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망설이다 놓쳤어요”
다시 활기를 띠고 있는 밴쿠버 주택시장의 이끄는 주력은 누구일까? 부동산 중개사들은 캐나다에 새로 정착한 이민자는 물론 생애 첫 주택구입자가 상당수를 차지한다고 분석한다. 물론 집을 줄이거나 늘여가는 기존 구매자도 많다. 스코샤 은행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06년 기준 내 집을 소유하고 있는 이민자는 72%에 이른다. 2001년(68%)보다 내 집 소유비율이 4% 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같은 기간 캐나다 토박이의 주택소유비율은 73%에서 75% 늘었다. 이민자들은 특히 고층아파트(콘도미니엄)을 선호했다. 캐나다 토박이 가운데 고층아파트를 소유한 비율은 6%에 불과한 반면 이민자는 2배가 넘는 14%였다. 또, 시대변화를 반영 하 듯 캐나다 전체 고층아파트 소유비율은 1981년 4%에서 2001년 9%, 2006년 11%로 높아졌다. 대부분 도심지역에 위치한 고층 아파트는 교통이나 생활에 편리하다는 점도 고려했다. 최근 고층 아파트를 구입한 P씨는 “이럴까 저럴까 망설이다 좋은 물건을 놓쳤다”고 했다. 예상보다 찾는 사람이 많다는 반증이다. 한인 부동산 중개사 K씨는 “중국, 홍콩, 인도 등 아시아 지역에서 이민하는 경우, 아파트를 찾는 경향이 있는데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다는 판단이 작용하는 것 같다”고 했다. /이용욱 기자 lee@vanchosun.com
밴쿠버 조선
2009-08-28 00:00:00
-
“주택시장 회복세 뚜렷”
주택시장 회복세가 뚜렷하다. BC부동산협회에 따르면 7월 전체거래량은 지난해 동기보다 53% 급증, 1만건을 돌파했다. 시장동향분석의 척도로 삼고 있는 매물대비 판매비율(20.6%)도 수급이 균형상태에 들어섰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빅토리아(32.3%), 밴쿠버(31.2%), 프레이저 밸리(25.3%) 등에서 거래가 활발했다. 지난해 7월 매물대비 판매비율은 10.8%에 불과했다. 거래가 늘어난 반면 매물은 -19.4% 감소했다. BC주 주택평균거래가격(46만3972달러)은 지난해 보다 4.4% 올랐다. 카메론 뮈어 BC부동산협회 수석경제연구원은 “밴쿠버와 빅토리아 지역 주택판매량 증가는 BC주택시장을 수급균형상태로 이끈 원동력”이라면서 “열기는 BC내륙 지역으로도 확산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인들의 시장참여도 늘고 있다. H씨는 지난 겨울 좀처럼 팔리지 않아 거둬들였던 집을 최근 보름 만에 팔고 아파트로 이사할 계획이다. 물론 가격도 조금 올려 받았다. H씨는 고층 아파트 가격이 많이 떨어졌고 부부가 단촐하게 지내기도 적합하고 판단했다. 또, 올 봄 캐나다에 정착한 C씨는 집값이 더 떨어질 것으로 보고 주택구입을 망설이다 최근 신축 아파트를 구입했다. /이용욱 기자 lee@vanchosun.com
밴쿠버 조선
2009-08-21 00:00:00
-
“작아야 팔린다”
“주택시장의 거래량 증가는 바닥탈출에 이은 상승세를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올해 하반기에는 집값이 오르더라도 한자리수 초반 대에 머물 가능성이 크고 내년 초부터 본격적인 상승을 기대한다.” 한인 부동산 중개사 C씨는 “최근 1주일여 만에 매매계약을 체결했다”면서 “매물 등록 이후 사자는 주문이 몰리면서 가격도 제값 다 받았다”고 했다. 올해 봄만해도 공시가격을 훨씬 밑도는 수준에서 거래되던 것과는 양상이 180도 달라졌다. 반면, 부동산 중개사 A씨는 “아직 통계수치 같은 열기를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소형 주택을 중심으로 상황이 좋아진 것은 분명한데 전체 시장으로까지 확산되지는 않고 있다”고 했다. 밴쿠버 부동산위원회(REBGV)에 따르면 7월 타운하우스 거래량은 지난해 보다 무려 107.9% 증가했다. 특히, 밴쿠버 이스트(195.8%), 리치몬드(152.1%), 버나비(123.3%), 포트 코퀴틀람(117.6%)의 거래가 급증했다. 타운하우스 평균거래가격은 -4.6% 하락하는데 그쳤다. 부동산 전문기업 로얄 르페이지는 최근 발표한 전망보고서에서 2008년 하반기 가격하락 폭이 매우 컸기 때문에 집값 상승폭이 예상보다 클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 2010년 봄, 밴쿠버를 비롯한 캐나다 대부분의 지역에서 집값이 제자리를 찾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용욱 기자 lee@vanchosun.com
밴쿠버 조선
2009-08-14 00:00:00
-
-
밴쿠버 주택시장 되살아 난다
밴쿠버 주택시장이 되 살아나고 있다. 밴쿠버부동산위원회(REVGB)가 발표한 7월 주택시장 동향보고서에 따르면 거래량(4114건)은 2003년 7월 최고기록을 가볍게 돌파했다. 7월 거래량이 4000건을 넘어 선 것은 6년 만이다. 거래량 증가와 함께 주택가격도 오름세다. 평균거래가격(52만8821달러)은 올해 초 보다 9.2% 올랐다. 가격상승 기대심리가 커지면서 매물로 나온 물건도 17.4% 감소했다. 몇 달째 팔리지 않던 매물조차 거래가 성사되는 경우도 늘고 있다. 매매에 걸리는 소요기간도 평균 48일로 단축됐다. 한인 부동산 중개사 L씨는 “주택 가격이 하락할 것이라는 우려는 사라졌다”면서 “더 이상 값이 떨어지지 않고 오를 것이라는 상승기대 심리가 매수세로 확산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통계 수치상으로는 여전히 가격이 하락한 것으로 보이지만 3분기부터는 달라질 것”으로 예상했다. 실제, 평균거래가격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단독주택의 경우 거래량(1614건)은 95.2% 증가했으나 가격은 -5.5% 하락했고 타운하우스는 거래량 폭등(107.9%)에도 불구하고 가격은 -4.6% 내렸다. 고층 콘도를 포함한 아파트의 가격 하락폭(-4.3%)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지역별로는 포트 코퀴틀람 단독주택(236.4%), 밴쿠버 이스트 타운하우스(195.8%), 포트 무디 아파트(138.1%) 거래가 급증해 눈길을 끌었다. /이용욱 기자 lee@vanchosun.com
밴쿠버 조선
2009-08-07 00:00:00
-
“주택시장 회복세로 돌아서”
BC주택시장의 매물대비 거래체결비율이 크게 높아졌다. BC부동산협회에 따르면 6월 기준 거래채결비율은 20.3%였다. 지난해 동기(12.5%)와 비교하면 말 그대로 격세지감(隔世之感)이다. 한때 주택시장의 큰 부담으로 작용했던 신규매물등록도 14% 가까이 줄어들었다. 지역별로는 빅토리아(31.1%), 메트로 밴쿠버(30.1%), 프레이저 밸리(25.1%)가 두드러졌다. 주택시장의 최전방 전선에서 만나는 부동산 중개사들도 “예상보다 회복시점이 빨라졌다”고 입을 모은다. 가격하락세도 둔화됐다. BC지역 전체 평균거래가격(46만1940달러)는 지난해(46만3458달러)와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회복됐다. 특히, 빅토리아(47만6686달러)는 지난해 (46만3458달러)보다 근소하지만 올랐다. 연간기준 BC주택시장 거래규모는 6월 현재 163억 달러로 -19.8% 감소했고 평균가격(44만8381달러)은 -5.3% 떨어졌다 브라이언 유 BC부동산협회 경제연구원은 “대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주택시장이 안정을 되찾아 회복되고 있다”면서 “매물감소와 더불어 강한 매수세가 일면서 일부 지역의 주택가격을 끌어 올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캐나다 부동산협회(CREA)의 올해 초 전망보고서에서 캐나다 주택평균가격은 지난해 보다 8% 가까이 떨어진 뒤 2010년부터 상승(1.1%)세로 돌아 설 것으로 예상했다. 거래량도 올해(36만900건)보다 9.9% 증가할 것으로 봤다. /이용욱 기자 lee@vanchosun.com
밴쿠버 조선
2009-08-01 00:00:00
-
“집값이 꿈틀거린다”
“거래가 크게 늘면서 매수세가 전체 시장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주택유형에 관계없이 특별히 강세를 보이는 지역은 이민자 유입이 늘고 있는 인기 주택가라고 보면 틀림없습니다. 한인들이 많이 찾는 UBC 인근지역이나 트라이시티는 가격이 꿈틀거리고 있습니다. 내년 상반기까지 이런 상황이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한인 부동산 중개사 G씨는 4개월 전만해도 부동산 면허 갱신을 망설였다. 지난해 하반기 이후 급랭했던 주택시장 분위기가 오래 갈 것으로 예상했던 때문이다. 하지만 세계 경제 침체국면이 다소 안정되고 BC주 선거에서 자유당이 재집권하면서 시장이 조금씩 되살아 났다. 한가하던 그의 휴대전화 통화량도 함께 늘어났다. 밴쿠버 부동산위원회에 따르면 5개월 연속 거래가 증가하면서 6월 거래량으로는 사상 두번째 많은 기록을 세웠다. 특히, 타운하우스 거래량(802건)은 78.2% 급증했고 평균거래가격(44만1620달러)은 -7.3% 하락에 그쳤다. 지역별로는 밴쿠버 웨스트(121.8%), 노스 밴쿠버(121.2%), 밴쿠버 이스트(118.5%), 리치몬드(84.5%), 포트 코퀴틀람(82.6%) 등에서 거래가 활발했다. 주택시장을 낙관적으로 보는 시각이 있는 반면 여전히 하락을 점치는 쪽도 있다. 부동산 중개사 K씨는 주택시장이 일시적 반등을 보이고 있을 뿐 계절적 비수기가 다가오면 거래량이 주춤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그의 예상은 비주류에 속한다. 이미 올해 연초부터 캐나다 부동산 협회는 거래량 증가를 예측한 바 있다. 시기가 조금 빨라졌다는 것이 다를 뿐이다. /이용욱 기자 lee@vanchosun.com
밴쿠버 조선
2009-07-24 00:00:00
-
“거래 증가 집값 상승세로 이어지나?”
밴쿠버 부동산위원회가 발표한 6월 주택시장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거래량은 2005년 수준으로 회복됐다. 거래가격은 2001년 주택가격을 기준으로 한 가격지수(219.1) 상으로는 3년전 보다 8.8% 올랐다. 주택유형별로는 단독주택이 8.1%, 타운하우스는 9.7%, 아파트는 9.8%의 상승률을 보였다.특히, 아파트는 6월 전체거래량(1790건)이 전년 동기간 보다 69.3% 증가했으며 평균거래가격은 35만6880달러였다. 지역별로는 웨스트 밴쿠버(155.6%), 포트 무디(128.6%), 코퀴틀람(93.9%), 밴쿠버 웨스트(87.2%), 노스 밴쿠버(71.4%) 등에서 거래량 증가가 두드러졌다. 한인 부동산 중개사 S씨는 “좀처럼 매기가 없어 가격을 낮췄던 일부 매물이 5~6월 들어서는 거의 최초판매희망가격(Asking Price)에 근접해 팔리고 있다”고 했다. 또, 일부 아파트는 경쟁적으로 오퍼가 몰리면서 가격을 올리는 경우도 있다. 반면, 본지가 조사한 고층 아파트 거래현황에서는 공시가격을 훨씬 밑도는 수준에서 거래된 급매물도 있었다. 매기가 살아난 것은 분명하지만 가격 상승세가 계속될 것인가에 대한 소비자 확신은 강하지 않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용욱 기자 lee@vanchosun.com
밴쿠버 조선
2009-07-17 00:00:00
-
-
“주택시장은 벌써 한여름”
주택 거래량이 2005년 수준으로 회복되면서 시장이 한여름 열기를 보이고 있다. 밴쿠버부동산위원회(REBGV)가 발표한 6월 주택시장 동향보고서에 따르면 거래량(4259건)은 지난해 동기간보다는 무려 75.6% 급증, 6월 거래량으로는 사상 두번째를 기록했다. 한인 부동산 중개사 P씨는 “지금보다 가격이 더 떨어지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오히려 올 가을까지 이런 열기가 계속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매물 등록이후 3개월 가까이 주문하나 못 받고 있던 매물이 최근 오퍼가 몰리면서 순식간에 팔렸습니다”라고 했다. 전문가들은 단기간 주택가격이 크게 하락한데다 모기지 이자율 하락, 주택비용부담 개선 등으로 분위기가 반전됐다고 풀이했다. 관망하고 있던 실수요자들도 매수시점을 앞당기면서 거래가 늘었다. 특히, 타운하우스 거래량(802건)이 78.2% 증가했다. 그러나 평균거래가격(44만1620달러)은 -7.3% 떨어졌다. 지역별로는 밴쿠버 웨스트(121.8%), 리치몬드(84.5%), 포트 코퀴틀람(82.6%)에서 거래 증가가 눈에 띄었다. 본지가 조사한 트라이시티 지역의 거래현황도 비슷한 양상이었다. 최초 판매희망가격보다 높은 가격에 체결되는 경우가 많았고 버나비의 한 타운하우스는 매물 등록 3일도 지나지 않아 벌써 오퍼가 진행 중이었다. /이용욱 기자 lee@vanchosun.com
밴쿠버 조선
2009-07-10 00:00:00
-
“주택시장 상승의 유혹”
"향후 주택시장이 어떻게 변할 것인가를 지금 단언하는 것은 무리입니다. 일부에서는 시장이 조정을 끝내고 반등국면에 접을 들었다고 판단하고 있지만 가을까지 지켜봐야 한다는 신중론도 만만치 않습니다”. 부동산업계의 베테랑으로 자부하는 K씨는 조심스럽다. 분위기가 달라진 것은 분명하지만 예비 고객들에게 지금이 매수 적기라고 권유하기에는 여전히 부담을 느낀다고 했다. 그는 “가격이 떨어져 저렴하다는 판단도 사실은 상대적이며 일률적 기준을 잡기가 애매하다”고 했다. K씨는 “예년에는 공시가격보다 10%이상 비싼 가격대에서 체결됐으나 최근에는 이보다 훨씬 낮은 가격에서 거래되는 경우가 많다”면서 “다만 올해 봄부터 거래가 증가하면서 체결가격이 공시가격을 웃도는 경우도 늘고 있다고 분석했다. 본지가 조사한 주택시장 동향도 비슷했다. 밴쿠버 웨스트의 한 단독주택은 공시가격은 물론 최초판매희망가격 보다 높게 체결됐다. 또, 트라이시티 지역에서는 매물등록 10일 이내에 거래가 성사되는 사례도 증가하는 추세다 BC부동산협회에 따르면 지난 5월 메트로 밴쿠버 지역 주택시장 매물대비 거래비율은 24.2%에 달했다. 이는 BC주 전체(16.9%)는 물론 전년동기(17.7%)보다 높은 수준이다. /이용욱 기자 lee@vanchosun.com
밴쿠버 조선
2009-07-03 00:00:00
-
“주택구입 지금이 기회”
“실수요자라면 지금이 주택을 구입할 시기라고 판단합니다. 최근에는 판매희망가격(Asking Price) 언저리에서 체결되고 있고 일부 지역은 2~3건 이상의 오퍼가 경쟁하면서 가격이 올라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권순만 부동산 중개사는 주택시장의 분위기가 급변하고 있다며 이렇게 밝혔다. 그는 “6개월 전만해도 완연한 바이어 마켓이었으나 지금은 분위기가 달라졌다”면서 “매물의 상태가 양호하고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온 물건의 경우 나오자마자 팔린다”고 했다. 특히, 생애 첫 주택구입자의 시장참여가 늘면서 밴쿠버 다운타운은 40만달러 전후의 고층콘도, 코퀴틀람지역은 30~35만달러대가 인기다. 급매 물건이 쏟아져 나오면서 가격하락을 부추겼던 노스 로드 일대 일부 신축 콘도는 융자문제가 해결되면서 소강상태에 접어들었다. 40~50만달러 수준의 타운하우스도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본지가 조사한 주요지역 타운하우스 거래동향에 따르면 단 하루만에 거래가 성사된 경우도 있었다. 거래가격은 대부분 공시가보다 낮았으나 판매희망가격의 98% 이상 수준에서 대부분 체결됐다. /이용욱 기자 lee@vanchosun.com
밴쿠버 조선
2009-06-19 0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