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새와 실존

최민자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3-02-02 09:51

최민자 / 캐나다 한국문협 회원
 산 비둘기 한 마리가 베란다 난간에서 고개를 갸웃거리고 있다. 아침마다 화분에 물을 주면서 땅콩 몇 알을 접시에 놓아두었던 것인데 다른 놈들은 오지 않고 이 녀석만 온다. '새 대가리'가 사람 머리보다 기억력이 나은 건지 내가 깜박 준비를 못했을 때에도 잊지 않고 찾아와 난간을 서성댄다. 유리창을 사이에 두고 새가 브런치를 즐기는 동안 나도 천천히 차 한잔을 들이켠다.

새들에게는 역사가 없다. 물고기도 그렇다. 새나 물고기가 종적을 남기지 못하는 것은 부리나 주둥이로 길을 내며 다니기 때문이다. 목구멍을 전방에 배치하고 온몸으로 밀고 다니는 것들은 대체로 족적을 남기지 못한다. 스스로를 먹여 살리기 위해 앞장서 달리는 입의 궤적을 지느러미나 깃털이 흐트려 버리기 때문이다.

누가 새들을 자유롭다 하는가. 하늘에는 새들이 걸터앉을 데가 없다. 목을 축일 샘 하나, 지친 죽지 부려 둘 걸쇠 하나 없다. 새들에게 하늘은 놀이터가 아니다. 일터다. 망망한 일터를 헤매어 제 목숨 뿐 아니라 주둥이 노란 새끼들의 목숨까지 건사해야 하는 새들은 녹두 알 만 한 눈알을 전조등 삼아 잿빛 건물 사이를 위태롭게 날며 기적처럼 끼니를 해결해야 한다. 마른 씨앗 한 알, 버러지 한 마리 놓치지 않고 적시에 부리를 내리 꽂아야 한다.

누가 새들을 가볍다 하는가. 날기 위해 뼛속까지 비운 게 아니라 뼛속까지 비웠기에 겨우 나는 것이다. 새들은 하늘에서 멈추어 쉴 수가 없다. 멈추어 쉬지 못하면 깊이는 생겨나지 않는다. 벌어 먹기 위해서 살아온 사람의 행보가 별스런 자취 없이 흩어져 버리듯, '먹고사니즘'에 바쳐지는 시간들은 종적 없이 휘발되어 버린다. 하지만 깊이가 무슨 소용인가. 한 끼 벌어 한 끼 먹는 목숨 붙이 들에게 중요한 것은 현존 뿐, 제 몸뚱이 하나로 길을 뚫으며 실존과 분연히 마주하는 새들 앞에서 새 대가리라는 말을 함부로 쓰면 안 된다.

"여자들은 다 새 대가리야"라는 말을 함부로 내뱉던 입사 동기 한 사람이 있었다. 상업학교를 졸업한 어린 처녀들이 많은 금융회사였으나 대학 나온 그보다 야무지고 똑똑했다. 남자 직원끼리 하는 말을 우연찮게 엿들은 꼴이었지만 여자라는 이유로 승진 시험조차 볼 수 없었던 나는 이래저래 분이 나서 퇴사할 때까지 그 하고는 눈도 마주치지 않았다. 삼십 년 쯤 후 어느 예식장에서 마주친 그는 점잖은 목사님이 되어 있었지만 새 대가리인지 새 가슴인지 그때에도 나는 그를 용서하고 싶은 마음이 들지 않았다.

식사를 마친 산 비둘기가 회 보랏빛 날개를 퍼덕거리며 토분 사이로 내려앉는다. 뭐 좀 더 주워 먹을 것이 없나 살피려는 듯 고개를 앞뒤로 주억거리더니 이내 훌쩍 날아오른다. 새는 뒤를 돌아보지 않는다. 누군가가 진설해 놓은 지상의 밥 한 끼로 하루어치의 생존이 해결되었다 하여도 하루 벌어 하루 먹는 생명체들에게 과거의 밥은 무효일 밖에 없다. 새를 날게 하는 동력도 지난 시간의 중력을 떨쳐 버릴 수 있는 '새 대가리'의 가벼움 덕분 아닐까.
새가 난다. 화살촉 같은 부리를 앞세우고 흐리고 막막한 도시 하늘로 두려움 없이 솟구처 오른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머리가 허연 사내 하나가 털이 하얀 강아지 한 마리와 동네 골목을 산책 중이다.산책하고 싶어 한 게 개였는지 사내였는지 알 수는 없지만 강아지가 앞장서고 사내가 뒤를 따른다. 강아지가 길모퉁이에 멈춰 서 있다. 아랫도리를 낮추고 볼일을 보는 개를 사내가 조용히 기다려준다. 꽁초 한 개비 마음 놓고 못 버리는 인간의 거리에 천연덕스럽게 응가를? 무슨 상관이냐고, 갈 길이나 가시라고, 녀석이 흘끔 위 아래로 훑는다. 녀석이 일어선다....
최민자
그리움 2024.03.08 (금)
최민자 / 캐나다 한국문협 회원전지를 갈아 끼워도 가지 않는 손목시계처럼 그는 그렇게 그녀라는 길 위에 멈추어 있다. 그녀와 관련된 기억들이 그에게는 여전히 아프고 쓰리다. 이별의 모서리는 언제나 날카로워 돌아볼 때마다 마음이 베이지만 그녀라는 모퉁이를 통과하지 않고 우회하는 길을 알지 못한다 하였다. 진한 눈썹, 둥근 이마, 상큼하면서도 허스키한 탄산수 음색이 생각나 아직도 심장이 쿵, 떨어져 내린다 하였다....
최민자
아침 안개 2023.10.11 (수)
  그는 거물이야 하늘과 바다를 합방시키고 밤과 낮의 경계를 허물지 사람이 만든 구획을 지우고신의 업적조차 무화시켜 버려 논둑이며 밭고랑을 후루룩 삼키고 강물을 통째로 들이마시는 그는미처 씹지 못한 봉우리 하나 허공에 둥실 뱉어 놓기도 해그는 고단수야 숨소리도 없이 진군해 와서 오랏줄도 없이 포박해 버리거든 품어 안는 척 발을 묶는사랑법이 내가 알던 누구와 기막히게 닮았어 겹겹이 진을 치고 포위해보아도 끝내 네 안으로...
최민자
골목 2023.05.02 (화)
   골목은 눈부시지 않아서 좋다. 휘황한 네온 사인도, 대형마트도, 요란한 차량의 행렬도 없다. ‘열려라 참깨!’를 외치지 않아도 스르륵 열리는 자동 문이나, 제복 입은 경비원이 탐색하는 눈빛으로 위아래를 훑어 내리는 고층 빌딩도 눈에 띄지 않는다. 길목 어름에 구멍 가게 하나, 모퉁이 뒤에 허름한 맛집 하나 은밀하게 숨겨두고, 오가는 사람들의 발자국 소리를 일상의 맥박  삼아 두근거리는, 웅숭깊고 되바라지지 않은 샛길이어서...
최민자
새와 실존 2023.02.02 (목)
 산 비둘기 한 마리가 베란다 난간에서 고개를 갸웃거리고 있다. 아침마다 화분에 물을 주면서 땅콩 몇 알을 접시에 놓아두었던 것인데 다른 놈들은 오지 않고 이 녀석만 온다. '새 대가리'가 사람 머리보다 기억력이 나은 건지 내가 깜박 준비를 못했을 때에도 잊지 않고 찾아와 난간을 서성댄다. 유리창을 사이에 두고 새가 브런치를 즐기는 동안 나도 천천히 차 한잔을 들이켠다.새들에게는 역사가 없다. 물고기도 그렇다. 새나 물고기가 종적을...
최민자
빈 듯 찬 듯 2022.10.12 (수)
   5년 넘게 땅속에서 묵었을 매미 소리를 모카커피에 타서 마신다. 오늘 아침 내 특제 메뉴다. 매미 소리는 먹기 좋게, 적당히 분절되어 커피 잔에 녹아 든다. 어떤 소리는 튜브에서 쥐어짜듯 찔끔찔끔 흘러나오고 어떤 소리는 톰방톰방 방울져 떨어진다. 짝에게 닿아야 할 노랫가락을 내 잔 속에 빠뜨렸으니 녀석들은 끝내 짝짓기에 성공하지 못할 것이다.라디오에서 귀에 익은 선율이 흘러나온다. 파가니니인지 텔레만인지, 얼른 기억이 나지...
최민자
모기란 놈은 왜 어리석게 사이렌 소리를 내며 공격을 하는 것일까. 경계경보 없이 단번에 공습하면 성공률이 훨씬 높을텐데 말이다. 앵앵거리는 비행물체 때문에 기어이 한밤중에 불을 켜고 앉는다.모깃소리는 모기만 하지 않다. 엔진을 가속시킬 때 발생하는 소음을 제어할 만큼은 기술력이 진보되지 않아서인가. 발사되는 로켓이 내는 굉음이 요란스레 어둠을 진동시킨다. 어쩌면 저들은 인간에게 경고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제 안의 두려움을...
최민자
책장 앞에서 2022.03.14 (월)
도킨스와 하라리, 베르베르와 이정모가 사이좋게 어깨를 밀착하고 있다. 사이좋게?인지는 사실 모르겠다. 시비를 걸거나 영역다툼을 하지않고 시종 점잖게 어우러져 있으니 나쁜 사이는 아닌 것 같달 뿐.   책들은 과묵하다. 포개 있어도 붙어 서 있어도 일생 서로 말을 걸지 않는다. 책들은 다 수줍음을 탄다. 자리를 바꿔 달라 보채지도 않고 어디로 데려가 달라 꼬리치지도 않는다. 즉각적인 피드백을 양산하는 다중 미디어들이 창궐하는...
최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