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인 언론 간담회서 정책 방향 제시

6일 열린 한인 언론 감담회에 참석한 존 러스태드 BC 보수당 대표/ 손상호 기자
BC주 제1 야당인 BC 보수당의 존 러스태드(Rustad) 대표가 6일 버나비 한인타운 앤블리 센터에서 열린 한인 언론 간담회에 참석해 BC주의
주요 현안을 짚고, 당의 정책 방향을 설명했다. 이날 행사에는
연아 마틴 상원의원도 함께 참석했다.
◇경제 침체 돌파구는 아시아 무역과 이민
러스태드 대표는 “한인 사회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싶었는데 이런 자리를
이제야 마련하게 됐다”고 운을 떼면서, 경제 활성화와 민생
회복을 BC주의 최우선 과제로 제시했다.
러스태드는 BC주 청년 절반이 타지 이주를 고민하는 현실을 ‘비극’이라고 평가하며, “주택난과
생계비 부담으로 미래를 그릴 수 없다는 절망감이 확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핵심 해법으로는 무역 다변화, 세금 감면, 규제 완화 등을 제시했다. 특히 천연가스 등 자원을 미국에 헐값으로
넘기기보다는 한국·일본·중국 등 아시아 시장으로 수출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무역 문제에 대해 그는 “NDP 정부는 한국 등 아시아에 있던 독립
무역사무소를 폐쇄해, 현재는 총영사관만으로 무역 업무를 처리하고 있다”며 “보수당은 무역사무소를 재개하고, 각국 영사들과 직접 만나는 외교를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민 정책에 대해서도 “앞으로 10년간 BC주에 100만 개 일자리가 생기지만, 졸업생은 50만 명에 불과하다”며 “이민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현재 연방정부가 주도하는 이민 시스템은 BC주의 실정에 맞지 않는다”며, 퀘벡처럼 BC주가 자체 이민 권한을 가져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특히 “의사나 간호사, 전기공 등 필요한 기술 인력을 중심으로 맞춤형 이민을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교육·보건·주택··· 전 분야 구조조정 필요
교육 정책과 관련해 러스태드 대표는 성적 등급제를 다시 도입하고, 고등학생
대상의 표준화 시험을 강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어 “학생과 학부모가 현재 수준을 정확히 알아야 지원과
성장이 가능하다”며 “학교 내 따돌림 방지와 상담 확대도
함께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보건과 치안 문제도 주요 의제로 언급됐다. 그는 “현재 보건 시스템은 지나친 행정비용으로 비효율적”이라며 “독일보다 인구는 절반이지만 행정 인력은 11배 많다”고 지적했다. 마약·중독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회복 치료 인프라와 정신건강 투자 확대가 시급하다”고 진단했다.
주택난 해소 방안으로는 “복층 임대주택을 빠르게 지을 수 있도록 감가상각
혜택을 부활시키고, 인허가 시스템도 대폭 간소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는 “덴마크는 2개월이면 주택 인허가가 나지만, BC주는 3~5년이 걸린다”며, “행정 비효율이 BC의 경제 전반을 가로막고 있다”고 비판했다.
끝으로 러스태드 대표는 “NDP 정부 아래에서 BC는 아시아와의 교역은 줄고, 미국 의존도는 커졌다”며 “무역·경제·이민을 전면 재설계하고, 청년과 이민자들이 미래를 설계할 수 있는 BC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손상호 기자 ssh@vanchosun.com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