러 규정을 폐지했다"고 밝혔다.시슬러는 "우리는 높은 가격의 주택을 찾는 많은 부유한 새 이민자들을 지켜보고 있다"며 "이제는 모든 주택담보대출 금액을 서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다만 RBC는 모기지론을 희망하는 새로운 이민자들의 신용 평가는 철저히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시슬러는 "당연히 고객들의 자금력을 평가한 후 모기지론을 줄 것"이라고 설명했다.<▲가을 하늘 아래 높게 솟은 밴쿠버 고층 아파트. 박준형기자 jun@vanchosun.com>RBC의 모기지 대출 상한선이 폐지됨에 따라 새로운 이민자들의 주택 구입에 숨통이 트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최근 급증하고 있는 메트로밴쿠버 고급 주택 구매를 희망하는 중국인들의 호응이 뜨거울 전망이다.도시계획 전문가인 앤디 얀(Yan) UBC 겸임교수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최근 밴쿠버 서부에서 신규 분양된 단독주택 172채 중 66%의 구매자가 중국 이름을 가진 것으로 집계됐다. 400만~500만달러 단독주택의 경우 구매자의 94%가 중국인이었으며, 500만달러 이상의 경우에는 88%가 중국인이었다.하지만 일각에서는 재정건전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 정부가 금융권의 무분별한 대출을 규제할 수 있는 규정을 갖고 있지 않아 향후 집단대출이 부실화될 가능성도 있다는 지적이다.박준형기자 jun@vanchosun.com
박준형 기자
2015-11-06 15:51:09
-
-
밴쿠버부동산協 “구매자가 10월 거래량 예년보다 높게 끌어올렸다”
밴쿠버부동산협회(REBGV)는 10월 부동산 시장 동향 보고서를 통해, 부동산 중개 전산망인 멀티플리스팅서비스(MLS) 기준 10월 거래량이 3646건으로 2014년 10월 3057건보다 19.3% 증가했다고 3일 발표했다. 10월 거래량은 올해 9월 거래량 3345건보다 9% 늘었다. 또 올해 10월 거래량은 지난 10년간 10월 평균 거래량을 36.2% 초과했다.
달시 맥클라우드(McLeod) REBGV회장은 “주택 매물은 지난 5년래 가장 적은 상태지만, 주택 판매는 예년보다 ⅓이상 늘어났다”며 “이런 장세는 요즘 주택을 판매하려는 이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10월 메트로밴쿠버 내에서 새로 나온 주택 매물은 총 4126건으로 지난해 10월 4487건이 나온 데 비해 8% 줄었다. 메트로밴쿠버 MLS에 등록된 전체 매물은 9569건으로 지난해보다 30% 적고, 올해 9월보다도 11.4% 줄었다. 메트로밴쿠버 주택 매물수는 2010년 12월 이래로 최소다.
MLS주택가격지수 종합 벤치마크 가격은 현재 73만6000달러로 12개월 사이 15.3% 올랐다.
매물대비판매율은 10월에 38.1%를 보였다. 일반적으로 시장 분석가들은 특정 지역내 매물대비판매율이 일정 기간 12% 선 이하일 때 주택가격 하락세가 등장하고, 20% 선 이상일 때 상승세를 탄다고 보고 있다.
메트로밴쿠버 단독주택 거래량은 10월 중 1437건으로 지난해 10월 1271건보다 13.1%·2013년 10월 1067건보다 34.7% 증가했다. 단독주택 벤치마크 가격은 2014년 10월보다 20.1% 오른 119만7600달러다.
아파트 거래량은 10월 중 1543건으로 지난해 10월 1268건보다 21.7%·2013년 10월 1098건보다 40.5% 각각 늘었다. 아파트 벤치마크 가격은 2014년 10월보다 11.4% 오른 42만5800달러다.
타운홈 거래량은 10월 중 666건으로 지난해 10월 518건보다 28.6%· 2013년 10월 496건보다 34.3% 더 많이 매매됐다. 타운홈 벤치마크 가격은 2014년 10월보다 9.3% 오른 52만6700달러다.
권민수 기자/ms@vanchosun.com
권민수 기자
2015-11-06 12:58:11
-
프레이저밸리 부동산協 “시장 둔화의 조짐이 보이지 않는다”
프레이저밸리부동산협회(FVREB)는 3일 10월 부동산 시장 동향을 발표하면서 “낮은 금리와 강한 수요로 인해 판매자에게 유리한 장세가 유지됐다”고 밝혔다.
부동산 중개 전산망인 멀티플리스팅서비스(MLS) 기준 10월 지역 거래량은 1772건으로 2014년 10월 1448건보다 22% 늘었다. 예년 10월과 비교할 때 올해 10월 거래량은 2005년 10월과 동등한 수준이다. 올해 10월보다 10월 거래량이 많았던 해는 1992년과 1989년이 유일하다.
2005년 경기후퇴 이전 주택 거래량이 최고점에 이른 해다. 1989년과 1992년은 각각 영국의 홍콩 반환 계획 발표와 중국 반환을 앞두고 홍콩계의 캐나다 이민 열풍으로 부동산 시장이 달아올랐던 해다.
조르다 메이지(Maisey) FVREB회장은 10월 거래량이 거의 역사적인 수준에 이른 점은 놀랍지 않다며 “BC주는 계속 캐나다 경제성장의 선두에 서있어 이런 상황이 주택 시장에도 반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메이지 회장은 “프레이저밸리에서는 토지를 소유할 수 있는 주택에 대한 수요가 높아, 단독주택과 타운홈이 지난 달 주택 거래량의 83%를 차지했다”며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낮은 금리에 눌려있던 수요의 분출에, 가장 중요한 요소는 가격 때문으로, 프레이저밸리에서는 여전히 접근가능한 가격대 단독주택을 찾아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프레이저밸리에서 10월 새로 나온 매물은 2155건으로 지난해 10월보다 10% 감소했다. 전체 매물은 6535건으로 역시 지난해 10월 8807건보다 26% 줄었다.
메이지 회장은 부족한 매물로 인해 판매자가 유리하다며 “지역 내 일부에서는 단독주택 매물이 지난해 이때쯤 보다 ⅓ 또는 ½ 수준에 머무러 희소성이 높아지면서 가격 상승의 원인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MLS주택가격지수 기준 단독주택 벤치마크 가격은 64만9200달러로 지난해 10월 57만3500달러보다 13.2% 올랐다. 타운홈 벤치마크 가격은 5.1% 오른 31만3700달러다. 지난 해 10월 타운홈 벤치마크 가격은 29만8500달러였다. 아파트 벤치마크 가격은 5.5% 오른 20만3100달러로 집계됐다. 아파트 벤치마크 가격은 지난해 10월 19만2600달러였다.
메이지 회장은 “토지가 있는 주택 매물 부족은 콘도 시장에는 긍정적인 전환을 일으키고 있다”며 “첫 주택을 장만하려는 이들은 타운홈보다는 아파트를 보라고 조언하고 있는 데, 평균 10만달러 저렴한 가격에 선택의 폭이 더 넓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메이지회장은 많은 구매자가 새로 나온 아파트와 기존 재판매 매물 중에 선택할 수 있다는 점을 잘 모르고 있다고 덧붙였다.
권민수 기자/ms@vanchosun.com
권민수 기자
2015-11-06 12:57:06
-
“주택가격 중국인이 올렸다” 보고서 후폭풍
밴쿠버 서부 주택 가격을 중국인이 올렸다는 앤디 얀 UBC 겸임교수 보고서와 관련해 인종차별 논란이 빚어지고 있다. (본보 11월 4일자 지면보도)
페어차일드 라디오 등 일부 중국계 언론은 단 172건의 거래 내용을 분석한 보고서로 결론을 내기에는 표본 크기가 지나치게 작다며, 이 보고서로 인해 인종차별이 발생할 수 있다는 중국계 커뮤니티의 우려를 전했다.
한편 관련 보고서의 후속 보도로 글로브앤 메일지 등 일부 캐나다 언론은 “주택구매자 데이터를 BC주정부가 더는 숨겨서는 안된다”며 대책을 촉구했다. 글로브앤 메일지 관련기사는 “중국에서 온 구매자가 집을 산 후에 집을 비워둔다는 이야기가 끊임없이 나오고 있다”고 지적했다. 각 신문사 투고를 통해 공개된 트뤼도 총리에게 보내는 유권자 서신 중에는 외국인의 밴쿠버 시내 주택 소유를 제한하고, 외국 소득에 대한 국세청의 감시를 더욱 철저히해 고급주택에 거주하면서도 세금을 내지 않는 사례는 막아달라는 청원도 있다.
자유당(Liberal)은 구체적인 내용은 없으나, 저스틴 트뤼도(Trudeau)총리는 밴쿠버나 토론토 같은 평균 주택가격이 높은 지역에 대해 투기가 생활비 상승의 원인인지 조사하고, 캐나다인이 주택을 구매할 수 있게 정책적 도구를 점검해보겠다 밝힌 바 있다.
이와 관련해 캐나다 일각에서는 외국인 주택 구매를 허가제로 하면서 구매시 특별세를 과세하고, 집에 살지 않을 때는 부재자토지세(absentee land tax)를 추가로 부과하는 호주식 제도 도입을 검토하자란 목소리도 있다. 반면에 이 같은 과세가 오히려 집값 상승을 더욱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도 팽팽하다.
권민수 기자/ms@vanchosun.com
권민수 기자
2015-11-05 14:42:29
-
밴쿠버 집값 폭등 주범은 '중국인'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는 밴쿠버 주택가격 상승의 주범으로 중국인 투자자들이 지목됐다.3일 도시계획 전문가인 앤디 얀(Yan) UBC 겸임교수가 지난해 8월부터 지난 2월까지 밴쿠버 서부에서 신규 분양된 단독주택 172채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한 결과 주택 구매자의 66%가 중국인인 것으로 나타났다.172채 전체 주택가격은 5억2500만달러였으며, 1채당 평균 가격은 306만달러였다. 가격별로는 200만~300만달러가 73채로 가장 많이 팔렸다. 125만~200만달러는 44채, 300만~400만달러는 23채 거래됐으며, 400만달러 이상도 32채나 팔렸다.특히 400만~500만달러 단독주택의 경우 구매자의 94%가 중국인인 것으로 집계됐다. 500만달러 이상 주택의 경우에는 88%가 중국인이었다.주택 구매자의 직업을 살펴보면 수입이 적은 가정주부가 가장 많은 것으로 드러나 놀라움을 자아냈다. 전체 구매자의 23%가 가정주부였다. 사업가는 18%로 뒤를 이었다. 회사 간부와 자영업자는 4%였으며, 학생도 4%를 차지했다.전체 주택 구매자의 18%는 주택담보대출(모기지) 없이 현금으로 주택을 거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소유의 주택 중 5채도 모기지 없이 구매한 것으로 드러났다.얀 교수는 신민당(NDP) 데이비드 에비(Eby) BC주의원으로부터 제공받은 자료에 명기된 주택 구매자들의 이름을 토대로 이번 연구를 진행했다. 이에 따라 영어식이 아닌 중국 이름을 모두 중국인으로 분류했기 때문에 실제와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다만 이번 연구는 중국인들이 실제로 밴쿠버에 거주하지 않으면서 투기의 목적으로 주택을 구매하고 있다는 일각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분석된다.얀 교수는 "캐나다는 주택 구매자의 국적을 취합하지 않고 있어 이번 연구가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면서도 "영어식이 아닌 중국 이름을 가진 구매자들은 최근 캐나다로 이주한 중국인일 가능성이 높다"고 강조했다.박준형기자 jun@vanchosun.com<▲지난 6개월간 밴쿠버 서부 단독주택 구매자 비율>
박준형 기자
2015-11-03 15:21:24
-
-
밴쿠버에서 가장 비싼 침실 1개형 아파트는?
<▲ 밴쿠버에서 가장 비싼 침실 1개형 아파트 내부 >메트로밴쿠버에서 가장 값비싼 침실 1개형 아파트는 밴쿠버시내 혼비가 1102번지(Hornby St.)의 아르테미시아빌딩 301호다. 1327ft² 면적의 이 아파트 가격은 159만8000달러다. 이어 하우가 1480번지(Howe St.)의 밴쿠버하우스 2811호는 면적 835ft²에 가격은 116만8000달러로 두번째로 비싼 ‘작은’ 아파트다. 3위는 다시 혼비가로 돌아가서 1625번지에 있는 시워크노스 1702호로 920ft²에 99만8000달러다. 4위는 밴쿠버 다운타운에서 벗아난 유니온가(Union St.) 221번지의 803호로 94만8000달러에 1251ft² 아파트가 매물로 나왔다. 5위는 웨스트 서드애비뉴(W.3rd Ave.) 2445번지의 캐리지하우스 1006호다. 1129 ft²가 89만9000달러에 나왔다.
이어 6위 스미스뮤즈(SMithe Mews)의 쿠퍼스아웃룩의 29호 1072 ft² 88만8000달러· 7위 파웰가 34번지(Powell St.)의 더글로브 6A호 1362 ft² 85만달러· 8위 리처드가(Richards St.) 1280번지의 그레이스빌딩 501호 1100 ft² 83만9800달러·9위 캠비가(Cambie St.) 827번지 레플즈빌딩의 아파트 1193ft² 79만9900달러·10위 시무어가(Seymour St.) 1372번지의 더마크 3205호 795ft² 79만5000달러 순이다.
Business in Vancouver (BIV)
밴쿠버 조선일보는 BIV와 제휴해 기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권민수 기자
2015-10-30 11:30:06
-
“적정가 임대 주택 공급 늘린다”
지난 19일 연방총선에서 자유당(Liberal)이 집권당이 되면서 캐나다 부동산 시장에도 영향이 있을 전망이다. 이 가운데 현재 부동산 시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인 기준금리는 현재 바닥 상태를 유지할 수 밖에 없다는 발표가 조종간을 잡은 기관으로부터 나왔다.
<▲향후 부동산 정책은?… 저스틴 트뤼도 자유당 대표가 20일 오타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총리 취임 및 내각 구성 방향과 정책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자유당 >◆ 중앙은행 기준금리 0.5% 유지… 올해 저성장
업계의 관심사로 떠오른 부분은 중앙은행의 경기부양을 위한 최저금리 유지 여부다. 여기에 대해 중앙은행은 21일 기준금리를 0.5%로 유지하겠다고 발표했다. 중앙은행은 올해 7월 기준금리를 사상 최저 수준인 0.5%로 낮춘 후 계속 이를 고수하고 있다. 중앙은행은 기준금리 보고서와 통화정책 보고서를 통해 “지난 7월 예상대로 캐나다 경제는 다시 반등하고 있다”며 “그러나 유가와 기타 자원 가격이 여름 이후 더 낮아지면서 캐나다의 무역·투자 분야를 아래로 당기고 있다”고 발표했다. 중앙은행은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내려 발표하면서 경기 부양의 필요성을 강조해 최저금리가 유지될 가능성을 내비쳤다. 중앙은행은 캐나다 경제가 실질GDP기준 올해 단 1% 성장하고, 2016년에는 2%· 2017년에는 2.5%로 회복세를 보인다고 예상했다.
◆ 자유당 부동산 정책은 “적정가격선의 임대 주택 보급"
내년 국정의 지휘봉을 쥘 자유당(Liberal)의 부동산 정책 기조는 “적정가격선의 주거(affordable housing)”로 요약된다. 자유당 공약집을 보면 적정가격의 기준은 소득의 30%를 넘지 않는 선에서 주거를 해결할 수 있게 하겠다는 것이다. 자유당은 캐나다의 8가정 중 1가정이 적정가격선의 주거를 찾지 못하고 있다고 밝혀다.
자유당의 해법은 200억달러를 향후 10년간 사회 시설에 투자해 적정가격에 이용할 수 있는 임대 주거 공간을 공급하겠다는 것이다. 임대 전용 주택에 대한 GST 100% 환급·수리 지원 예산 1억2500만달러 지원 공약 등은 모두 임대 주택 공급 활성화를 밑받침하는 내용이다. 만약 자유당 계획대로 시행된다면 노인·중저소득층 대상 임대 주택 공급량이 대량 늘어나게 된다.
또 자유당 정부는 같은 맥락에서 임대용 주택을 더 많이 짓도록 민간을 자극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캐나다주택모기지공사(CMHC)의 역할을 넓히고, 캐나다시설개발은행(Canada Infrastructure Bank)을 신설해 민간 분야를 포함 사회적 기업·코옵·비영리단체들이 중·저소득층 대상으로 저렴한 임대주택 건설을 추진하도록 지원하겠다고 공약했다. 또한 이를 위해 연방소유지나 건물을 임대 주거용도로 염가에 재활용할 수 있는 길을 주정부와 시청 협의를 통해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 내 집 마련 쉬워질까? HBP 활용가능
이번 총선에서 보수당(Conservative)과 자유당이 내놓은 같은 성격의 공약으로 주택구매계획안(Home Buyers Plan∙약자 HBP)의 현대화가 있다. 많은 캐나다인은 공립연금 외에도 노후를 대비해 RRSP(세금이연효과가 있는 사설금융투자 상품)에 적립하고 있다. HBP란 RRSP 투자금 일부를 빼서 생애 첫 주택 구매 시 다운페이먼트로 활용하고, 이를 장기 무이자로 재적립하도록 한 제도다. 즉 HBP를 활용하려면 일정 금액을 RRSP에 적립하고 있어야 한다. 현행 HBP로 활용할 수 있는 액수는 1인당 2만5000달러, 부부합산 5만달러로, 자유당 정부는 이 제한을 더 높게 잡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자유당은 공약을 통해 HBP와 유사하게, 인생의 큰 변화가 있어 자금이 필요할 때 일정 금액을 무이자로 빼서 쓰고 재적립할 수 있게 할 계획이다. 예컨대 직업 변경·배우자 사망·이혼·부모나 조부모를 한 지붕 안에 부양하게 됐을 때도 RRSP 일부 이용을 허용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자유당 정부는 주택시장 감시 기관을 설립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밴쿠버나 토론토 같은 주택 가격이 높은 지역에 대해 투기가 가격 상승의 원인이 됐는지를 정책적인 도구를 통해 감독해 더 많은 캐나다인이 자기 집을 보유할 수 있게 하겠다고 약속했다. 주택시장 감시 기관이 사용할 ‘정책적인 도구’ 중에는 캐나다 통계청을 활용한 자체적인 주택·주거 통계 마련 계획이 포함돼 있다.
권민수 기자/ms@vanchosun.com
권민수 기자
2015-10-23 13:12:00
-
캐나다 집값, 얼마나 부풀려졌나
집값 거품론이 또다시 제기됐다. 이와 함께 캐나다인의 부채 부담이 너무 높다는 경고도 나왔다. 신용평가사 무디스와 경제 전문지 이코노미스트의 분석이다. 무디스는 우선 세계에서 집값 상승세가 가장 두드러진 도시로 밴쿠버와 토론토를 지목했다. 투자 심리가 지나치게 확대되면서, 향후에도 집값은 계속해서 오를 가능성이 있다. 문제는 이것이 소비자 부채 급증의 원인이 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코노미스트지는 평균 가처분 소득과 비교할 때 캐나다의 집값이 34% 고평과됐다는 입장이다. 가처분 소득 대비 부채 비율이 사상 최대치(165%)를 기록한 가운데 은행 등으로부터 빌린 돈의 대부분이 주택시장으로 흘러들어가면서 집값이 무섭게 치솟고 있다고 이코노미스트는 전했다. 동 잡지는 또한 지나치게 높은 부채 비율이 “내일의 골칫거리”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무디스는 주택담보대출(모기지) 월 상환 부담액이 크게 증가할 경우 채무자 중 대부분이 이를 감당하지 못할 수도 있다고 예상했다. 문용준 기자 myj@vanchosun.com
문용준 기자
2015-10-22 14: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