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뿌듯한 하루

조정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2-10-04 09:48

조정 / (사) 한국문협 밴쿠버지부 회원
  루틴이 몸과 마음을 변화시킨다. 부드러운 커피 향이 퍼지는 아침, 뜨거운 커피를 천천히 목 안으로 넘기는 일은 하루를 시작하는 저항감에서 벗어나는 의식이다. 아침 설거지를 끝내고 데크 난간에 매달린 모이통에 앉은 새들을 관찰하며 잠자는 근육과 정신을 깨운다. 푸른 숲을 내다보며 호흡을 가다듬고 생각을 모으는 일 또한 나의 소소한 아침 일과다. 달리기 출발선과 같은 하루의 시작, 커피의 카페인은 오늘의 경기를 위한 전략을 하나둘 전달한다. 다리의 보폭을 넓게 하고 근력, 순발력, 지구력을 모두 이용해 발을 빠르게 움직여야 한다고. 뿌듯한 마음으로 하루를 마무리하기 위해 오늘 해야 할 일들을 떠올린다. 서늘한 바람이 불고 이슬이 내리는 처서가 지난 오늘은 무씨를 뿌릴 준비 작업을 해야 한다. 상추 대와 쑥갓 대를 뽑고 퇴비를 뿌린 후 흙을 뒤집어 두둑을 만드는 일이다.  
 
  습관(habit)과 루틴(routine)은 둘다 반복하는 행동이란 공통점이 있으나, 얼마나 의도적으로 인지하고 행동하는가의 차이점이 있다. 습관은 무의식적으로 일어나는 경향이 있고 루틴은 더 강한 의도와 노력을 필요로 한다. 일상에서 규칙적으로 하는 일련의 행동인 루틴을 지키는 것은 생활의 틀을 세워 몸과 마음의 안정을 찾는 일이다.
하루의 일과 중 책 읽기와 글쓰기, 명상을 겸한 걷기, 텃밭 일 그리고 장보기, 조리, 청소 등 핵심적인 일과 부차적인 일을 구분해 시간을 잘 분배하려 한다. 책을 읽거나 글을 쓰다 집중력이 떨어질 때 집안일을 하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하지만 언제나 집안일이 우선순위에 놓이게 된다. 때론 삶의 진부함을 참아내며 집안일을 반복하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은 아니다. 무한 반복되는 부엌일 중 하루 세끼 반찬을 갖춰 온화한 얼굴로 밥상을 차리는 일은 깨달음의 경지에 오른 자비행이라 할 만하다. 장을 보고 재료를 다듬어 씻은 후 데치고 조리고 볶고를 반복하는 동안 ‘밥으로 복을 짓는다’고 의미부여를 하며 마음을 다잡는다. 가사노동은 충분히 보람 있다는 자기 암시는 가벼운 마음으로 일의 능률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음식을 만드는 수고로 건강은 물론 식탁에서 감사와 즐거움을 나누고 빨래와 청소 역시 장마철 햇살처럼 하루를 반짝이게 하는 일이기에.   
 
  작은 습관도 꾸준히 하다 보면 몰입과 집중을 키워 새로운 삶의 경지에 다다를 수 있다. 남편은 이민 후 5 Year’s Diary를 여섯 권째 쓰고 있다. 한 면에 5년의 간추린 일기를 쓸 수 있는 이 일기장은 구글 포토에 틈틈이 저장한 수많은 사진과 함께 과거로 날아가는 마법의 양탄자가 되어준다. 까마득히 잊고 지내던 집안 행사와 친지들과의 만남, 여행 등 살아온 흔적들을 함께 돌아볼 때면 기억 저편 아득한 장면들이 다시 살아 움직인다. 십여 년 꾸준히 기록한 남편의 텃밭일지 또한 귀중한 자료가 된다. 재배한 작물의 종류, 봄에 씨 뿌리기와 모종을 심는 시기, 거름을 주는 횟수, 병충해 예방법, 토마토 굵게 키우기, 가을 무 파종과 마늘을 심는 시기…, 이 기록은 다음 해 풍성한 텃밭 농사의 교과서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루틴은 일상에 활기를 불어넣어 나를 성장시킨다. 나는 일주일에 한 번 서평을 다루는 YouTube 영상을 빠짐없이 보고 있다. 숙련된 독서가인 사회자 두 사람과 저자 또는 관련 분야 전공자 모두가 선정된 책을 읽은 후 책 내용에 대한 각자의 의견을 토로하는 방송이다. 지금까지 존 스튜어트 밀의 <자유론>부터 조지 오웰의 <나는 왜 쓰는가>에 이르는 67회 방송분을 보았는데, 사회자들의 진정성 있는 진행은 내 영역 밖의 어려운 책들을 이해하는데 길라잡이가 되어준다. 가끔은 ebook으로 책을 구입해 읽으며 저자가 바라보는 세상과 저자와의 내적 소통으로 생각의 힘을 키우려 한다.   
루틴은 삶을 바꾼다. 하루를 긍정적 루틴으로 보내려는 의지는 자신의 무게 중심을 외부에 두지 않고 자신의 내부에서 찾으려는 노력이다. 꾸준히 쌓아 올린 자기 성장을 꾀하는 루틴은 어려움을 이겨낼 수 있는 회복탄력성을 만들고 언젠가 이룰 성취에 밑거름이 될 것이다. 긍정의 루틴은 어린 새가 하늘 높이 비상하기 위해 펼치는 작은 날갯짓이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지난 세월을 뒤돌아보면 눈물 나도록 고맙고 소중한 분들이 많이 있다. 그때는 감사하고 소중한 줄 몰랐는데 지금 생각해 보니 너무나 값지고 소중한 사랑이었다.첫째인 딸이 한 살 때였다. 우리는 광주 근교에 있는 교회 담임 전도사로 부임을 했다. 아무것도 모르는 풋내기 사모였지만 많은 사랑을 받았고, 그 교회에 있을 때 남편이 목사 안수를 받아 잊을 수 없는 사역지였다.새벽기도를 마치고 사택에 돌아오면 매일 아침 부엌문 앞에 비닐봉지가...
박명숙
꿈처럼 2022.11.16 (수)
다만 지나가는 바람 소리에어이 없이 잠이 깨이고고향의 말씨어디 없는가 서글퍼진다 청춘도 보내고노동도 바치고밤이 되어도다 울지 못한 가슴으로 잠이 든다. 조선이여 외지의 언어로시를쓰고 서너 달 긴 겨울 비 속에섬으로 떠서 나는내 귀향의 어느날을 바라본다 고향이 모두 그러하듯아주 머언 그리움처럼 그것은존재의 이유 생각으로는옛날의 친구들 그 속에 잠시 들렀다가반포 강변 마자막 살던 데도 기웃거려...
김영주
멀리서 빈다 / 나태주(사실적 시)어딘가 내가 모르는 곳에보이지 않는 꽃처럼 웃고 있는너 한 사람으로 하여 세상은다시 한 번 눈부신 아침이 되고어딘가 네가 모르는 곳에보이지 않는 풀잎처럼 숨 쉬고 있는나 한사람으로 하여 세상은다시 한 번 고요한 저녁이 온다가을이다, 부디 아프지 마라봄은 고양이로소이다 / 이장희(감각적 시)꽃가루와 같이 부드러운 고양이의 털에고운 봄의 향기가 어리우도다금방울과 같이 호동그란 고양이의 눈에미친 봄의...
이명희
만추 2022.11.16 (수)
길바닥에 떨어진 은행잎이노오란 융단을 펼치더니바람 불자 어깨춤을 추네융단을 조심스레 밞으며지그재그로 걸어가는데 단풍잎 한 장내 발목에 걸려 걸음을 멈추네속절없이 나뭇잎 하르르 쏟아지고난 하릴없이 길거리를 배회하네제 멋대로 날리는 낙엽을한 잎 두 잎 주워 담다가마음대로 되지 않는 세상살이 생각하네은행잎 밞으며 자박자박 함께 거닐었던그 사람도 한번 생각하다가애꿎은 낙엽 휘이익 날려보네
유우영
독고는 다이다! 2022.11.07 (월)
얼마 전 충격적인 일이 있었다. 야간근무 전담인 남자 간호사가 아무 연락도 없이 근무에 나타나질 않았다. 전화를 해봐도 받질 않고, 메시지마저 풀이라 남길 수가 없었다. 7년이란 세월을 함께 일해온 간호사인데, 그가 이랬던 적이 단 한 번도 없었었다. 무슨 사고를 당했나? 불길한 생각이 들었지만, 혼자 사는 간호사라 딱히 연락해 볼 곳이 없었다. 그렇게 걱정스런 밤이 지나고 다음 날, 그의 집으로 달려간 직원이 집 밖에 세워진 그의 차를...
박정은
그래요 2022.11.07 (월)
저 위에서 나를 이 땅에 보내실 때그분만이 아는 예치금이 담긴 통장 하나 목숨에 붙여 주셨어요찾기 싫어도 날마다 줄어드는 통장인데요건강이라는 이자가 붙어 조금 불어나긴 해요 건강하게 살려면 이렇게 하라 이걸 먹어라눈으로 귀로 많은 정보를 접하면서세상만사가 나는 예외란 듯 맘 내키는 대로 살아왔지요나무 한 그루도 잘 돌보지 않으면 푸른 이파리 벌레 먹고 갈변하듯이환갑, 진갑 다 지나온 지금 안일하게 살아온 대가를 치르는...
임현숙
  최근 대학 동창 카톡방에 손주들을 돌보는 할머니들의 어려움과 애로 경험담들이 올려져서 동감하기도 하며 웃음이 나기도 한 일이 있다. 한 동창의 작은 딸네 손자가 너무 버릇없는 말을 해서 분노한 동창은 다시는 딸네 집에 안 간다고 선언했다고 한다. 다른 동창네 손자는 한글을 깨치자마자 자기 방문에 “노인 출입 금지”라는 글을 써 붙였다고도 한다. 이래저래 할머니의 손자 사랑이 아이들과 주파수가 맞지 않아 섭섭증이 생긴다고...
김현옥
모래의 시간 2022.11.07 (월)
이 세상 끝에 와 있다는 느낌그 사이로 강물이 흘러가고발자국들이 지나가고슬픔 같은 이끼가 툭툭 걸음을 멈추게 하는데나는 건너갈 세상을 돌아본다어둠 저 끝에서 몰려오는 바람소리누군가 내 등 뒤에서 마음 한 끝을비수로 꽂고 달아난다이 세상 황량한 이중성의 간판들점멸등처럼 깜빡이는데어제는 바람이 되었다가오늘은 사과가 되고 오렌지가 되고 박제가 되어몸의 꼬리를 감추는 사람들탓하지 마라, 눈동자의 크기만큼 보이는세상 안에서...
이영춘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