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수양매화

정목일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3-04-17 09:20

정목일 / 캐나다 한국문협 회원
   사월 중순, 경기도 축령산 자락에 둘러싸인 아침 고요 수목원에서 한 여인을 만난다. 단번에 눈이 황홀해져 어쩔 줄 모르고 오랫동안 바라만 본다. 여인은 방문 밖으로 긴 주렴을 늘어뜨리고 그 안에서 홀로 가야금을 뜯고 있는가. 내 가슴에 덩기둥, 덩기둥 가야금 소리가 울리고 있다. 10만 평의 수목원을 가득 메운 꽃들 중에서 눈길을 사로잡은 것은 벚꽃, 매화, 목련 등 하얀 빛깔의 꽃이다. 나무 한 그루 씩이 거대한 꽃 궁궐을 이루고 있다. 어떻게 한꺼번에 깨달음의 꽃을 활짝 피워낸 것일까. 꽃나무들은 순결과 아름다움의 화신이거나 성자인 듯하다.

  눈부시게 하얀 꽃 궁궐을 이룬 벚꽃, 매화, 목련 꽃을 바라보다가 키가 작고 꽃송이가 듬성듬성 맺힌 수양 매화에 눈이 딱 머문다. 긴 머리카락이 땅에 닿을 듯하고 몸매가 늘씬한 미인이다. 처음 보는 고전적인 여인이다. 머리카락을 땅에 닿을 듯 풀어 내린 여인을 홀린 듯 바라본다. 하늘로 향해 머리를 곧추 세우며 뻗어간 나무들과는 느낌이 사뭇 다르다. 영락없는 수양버들인데, 가지마다 듬성듬성 매화 송이를 달고 있다.
매화는 사군자四君子 중의 하나로 지조와 결백의 상징으로 알아왔지만, 수양매화를 보긴 처음이다. 매화라면 지조 높은 군자의 꽃인 양 생각해 왔다. 그런 매화가 휘 늘어진 수양버들 가지에 듬성듬성 맺혀 있는 것인가. 수양매화를 홀린 듯 바라보면서 우아하고 청순한 갓 서른 살 쯤의 여인과 마주 보고 있는 느낌이다.
땅에 닿을 듯 축축 늘어진 실 가지 위에 피운 수양매화는 맑고 고귀한 기품을 보여준다. 땅을 향해 피는 꽃으로 제 모습을 감추는 아름다움, 겸손이 묻어 나는 꽃이다. 치렁 치렁 늘어진 초록빛 반지르르 윤이 나는 실가지들에 띄엄띄엄 꽃송이를 달아 놓았다. 한꺼번에 화들짝 피어나는 여느 꽃들과는 다르다. 단아하면서 여운을 지녔다. 땅으로 주렴을 드리운 채 방안에서 울리는 가야금 음절이 띄엄띄엄 꽃으로 피어난 것일까.

  부드럽게 아래로 쭉쭉 드리운 가지의 알맞은 간격마다 꽃들이 자리 잡아 미소를 띠고 있다. 화창한 봄 날에 꽃 드레스를 입고 나선 부끄러움 머금은 날씬한 봄 처녀의 모습이다. 부드럽게 휘어진 가지마다 영롱한 순백의 꽃, 수양매화는 다소곳이 고개를 숙이고 은은히 향기를 뿜어내고 있다.
수양매화는 네 가지 고귀함이 있다고 한다. 함부로 번성하지 않는 귀함, 어린 나무가 아니고 늙은 나무의 모습, 살찌지 않고 날씬한 모습, 활짝 핀 꽃이 아니고 오므린 꽃봉오리를 보이고 있다. 달밤이면 수양매화 가지 사이로 스며드는 향과 달빛은 보는 이들의 마음을 황홀하게 만들어 주리라.

  수양매화는 달밤이면 주렴을 드리운 방에 앉아 임을 기다리며 섬섬옥수纖纖玉手로 뜯는 가야금의 음절이 방울방울 피운 꽃이 아닐까. 가장 여성적이면서도 우아하고 기품이 있는 동양의 멋과 운치로 피워놓은 꽃일 듯싶다.
매화를 보면서 지조 높은 선비를 떠올리곤 했지만, 수양매화를 보고는 고귀하고 향기로운 여인을 만난 듯하다.
수양매화는 겨울의 혹독한 추위와 눈보라를 견뎌내고 초록의 분수가 되어 뿜어 오른 모습이다. 섬세한 초록빛 머리카락에 듬성듬성 흰 매화를 피워 놓은 모습은 고결하고 맑은 여운을 지니고 있다. 수양버들 가지에 어찌 매화가 피어 있는 것일까. 수양버들이 여성미를 드러낸다면, 눈 속에서도 피는 매화는 지조 있는 군자에 비교되곤 하지 않았던가.

  수양버들과 매화가 만나서 한 몸이 된 나무를 눈부신 듯 바라본다. 이 땅에 존재하는 나무들 중에서 가장 섬세하고 은근한 여성미를 지닌 나무를 품어보는 순간이다. 수양매화가 피어서 봄 날이 더 찬란하고 눈부시다. 한 번 만이라도 만났으면 싶은 여인을 여기서 대면한다. 마음이 눈부시고 가슴이 두근거린다. 어느 곳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동양의 어여쁜 여인이 봄 맞이 산책을 하고 있다.
아침 고요 수목원에 가서 봄철에 피는 수만 가지 꽃을 보았지만, 나무 중에서도 흰 꽃을 피우는 매화, 목련 꽃이 시선과 마음을 사로잡았다. 그보다도 청순하고 맑은 향기로 닿아오는 동양의 고유한 미소를 지닌 수양매화와 오랫동안 눈 맞춤 했다. 고아하고 섬섬한 수양매화는 내 마음속에 피어나 가야금을 울려주고 있다.
은은한 달빛 속에 한 번이라도 수양매화 같은 여인을 만나고 싶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특별한 봄 2023.05.08 (월)
  해마다 봄은 온다. 들판을 수놓는 갖가지 꽃들과 포근히 내리는 봄비도 변함이 없다. 나이 들어 몸에 적신호가 오고부터 봄이 특별해지고 감사하다.젊을 땐 신경 쓰지 않았던 건강을 지금은 영양제를 챙겨 먹고, 하루 칠천 보 이상 걷는 걸 자구책으로 삼는다. 해빙기로 땅이 질퍽해도 불평하지 않고 피어날 꽃망울을 사랑스럽게 바라보며 자연에 밀착한다. 너그러워지고, 느긋해져야 한다며 십계명을 외우듯 독백한다.갈수록 장수하는 노인들이...
이명희
봄 날의 호사 2023.05.08 (월)
북서풍이 떠나며 남긴 눈 녹은 물빗방울 되어 부서지는 소리동남풍에 실려 여기 왔네얼음 속 건져 낸 꽃망울 터지는 소리깨어지는 겨울 자리 틈 사이로적셔지듯 스며드는 봄의 속삭임시퍼렇게 겨루었던 동남 북서풍서로 끌어 안고 빗물 되어 흐르네온 세상 고즈녘히 가랑비에 젖는데매실 차 하나 찻잔에 채우고빗방울 소리로 휘저어 주는반가사유눈물이 핑 돈다 이 봄 날의 호사
조규남
노랗게 송홧가루 날리며수려한 사월이 진다고슬퍼하지 않겠습니다분홍 꽃눈 나리는 나무 아래서내 안에 있는 이름나직이 불러보며보고 싶다 말하지 않겠습니다이슬비가 눈처럼 내려살 떨리도록 추워도외롭다고 눈물 흘리지 않겠습니다바람 부는 날이면그리움의 깃발 나부끼며오롯이 내생의 봄날을기다리고 또 기다릴 뿐입니다.
임현숙
  코로나 팬데믹이 3년째 세계를 괴롭히고 있다. 옛날에는 전염병이 지방에서 그쳤는데 요즘은 전염병이 비행기를 타고 다니기 때문에 온 세계가 몸살을 앓고 있다. 그런 와중에 2022년 2월 24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략했다. 2022년 5월 16일 ‘로이터통신’ 발 뉴스가 전 세계로 타전되었다. 모스크바를 비롯한 러시아 전역에서 영업 중인 847개 맥도널드 매장 모두 영업을 중단하고 철수한다는 것이다. 맥도널드가 모스크바에 첫 영업점을 개설한...
권순욱
골목 2023.05.02 (화)
   골목은 눈부시지 않아서 좋다. 휘황한 네온 사인도, 대형마트도, 요란한 차량의 행렬도 없다. ‘열려라 참깨!’를 외치지 않아도 스르륵 열리는 자동 문이나, 제복 입은 경비원이 탐색하는 눈빛으로 위아래를 훑어 내리는 고층 빌딩도 눈에 띄지 않는다. 길목 어름에 구멍 가게 하나, 모퉁이 뒤에 허름한 맛집 하나 은밀하게 숨겨두고, 오가는 사람들의 발자국 소리를 일상의 맥박  삼아 두근거리는, 웅숭깊고 되바라지지 않은 샛길이어서...
최민자
백로 2023.05.02 (화)
얼어붙은 호수 위굶주린 흰 새발 시려 외 발로 서서각시 붕어, 비단 잉어발 아래 노니는 꼴망연히 보다가큰 날개 하야니 펼쳐두세 번 날갯짓으로소나무 꼭지에 앉으니굶주린 걸 객 신세가한순간 신선이 되어겨울 그림 그린다
김철훈
호수가 위 돌다리 2023.04.24 (월)
호수가 위 돌다리 가만히 호수 위를 바라본다일렁이는 잔물결이 흔들흔들 끊임없지만하나씩 눈치챌 때물살을 헤치는 방해꾼오리 두 마리호수 위의 잔영이 부서져 간다때마침 어디선가 불어오는 큰바람많이 부드러워진 것이 내 마음의 돛대를 펄럭이고호수에는 하늘이 파랗고 그 안에 점점이 하얀 구름 일렁인다그 옆의 물결들은 신이 난 노란색 개구쟁이들 무얼까아 하 버드나무 어린 새잎이 피었구나봄이 이렇게 와 있었구나!
박락준
물건의 의미 2023.04.24 (월)
"무슨 짓이야?"엄마, 나는 정리 좀 하려고 한 건데?""놔둬! 비어있는 공간을 보는 게 싫어. 난 벽이 휑하니 비어 있으면 싫다구!"내가 거실 찬장에 물건들을 꺼내 상자 안에 절반쯤 집어 넣고 있을 때, 나를 본 엄마는 언짢은 목소리로 소리치셨다. 그리고 내가 들고있던 머그잔을 낚아채 가셨다. 내 딴에는 간만에 딸 노릇 하겠다는 가상한 노력이었지만, 엄마의 입장에서는 무심한 타인이 당신 공간을 훼손시킨 것이었다. 한국을 떠나 9년 만에 들어가서...
김보배아이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