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기억의 갈림길에서

김춘희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3-09-11 12:33

김춘희 / (사)한국문인협회 밴쿠버지부 회원
  용인 가는 고속도로에서 수원가는 표지판이 눈에 띄고서야 문득 수원 양로원에 있는 요안나가 생각났다. 아! 수원이구나! 요안나가 있는 수원이구나! 내가 너무 무심했구나!   
 
  우리 일행은 용인에서 다른 가족팀과 합세하여 다음 날 전주로 떠나기로 하고 용인 라마다호텔에 묵었다. 한국을 떠나 반세기를 캐나다에서 살아온 세월 때문에 용인과 수원이 인접해 있다는 사실을 전연 모르고 있었다. 나는 한국어를 하는 이방인이다. 요안나를 만나야 한다는 생각에 머리가 빨리 회전하기 시작했다. 나는 아이들과 여행하면서 노인네답게 하루건너 호텔에서 푹 몸을 쉬어 주어야만 한다. 용인에서 아이들은 에버랜드를 방문하는 일정이고 나는 호텔에서 쉬는 날이었다. 다음 날은 아침 10시에 호텔에서 출발하여 전주 쪽으로 내려간다. 저녁에 아이들이 호텔로 들어왔을 때 나의 계획을 알려 주었다. 다음 날 새벽에 택시를 타고 수원 양로원에 있는 요안나를 만나고 9시 전에는 호텔로 돌아와 합세할 것이라고. 그날 저녁 몬트리올에 사는 요안나를 잘 알고 있는 분에게 물어 양로원 주소와 최근의 근황을 알아 두었다.   
 
  다음 날 새벽,  조용히 호텔 방을 나와 로비에서 주선해 준 택시를 타고 수원으로 향했다. 출근 시간 전인 새벽 차도는 한가했다. 마누라 잔소리가 싫어서 아직도 택시업을 한다는 나이 지긋한 택시 운전사의 이야기를 건성으로 들으며 한 30분 정도 지났을까, 택시는 드디어 벽돌로 쌓아 지은 아름다운 양로원 빌딩 앞에 섰다. 천주교 ‘가난한 이들의 작은 자매회’ 수녀들이 운영하는 양로원 ‘평화의 모후원’에 도착한 것은 7시 30분이 조금 지나서였다. 택시 기사에게 적어도 30분 내외로 나올 것이니 기다려달라는 간곡한 부탁을 하고 뛰다시피 건물 안으로 들어섰다. 짧은 시간 안에 요안나를 만나는 소임을 마쳐야 한다. 건물안으로 들어섰는데 사람은 하나도 보이지 않고, 아침 미사 소리만 울려 퍼졌다. 커다란 성당 문을 밀고 들어 갔다. 미사 중이었다.  백발의 노인들이 많이 참석하고 있었다. 머리에 하얀 미사보를 쓴 꼬부랑 할머니 여럿이 한복을 차려입은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1970년대 내가 한국을 떠나올 무렵 유행했던 한복 스타일이었다. 추억이 묻어나는 한복을 입은, 50년 전 시간을 살고 있는 할머니들! 마치 하느님 앞에 나가듯 그렇게 미사에 임했으리라. 낯선 사람이 새벽 미사에 나타난 것을 알아본 나이 지긋한 수녀님이 무슨 일로 왔느냐고 귓속말을 걸어왔다. 나는 캐나다에서 온 방문객인데 우연히 요안나가 살고 있는 양로원을 지나가게 되어 이 새벽에 급히 택시를 타고 달려 왔으며, 시간이 별로 없으니 벗의 얼굴을 잠시만이라도 보고 가게 해달라고 사정 말씀을 드렸다. 미사가 끝나고 노 수녀님의 배려로 드디어 젊은 수녀 한 분과 보조자의 도움으로 요안나가 휠체어를 타고 나왔다. 옛날의 팔팔했던 모습은 사라지고, 누구의 도움을 받고 휠체어에 실려 나오는 그 모습에 가슴이 찡해 왔다.   
   
  몬트리올 살던 1999년쯤이었다. 어느 날 시내로 가는 버스에서 요안나 씨를 만났다. 아부다비에서 살다가 일자리를 구하러 왔다는, 그녀의 얼굴은 가냘프고, 대신 수심이 가득했다.  그후 나는 그의 이민 문제와  생계를 위한 일자리 알선 등 그에게  도움을 주었다. 그녀는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고 독신녀였다. 요안나는 점차 몬트리올에서 자리를 잡고 잘 살았다. 비록 정부에서 주는 연금으로 살았지만, 번듯한 정부 노인 아파트도 얻어서 겉으로 보기엔 부족함이 없는 노후 생활이었다.  
   
  요안나는 팬데믹이 시작되기 전 즈음부터 조금씩 흔들리기 시작했다. 밴쿠버로 이사 와서 사는 나에게 자주 전화를 걸어 왔다. 저녁노을이 지면 외로워서 못 살겠다는 하소연이었다. 외롭다는 그녀의 하소연이 성가시게 들렸다. 사람은 다 외롭게 태어났다고, 그리고 홀로 살거나 공동으로 살거나 외로움은 인간의 조건이라는 등, 철학적인 말로 위로를 하기보다는 핀잔을 주었다.  얼마 후에 그녀는 캐나다 정부의 모든 혜택을 포기하고 한국으로 귀국해서 수원에 있는 ‘평화의 모후원’ 양로원에 들어갔다.  그러나  요안나는 행복하지 않았다. 그녀의 외로움은 병이었기 때문이다. 캐나다에 있는 여러 지인에게 자주 전화했다. 양로원 급식이 형편없다, 수녀들이 자기를 학대한다 등.. 급기야는 다시 캐나다로 돌아갈 것이니 자기를 잠시 받아달라는 부탁을 했다. 나에게도 전화가 왔으나 나는 마음을 다스리고 지긋이 한국에서 살라는 차가운 조언을  해 주었다.  
   
  팬데믹이 한참이던 때, 한 지인으로부터 요안나에 대한 소식을 들었다. 요안나가 뇌졸중으로 쓰러졌고, 치매를 앓고 있다는 것이다. 이따금 요안나를 아는 캐나다 지인들이 한국을 방문하면 요양원에 있는 요안나를 찾아갔는데, 더러는 누군지 알아보지 못할 정도로 요안나의 치매는 깊어져 갔다. 시간이 흘렀다. 요안나는 우리들 기억에서 점차 멀어져갔다. 지난봄 우리 가족이 한국을 방문했을 때, 그녀를 만나는 일정은 내 여정에 없었다. 친구들의 기억에서 그녀는 점점 사라져갔다. 눈앞에 없는 사람, 치매에 걸린 사람을 그 누가 알뜰히 기억할 것인가!   
 
  수원 양로원에서 내가 잠시 요안나를 만났을 때 요행히도 그녀는 나를 알아보았다. 모두 그의 말을 못 알아들었지만, 나는 뚜렷이 알아들을 수 있었다.  “아가다씨!” 하며 내 손을 잡았다. 지구 반 바퀴와 고독한 세월을 돌고 돌아 두 사람이 주름진 서로의 두 손을 맞잡았다. 아주 잠시나마 우리는 옛정을 나누었다. 나는 그녀가 건강했을 때처럼 우리 집 아이들을 위한 기도를 부탁했다. 요안나는 눈빛은 흐렸어도 우리 집 아이들 이름을 똑똑히 기억하고 발음하면서 기도하마 약속했다. 나는 밖에서 기다리는 택시 때문에 더 이상 머무를 수가 없었다. 드디어 작별 인사를 하고 일어났지만, 요안나는 내 손을 쉬이 놓지 않았다. 요안나는 캐나다로 다시 갈 것이라는 말을 거듭했다. 내 손을 꼭 잡은 그녀의 손을 뿌리치고 나는 황급히 택시로 향했다. 어설픈 몸짓으로 손을 흔드는 그녀를 뒤로하고 돌아선 나의 발걸음이 왜 그리 무거웠던지... 택시 기사분이 나의 마음을 읽은 듯이 말했다. 한국 정부가 노인 복지를 잘해서 한국의 노인들은 편안한 노후를 맞고 있다고. 잘 정돈된 시설과 더욱이 신앙 공동체를 이루어 마지막을 보내는 노인들에게 무엇을 더 바랄 것이 있겠는가?   

 요안나의 마음은 수원 양로원과 몬트리올에서 살았던 노인 아파트 사이에서 흔들리고 있었다. 한국과 캐나다 사이에서 그녀의 기억은 늘 갈림길에 서 있는 것이다. 여기도 저기도 그녀가 머물러야 할 진정한 거처가 아니기 때문이다. 우리들의 기억에서 그녀에 대한 기억이 서서히 사라지듯 요안나도 자기 기억의 갈림길에서 스스로 사라져 가고 있을 것이다. 지상에는 영원한 거처가 없기 때문이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한글나무 2023.10.16 (월)
어느 날 오후언어로 표현하는그대 삶의 모든 편린들이 노래로 불려질 때우리의 꿈나무에게 내림굿판을 벌여야 하지 않을까.우리는 밝힐 수 있으리라.글을 가진 세종의 자손이라는 자랑스런 핏줄들을.우리들은 쓰러진 글자를 일으켜 세우고 틀린 글자를 고치면서언어를 잃지 않는 작업이 얼마나 큰 노동이 될 것이라는 것을외면할 수는 없다.완전을 추구하는 새로운 사회라도 더불어 살면서지조 없는 슬픈 역사를 만들어 갈 수는 없으며마주보는...
송요상
    주방영양학 교실 독자님들, 평안하시지요? 주방 영양학 교실, 심 박사가 안부 드립니다."당신이 먹는 것이 바로 당신이다(You are what you eat)"라는 속담을 아직 기억하시지요? 1825년, 프랑스의 미식가 브릴라 - 사바랭 씨는 그의 걸작 『미각의 생리학』(Physiology of Taste)라는 저서에, "네가 무엇을 먹는지 말해 주면 네가 누구인지 말해 줄게"라는 말에서 시작됐습니다. 이 주제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합니다. 우리나라에도...
심정석
일하며 생각하며 2023.10.16 (월)
  나는 흙 내음이 좋아서 농촌에 산다. 값도 안 나가는 토종사과를 가꾸며 이웃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고 자연의 아낙으로 살며 글을 쓴다.어떤 이는 이런 나를 신선이라 부러워하고 어떤 이는 못난이라 비양을 한다. 부러워하는 사람들은 시멘트 정글속에 갇혀 마음의 고향인 흙을 그리며 사는 도시인들이고 후자는 도시로만 나가면 뼈 빠지게 일 안하고 편히 살 수 있다고 그곳을 동경하는 가난하고 순박한 내 이웃들이다.나는 그 틈에서 머리는...
반숙자
자화상 2023.10.16 (월)
어느 시절은 봄꽃처럼 환하게 웃다가 어느 시절은 슬픔을 바늘귀에 꿰어 하루를 깁고 어느 시절은 무디어진 마음 바람에 벼리며 산 이제 바람에 닳은 얼굴 반쯤 뭉그러져붉은 꽃잎 같던 입술은 어디로 가고칸나 혹은 장미꽃 빛 립스틱이라도 발라야그나마 생기 도는 얼굴 봐 줄만한 입술 위에 꽃 피워 놓고얼굴 가만 들여다보니살고살아내고살아 지기도 한 온갖 시절그래, 노래였구나꽃이었구나사랑이었구나 담담한 눈빛이 나를...
정금자
산(7) 2023.10.11 (수)
가을산은 엄청난 생명력을 지녀옅은 파아란 녹조의 빛깔의 *대추(棗)는끝내 익어 임금님의 용포를 담은 듯붉은 색을 띄워 끊임없는생성과 소멸의 혼백에게다음 세계를 염원한다 가을산은 신비한 생명력을 지녀*사신 처럼 한 톨의 씨 밤이 썩어져내세에 *밤(栗)의 열매를 열듯산아 너는 신비한 마법으로과거와 현재와 그리고 미래를연결하여 영원한 생명을 띄우는구나 가을산은 유치찬란한 생명력을 지녀*오행의 조화로 황금빛 만추의...
구정동
숨고르기 2023.10.11 (수)
  누렇게 뜬 무청이 눈에 띈다. 괜히 억척을 부렸나 보다. 어제 다용도실에 놓아두고 늦은 저녁을 먹을 때까지는 기억하고 있었다. 깜박하고 반나절이나 지난 지금 생각난 것이다.  성당 후문에는 일요일에만 오는 야채 트럭이 있다. 밭에서 직접 따온 신선한 야채에 늘 마음이 끌렸지만, 오후에 약속이 있거나 사람들이 줄지어 서 있기에 한 번도 사본 적은 없었다. 어제 미사를 끝내고 서둘러 주차장으로 가는 길이었다. 미사 후 부부 동반 모임이...
민정희
아침 안개 2023.10.11 (수)
  그는 거물이야 하늘과 바다를 합방시키고 밤과 낮의 경계를 허물지 사람이 만든 구획을 지우고신의 업적조차 무화시켜 버려 논둑이며 밭고랑을 후루룩 삼키고 강물을 통째로 들이마시는 그는미처 씹지 못한 봉우리 하나 허공에 둥실 뱉어 놓기도 해그는 고단수야 숨소리도 없이 진군해 와서 오랏줄도 없이 포박해 버리거든 품어 안는 척 발을 묶는사랑법이 내가 알던 누구와 기막히게 닮았어 겹겹이 진을 치고 포위해보아도 끝내 네 안으로...
최민자
     느긋하고 넉넉한 곳에 앉아 있으니     흐르는 시간도 늦은 걸음을 걷고     너울거리는 바람도 포도 넝쿨 사이로     시간을 몰아 마실 하듯 흐르는구려      너른 하늘과 땅을 쪼개고 가른 뒤     사람을 불러모아 도시는 살아가고     갇혀 살아가는 자고 깨는 반복은     우리 등을 떠 밀어 산과 물가로 내 몬다      톱과 망치로 손은 한가 할...
조규남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