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어느 날 오후

김의원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9-02-25 09:32

김의원 / 캐나다 한국문협 회원
캐나다에 온 지 거의 반세기가 지났다. 한국에서 산 것보다 훨씬 더 많은 년 수를 보냈으니
가히 해외교포라 할 수 있다. 이 곳 생활은 서로 분주해서 주중에는 저녁이 되어야 식구가
같이 지낸다. 주말이나, 공휴일이 되면 가족이 함께 지낼 수 있어서 얼마나 기뻐하였었는지.
늘 휴일이나 주말이 되기를 고대했었다. 이런 생활은 아들이 장가가고 은퇴하기까지
계속되었다.
은퇴하고 나니 우리 둘만 남고, 하루하루가 휴일이니 7일 24시간 함께 지낸다. 언어도
다르고 문화도 다른 이국 땅에서 사니 사회생활에서 사교의 범위가 제한되어 있다.
일가친척은 물론 친하게 지내는 친구도 몇 안 된다. 새로운 사람들과 사귀어야 하는데 우선
언어 장벽 때문에 본토인들과 의사소통이 원활치 못하다. 직장생활을 30여 년 간 했는데
친절한 사람들을 만나지만 개인적으로 가족이 오가며 사귄 사람은 거의 없다. 언어의
중요성을 절실하게 느낀다. 문화는 오래 살아보면 어느 정도 이해가 되고 배우게 되는데
언어는 만만치가 않다. 언어 소통이 잘 되면 문화 습득도 빠르겠다는 생각이 들지만.
영어권에서 반세기 살았지만, 말을 완전하게 알아듣는 게 나는 쉽지가 않다. 아직도 새,
나무, 물고기, 꽃등의 이름을 모르는 것이 수두룩하다. 허기는 한국 이름을 다 아는 것도
아니지만. 직장에서는 전문 분야에 대하여 이야기할 때는 어느 정도 문제가 없었다.
커피타임에 동료들이 같이 앉아 자유롭게 농담하며 사회 문제들에 대하여 왁자지껄하며
대화할 때가 문제였다. 완전히 알아듣기가 쉽지 않아서 동료들은 웃는데 나는 왜 웃는지
이해가 안 될 때가 가끔 있었다. 특히 인기 있는 TV프로 “시트콤”을 보게 되면 동료들은
까르르 하고 웃는데 왜 웃는지 모를 때가 많았다.

세상의 언어가 다르고 인종이 다른 것에 대하여 성경에서는 처음에는 “온 땅의 언어가
하나요 말이 하나였더라. (창세기 11:1)”라고 했다. 인류가 성읍과 탑을 건설하여 그 탑
꼭대기를 하늘에 닿게 하여 자신들의 이름을 내고자 하는 것을 하나님께서 보시고 “……. 한
족속이요 언어도 하나이므로 이같이 시작하였으니 이후로는 그 경영하는 일을 금지할 수
없으리로다. (창세기 11:6)”라고 하시면서 언어를 혼잡게 하여 서로 알아듣지 못하게 하고
그들을 온 지면에 흩으신 고로 성 쌓기를 그쳤다고 했다.
인류는 다섯 가지로 분류되어 있고, 세계 언어의 종류는 6,500개가 넘는다고 한다. 종족은
어떻게 달라졌는지 나는 궁금하다. 언어는 생활 수단으로 수렵할 때 서로 신호를 교환하는
데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언어 중에 나로서는 한국어와 영어를 주로 생활 수단으로 쓰고
있는 셈이다. 일본어, 중국어, 독어 정도를 배운 일이 있는데 생활 수단으로 쓰기에는 어림도
없다. 
살다 보면 자연히 문화와 언어의 배경이 같은 한인이 모이는 동문회, 교회 또는 한인회를
찾게 된다. 교회를 다녔던 우리 부부는 교회 중심의 생활이 되었다. 한국에 있는 친구들과
오랫동안 만나지 못하고 떨어져 사니 친구라고 하기에는 너무나 먼 당신이 되어간다.
교회에서 여러 사람을 만나게 되는데 같은 학교 또는 같은 고향에서 왔다고 하면 참으로
반갑다. 학교 동문회는 그런 면에서 좋은 사교의 모임이 된다. 교회는 배경이 서로 다른
여러 부류의 사람들이 모이니 서로 교제하는 데 때로는 부담스러움이 있는 게 사실이다.
동문회는 매주 만나는 것은 아니지만 같은 학교에서 같은 선생님들에게 배웠다는 동질감
때문에 마음이 편하고 친근감이 간다. 동문회 중에도 고등학교 동문회가 가장 마음이
편하다. 거기에다 동기생이 있으면 더욱 신이 난다. 많은 동문이 밴쿠버 지역에 사는데 그
중에 나와 고등학교, 대학교를 같이 나온 동문이 하나 있다. 당연히 우리는 친한 친구가
되었다.
버나비 (Burnaby)에 있는 Metrotown Shopping Center는 British Columbia에서 규모가
제일 크다고 한다. 광역 밴쿠버 (Greater Vancouver) 중심에 있고 Sky Train 역이
연결되어 있다. 매일 평일에도 엄청난 수의 사람들이 오가고 있다. Food Court에는 세계
여러 나라 식당들이 있고 여러 인종을 만날 수 있다. 백인종, 흑인종, 황인종, 그리고 필리핀
사람처럼 약간 검은 인종은 맨눈으로 구별할 수 있다. 사실 인종의 “살아있는 전시장”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어느 날 오후 동기 친구와 우리 부부는 커피를 마시기 위해 푸드코트에 갔다. 사람이 하도
많아서 3명이 같이 앉기가 쉽지가 않았다. 겨우 자리를 확보하고 커피를 마시며 사람 많은
것에 대해 감탄하며 이야기를 나누는데 갑자기 경보종이 간헐적으로 울리며 공중 경보가
확성기를 통하여 공포되었다. 우리는 깜짝 놀라 무슨 경보인가 알기 위해 귀를 기울였으나
알아듣기가 어려웠다. 두 번, 세 번 공포되는데 여전히 알 수가 없었다. 주위를 둘러보니

놀랍게도 그 많은 사람이 꼼짝도 안 하고 무관심하게 앉아있는 것이 아닌가. 혹시나 백인은
움직이지 않나 둘러보는 데 그들도 안 움직였다. 우리 눈에 거의 반 이상이 황인종이고
백인종은 가끔 눈에 띄었다. 아무도 움직이지 않아서 대중을 따라 우리도 계속 이야기를
나누며 공포하는 말이 무엇인지 모르는 것에 대해 실소를 했다. 사실 푸드코트의 확성기
시스템의 품질은 아주 열악해서 한국말로 했어도 못 알아들었으리라 고 스스로 위로도
했지만 어쩐지 기분이 씁쓸함을 감출 수 없었다. 과연 영어권 사람은 알아들었을까?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현재 우리가 사는 시대는 정보와 통신이 사회생활의 주축을 이루는 소위 “정보사회”에 살고 있다. 영국에서 19세기 초에 제임스 와트가 증기관을 발명해서 엄청난 동력 생성이 가능했고, 동력을 응용한 대량 제품생산 기계와 육·해상 교통기관이 발달하여 산업혁명을 일으켰다. 잉여 생산물을 세계적으로 유통하여 막대한 부를 축적하여 한때 “해가 지지 않는 나라”라는 별명도 생겼다. 증기기관의 발명이 산업혁명을 일으켜...
김의원
매년 12월로 접어들면 여러 가지 행사로 하는 일 없이 분주하다. 상업적으로는 가까운 미국의 추수감사절로 시작되는 상품 광고 캠페인에 연이어 Black Friday Sale, Cyber Monday Sale, Christmas Special Sale, Boxing Day Sale 등등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Online, Offline 광고가 밀물처럼 넘쳐난다. 별로 필요한 물건이 없는데도 광고의 물결이 우리의 시간을 은근히 뺏는다. 한편 동창회다, 동향회다, 동호회다, 송년회다 하여 모두 12월에 몰려 있어 다 참석하는 것은...
김의원 / 캐나다 한국문협 회원
버나비에 있는 중앙공원(Central Park)은 “도시의 보석”(A Jewel in the City)라는별명이 있을 정도로 큰 도시의 한복판에 자리 잡은 아름다운 공원이다. 지리적으로 광역밴쿠버의 중앙에 자리 잡고 있어 부친 이름으로 사료된다. 별명 그대로 보석같이희귀하고, 아름다운 공원이다. 역사를 알아보니 1891년에 공원으로 지정되었는데그전에는 벌목장이었다고 한다. 이로 미뤄보면 130여 년 전에는 버나비 일대가 울창한숲이었다고 짐작할 수 있다. 태평양 연안에...
김의원
어느 날 오후 2019.02.25 (월)
캐나다에 온 지 거의 반세기가 지났다. 한국에서 산 것보다 훨씬 더 많은 년 수를 보냈으니가히 해외교포라 할 수 있다. 이 곳 생활은 서로 분주해서 주중에는 저녁이 되어야 식구가같이 지낸다. 주말이나, 공휴일이 되면 가족이 함께 지낼 수 있어서 얼마나 기뻐하였었는지.늘 휴일이나 주말이 되기를 고대했었다. 이런 생활은 아들이 장가가고 은퇴하기까지계속되었다.은퇴하고 나니 우리 둘만 남고, 하루하루가 휴일이니 7일 24시간 함께 지낸다....
김의원
요사이 Internet을 통하여 걷기 운동에 관하여 검색해 보면 엄청나게 많은 수의 기사들을볼 수 있어 정말 정보 홍수 시대에 살고 있다는 것을 실감하게 된다. 일반적인 결론은 나이에상관없이 걷기 운동이 육체적 건강뿐 아니고 정신건강에도 커다란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70 중반에 들어서니 여러 동년배 친구들이 노인 건강에 대한 정보가 있으면 미디어를 통해공유하는데 최근 특별히 내 눈을 끈 것은 “하루 걸음 수와 운동 효과”라는 기사였다....
김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