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원어민 강사들이 말하는 한국인이 영어 못하는 이유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8-04-03 00:00

실수 두려워 말아야 말하기 능력 향상 진짜 영어와 ‘콩글리시’ 구별 해야 발음 중요하지만 너무 집착하면 역효과

한국인의 영어 공부에 대한 열정은 세계에서 두 번째 가라면 서러울 정도다. 그러나 영어 시험인 토플 점수는 세계 134개국 중 77위를 기록하고 있다. 대학 나와도 외국인과 자유롭게 의사 소통하기는 어렵다.

반면 중국어 구사 실력은 세계에서 최고 중의 하나로 손꼽힌다. 중국 교육부에서 인증하는 중국어능력시험(HSK) 응시자 16만2000명 중 61%인 9만9000명이 한국인이고, 그 중 중국 대학원에 진학할 수 있는 수준인 고급 HSK 취득자의 80%가 한국인이다.

영어는 초등학교 때부터 배워 대학을 나와도 잘 못하는데 중국어는 고등학교 때 배우기 시작해서도 잘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한국인이 영어를 못하는 이유’를 서울 삼성동 월스트리트 인스티튜트 삼성센터에서 영어를 가르치는 토드 마레스코(Todd Marescaux·30·캐나다), 샘 위긴턴(Sam Wigginton·30·호주), 마틴 스케치리(Martin Sketchly·30·영국), 제인 두발(Zane Duval·29·미국) 등 4명에게 물었다. 이들은 ‘영어 발음을 잘못 알고 있다’ ‘문법에 집착하는 등 공부 방법이 틀렸다’ 등 현장에서 수강생을 가르치며 발견한 원인들을 말해줬다.

마틴 스케치리_한국어에 존재하지 않는 영어 발음이 있는데 이걸 한글 표기 방식으로 생각하다 보니 발음을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많다.

샘 위긴턴_대표적인 게 ‘th’ 발음이다. 한국인은 ‘쓰’란 발음으로 알고 있다. ‘썸씽(something)’ ‘쌩큐(thank you)’ 따위로 발음하는데 원어민은 알아 듣기 힘들다. ‘bank’ 같은 경우 끝 자음에 모음을 붙이려고 한다. 한국어는 자음과 모음이 있어야 소리가 나기 때문이다. 하지만 영어는 다르다. ‘bank’를 뱅‘크’라고 ‘크’를 강조해서 발음하면 외국인은 알아듣기 힘들다.

제인 두발_ 한국어에는 ‘f’ 발음이 없는데, 재미있는 것은 한국인이 영어를 할 때 ‘f’와 ‘p’ 발음을 엉뚱하게 섞어 쓴다는 것이다. ‘f’와 ‘p’ 발음을 섞어 쓰면 원어민은 한국인이 하는 영어를 헷갈려 한다.

토드 마레스코_ 혀도 근육의 일종이다. 근육은 훈련을 통해서 모양을 갖춰간다. 그러므로 정확한 발음을 익힐 시기는 근육이 모양을 갖추기 전인 어렸을 때이다. 어렸을 때 정확한 발음을 배우지 못한다면 커서 고치기 힘든 게 사실이다.

샘_ 그렇지만 발음에 너무 집착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반기문 UN 사무총장의 발음은 완벽하진 않지만 아무도 이해하는 데 문제가 있다고 말하지 않는다. 영국·호주의 영어는 미국 영어와 악센트가 다르다. 요점은 발음이 완벽할 필요는 없지만 그렇다고 한글식 표기에만 집착해서 발음을 익히면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토드_ 한국 사람들은 문법에 집중한다. 실용적인 영어를 배우지 않는다. 유럽 사람들이 비교적 영어를 잘하는데 이들은 여러 나라에 여행을 많이 다니면서 실생활에서 영어를 배운다.

마틴_ 한국의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영어 문법을 분석하고 외우도록 한다. 한국인들은 영어를 기능적인 면보다는 문법적으로 접근하는 습관이 있다. 단어를 외우고 시험 보는 기술을 익히는 데 정신을 쏟는다. 하지만 의사소통 방법을 가르치는 데 좀더 초점을 맞춰야 할 것 같다.

토드_ 영어를 배울 때 우선 모국어(한국어)를 어떻게 배웠는지 되짚어보길 바란다. 어릴 때 문법이 뭔지부터 배웠나. 아니다. 말하고 듣기를 반복하면서 배웠다.

샘_ 한국인이 영어를 분석하는 데 신경을 쏟는 문제는 기성세대가 영어를 배울 때 문법이나 해석에 치중했기 때문인 것 같다. 원어민은 왜 맞는지는 모르지만 본능적으로 맞는 영어를 쓴다.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면서 익혔기 때문이다. 반복 학습이 중요한 이유다.

토드_ 한국인들은 자기들끼리 영어로 말하다가 콩글리시를 마치 영어인 것처럼 오해하는 경우가 많다. 한국인끼리 얘기한다면 콩글리시가 서로 이해하기 쉽겠지만, 원어민과는 의사 소통하기가 힘들다. 오랫동안 한국에서 영어를 가르친 원어민 학원 강사들조차 콩글리시에 익숙해져 본국의 친구와 통화하다 의사소통이 안 될 때가 있다.

샘_ 한국에선 누구나 핸드폰이라고 한다. 정확한 단어인 ‘cell phone’이나 ‘mobile phone’이라고 말하는 사람이 없다. 오피스텔, 백넘버, 백미러…. 이런 말은 외국인이 알아듣지 못한다. 우리는 한국인이 애프터서비스라고 알고 있는 뜻에 해당하는 말을 써야 할 때 워런티(warranty)라고 한다. 사례를 들려면 한이 없다. 한국 사람은 진짜 영어와 콩글리시를 구별하는 방법을 배워야 할 것 같다. 외국에서 잘못 사용하면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도 있다.

제인_ 콩글리시는 영어를 사전식으로 직역하거나 어떻게 영어 단어가 생겨났는지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생겨난 것 같다. 콩글리시를 많이 사용하면 한국인들끼리만 이해하는 영어를 양산한다.

토드_ 한국인이 자주 쓰는 영어 단어 중 ‘스킨십’이 있다. 캐나다에 있는 친구와 전화를 하다가 나도 모르게 ‘스킨십’이란 단어가 나왔다. 하지만 캐나다 친구가 이해를 못하더라. 한국인이 ‘스킨십’이라고 쓰는 뜻을 가리키는 한 단어의 영어는 없다. 영어에선 ‘악수를 한다’든가 ‘어깨를 쓰다듬는다’든가 하는 구체적인 행동을 가리키는 말을 쓴다.

샘_ 한국인들은 영어를 말할 때 남을 너무 신경 쓴다. 말하기 능력을 높이려면 실수를 두려워하지 말아야 한다. 처음부터 유창하게 말할 수 없다는 건 누구나 다 안다.

마틴_ 영어를 완벽하게 말하려고 하기 때문인 것 같다. 직장 상사, 친구 같은 아는 사람 앞에서는 영어를 말하는 것을 주저한다.

샘_ 대기업 직원에게 휴대전화를 걸 기회가 많다. 매번 걸 때마다 전화를 받는 사람은 한참 얘기를 하지 않다가 “Hold on(기다리세요)”하고는 사무실 밖으로 나가는 소리가 난 후에 “O.K. Now I can talk(됐어요. 이제 말할 수 있어요)”라고 하면서 말을 한다. 아마 화장실에 가서 받는 모양이다. 영어를 할 때 남을 의식하기 때문이다.

토드_ 한국에서 실수를 고치는 방법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 학교에선 실수를 하면 체벌을 하기 때문에 실수를 두려워하는 게 아닐까라는 생각을 하기도 했다.

마틴_ 학원에서 한참 영어를 쓴 후에 집에 가서는 한국어만 말한다. 수업 이외에 영어를 말할 기회가 적다. 번역보다는 생활 속에서 사용할 기회를 만들어 줘야 한다.

샘_ 영어를 공부해라, 문법을 공부해라 말하기보단 영어를 사용하는 환경을 많이 만들어 줘야 할 것 같다. 언어는 반복이 중요하다. 한번에 5~6시간씩 몰아서 하는 것보다 단지 30분씩이라도 매일 연습하는 게 효과가 좋다.

방현철 기자 banghc@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2001년 이후 간호 인력 1만3000명 배출
2001년 이후 BC주 간호학과 정원이 2배 늘어났다고 BC주정부가 발표했다. 주정부는 7일 발표한 보도자료를 통해 2001년 이후 BC주 공립 교육기관에서 간호학 과정을 마친 이수자 가 1만3000명에 달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주정부가 밝힌 통계에 따르면,...
주정부 승인…4년 프로그램
SFU에 노년학(gerontology) 박사 과정이 개설된다. 머레이 코엘 BC주 고등교육부 장관은 7일 발표한 보도자료를 통해 주정부가 SFU의 노년학 박사 과정 개설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SFU 노년학 박사 과정은 4년 프로그램으로, 현재 SFU가 운영하고 있는 2개의 석사...
무료 법률 상담 서비스 ‘액세스 저스티스’
◇ 지난 4월 29일 버나비 소재 석세스 오피스에서 열린 강좌에서 액세스 저스티스 관계자들이 무료 법률 상담 서비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재정적으로 어려운 사람들에게 무료 법률 상담을 제공하고 있는 ‘액세스 저스티스’(Access Justice)가 지난 4월 29일...
주정부 발표… “공립 축소하고 사설 놀이방 늘린 탓” 비난도
BC주정부는 2010년까지 BC주내 놀이방(탁아소) 2000개소를 창출한다는 목표가 초과 달성됐다고 8일 발표했다. 린다 레이드 BC보육 정무장관은 “지난해 가을 주정부는 2000개 탁아공간 추가를 위해 1250만달러 지원을 발표한 바 있다”며 “지원 결과 2010년까지 BC주내...
"이런 것 아세요?" 2008.05.08 (목)
랭리 교육청 유학생 지도 세미나
랭리 지역 9개 초·중·고등학교 유학생 가정과 가디언 예정자를 대상으로 한 학생지도 세미나가 8일 오후 1시 랭리 교육청에서 열렸다. 9월 새 학기를 앞두고 유학생 관리 및 유의점 등을 안내한 세미나에는 한국계 미키 홍씨가 나와 한국과 캐나다의 문화차이에...
BC주는 유일하게 증가
아파트 건설이 줄어들면서 주택 착공물량도 크게 감소했으나 BC주는 캐나다 전국에서 유일하게 착공물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캐나다주택금융공사(CMHC) 발표에 따르면 4월 주택 착공건수는 21만3900호(계절조정치)로 지난 달보다 12% 가까이 감소했다....
34억달러 규모, 26개 개발사업 1분기 착공
올해 1분기를 포함해 연속 19분기 동안 BC주내 주요 개발...
노스 밴쿠버에서 6일 밤늦게 발생한 아파트 화재로 인해 일가족 3명이 목숨을 잃었다. 화재는 이스트 19가(E19 St.) 155번지 3층 아파트에서 오후 9시45분경 발화한 후 급속하게 퍼졌다. 소방관이 도착했을 때는 3개 세대가 완전히 화염에 휩싸여 있었다. 소방대는...
누적 흑자 4억8800만달러 기록
메트로밴쿠버 교통사업을 총괄하는 트랜스링크가 지난해 8800만달러 흑자 운영을 한 것으로 집계됐다. 트랜스링크가 공개한 2007년 결산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수입은 8억9640만달러, 지출은 운영비 6억8200만달러와 채무상환비용 1억2650만달러를 기록해 8800만달러...
주정부, 2009 써머 게임 지원단 구성
BC주정부는 캐나다 전국체전인 ‘2009 캐나다 써머 게임(Canada Summer Games)’에 참가하는 선수단 지원을 위한 실무진을 구성했다고 5일 발표했다. 스탄 하겐 BC관광 스포츠 및 예술부 장관은 “캐나다 써머 게임은 하계올림픽 출전자격을 얻으려는 선수들이 거쳐야 할...
주정부 승인…4년 프로그램
SFU에 노년학(gerontology) 박사 과정이 개설된다. 머레이 코엘 BC주 고등교육부 장관은 7일 발표한 보도자료를 통해 주정부가 SFU의 노년학 박사 과정 개설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SFU 노년학 박사 과정은 4년 프로그램으로, 현재 SFU가 운영하고 있는 2개의 석사...
5월4일, 5일 저녁 밴쿠버한국무용단(단장 정혜승)의 12주년 정기공연이 성대하게 펼쳐졌다. 새로운 한국무용을 개척하기 위한 시도와 함께 무대장치와 의상, 음악에서도 파격을 선보인 이번 공연은, 그동안 한국인들만의 전통 춤 사위에 국한되었던 우리 춤을...
9년 전보다 호경기…주정부 채무 상환노력 아직 필요한 상태
캐나다 납세자연맹(CTF)이 마니토바주정부의 세금정책 비판을 위해 5일 배포한 보고서를 보면, BC주는 뉴펀들랜드주와 알버타주 등 평균 4% 성장률을 보이는 산유주(産油州)에 이어 캐나다에서 3번째로 높은 9년 평균 3.3%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됐다. 올해 BC주...
체중계의 수치로 다이어트의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각종 광고에서도 몇 킬로그램을 몇 일만에 빼주겠다는
10년간의 소득 재분배와 계층의 갈등을 해소하겠다면 서민 경제활성화 대책만을 꿋꿋이 밀고 가자 했던 김대중, 노무현 정부가 물러가고 10년 만에 보수와 경제중심성장정책을 기치로 내세운 정권이 들어서면서 대다수 지지를 보냈던 국민들의 기대감속에는 사실...
지난 몇 주간 볼 만한 영화가 없다고 불만을 터뜨리던 관객 여러분을 위한 희소식. 5월 첫 주말 조선일보 영화팀의 선택은 1억8000만달러(미화)의 엄청난 제작비에 대해 별 이의를 제기하고 싶지 않은 대작 액션영화‘아이언맨(Iron Man)’이다. 나약한 인간이 첨단...
‘마샬 꽃집’대표 유명자씨
꽃집은 여성 창업자들이 선호하는 창업 아이템 중 하나다. 특히 취미로 꽃꽂이를 배운 여성들이 창업으로 연결하기에 좋고 소자본 창업이 가능하다는 것, 꽃이라는 점이 여성창업자들의 구미
미얀마 군사정부는 사이클론이 중남부 지방을 강타하면서 1만3천명의 희생자를 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5일 보도했다.미얀마 주재 서방 외교 소식통은 군정당국은 이라와디와 양곤 지방을 강타한 사이클론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1만명, 실종자...
한국 여자하키 대표팀이 빅토리아에서 열린 올림픽 출전 예선에서 6회 연속 올림픽 출전권을 따냈다. 사진은 4일 빅토리아의 경기장 스탠드를 가득 메운 한인 응원객들.   한국 대표팀이 상대팀과 볼을 다투고 있다.   MVP를 받은 박미현 선수...
목수·배관공·전기기사·자동차서비스 기술자 인기
BC주내 도제과정에 등록한 학생수가 올해 3월 31일 현재 거의 4만명에 도달해 BC주 산업훈련청(ITA)이 정한 목표모집인원을 4년 연속 초과했다고 5일 BC주 경제개발부가 발표했다. 콜린 한센 BC경제개발부 장관은 도제인력이 BC주 인력부족 해소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1381  1382  1383  1384  1385  1386  1387  1388  1389  1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