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보건소 통한 치과진료 도움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7-03-22 00:00

아이들의 치아관리 ABC

지난 주 목요일 석세스의 목요 패런팅 클럽에서는 보건소(Public Health Unit)에서 온 치위생사(Dental Hygienist)가 어린아이들의 치아관리에 대한 워크숍을 했다. 그 워크숍에서 다뤄진 내용을 포함하여 어린이 치아관리에 관련된 요긴한 정보들을 정리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첫 치과 방문: 첫 이가 나온 후 6개월이 지나면 아이와 함께 치과를 방문하는 것이 좋다. 아이가 치통이 있다고 호소할 때 처음으로 치과를 가게 되면 그 때는 이미 너무 늦다.

▶칫솔질·치약사용: 신생아 때부터 하루에 두 번 정도 불소가 든 치약을 사용하여 아이의 입안을 청소해주는 것이 좋다. 손가락이나 거즈에 아주 적은 양의 치약을 묻혀 아이의 잇몸 주변을 부드럽게 닦아준다. 아이가 입안을 청소하는 것과 치약의 맛에 익숙해지게 된다. 여러 개의 이가 나게 되면, 작고 부드러운 아기용 칫솔에 1~2mm의 치약을 묻혀 하루 두 번 이를 닦아 주는데, 아이가 초등학교 들어가기 전까지는 부모가 직접 닦아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칫솔질은 이와 잇몸이 만나는 경계선 부분에 칫솔의 모서리가 닿도록 하여 몇 번 문지른 후 칫솔을 위 혹은 아래로 쓸어내리는 식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칫솔질 후 입에 남은 치약은 적은 양일 경우 삼켜도 해롭지 않으므로 아이들의 경우 불필요하게 많은 양의 치약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컵 사용: 돌을 전후하여  컵 사용을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유나 포뮬러, 심지어 모유에도 설탕성분이 있어 젖병을 물고 있는 동안 이가 썩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젖병이나 엄마 젖을 물고 자는 것이 버릇이 되면 앞니가 썩기 쉽다. 목마를 때 주스를 마시는 것도 이에는 좋지 않다. 주스에 든 설탕성분 때문이다. 차라리 물을 젖병에 넣어 마시는 것이 좋다.

▶충치의 전조: 아이의 이를 살펴보아 이를 둘러싼 하얀 에나멜부분이 지나치게 하얗게 변색되고 표면이 약간 푸석해졌으면 이가 썩을 가능성이 높다는 증거이므로 치과에 데려가야 조기 예방이 가능하다. 이 표면이 군데군데 누렇게 변색이 되는 것도 충치의 전조이므로 치과에 가야 한다. 아이가 이가 아프다고 하면 이미 충치가 깊어진 것이다.

▶무료 불소도포 서비스: 보건소에서는  4세 이하의 아이들에게 무료로 불소도포(free fluoride varnish) 서비스를 하고 있다. 아이의 이에 작은 솔로 불소를 발라주는 것이며 1분 정도 밖에 걸리지 않는 간단한 과정이다. 4개월마다 이 과정을 반복해주면 충치예방에 매우 좋다. 가까운 보건소(Public Health Unit)가 어디인지 알아보려면 인터넷으로 ‘Public Health Unit’을 찾아보면 된다. 보건소에서는 이 외에 무료 예방접종, 시력 및 청력검사, 가까운 병원 및 치과 안내, 돈이 없어 치료를 못 받는 사람들을 위한 무료 치료 알선 등의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Healthy Kids dental service: 의료보험(MSP) 보조(premium assistance)를 받고 있는 사람(연간 가족 순소득 2만8000달러 이하)은 ‘Healthy Kids Benefit’이라 하여 18세 이하의 어린이를 위한 치과와 안과혜택이 같이 주어지는데, 6개월에 한번씩의 정기검진과 클리닝 그리고 1년에 700달러까지 치과 치료비가 커버된다. 아이의 의료보험 카드(care card) 번호를 대면 보건소에서 그 아이가 이 보조를 받을 수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저소득층인데도 이 프로그램의 혜택을 아직 받고있지 못하다면 가까운 이민자봉사단체나 정부사무실 등에서 ‘의료보험 보조 신청서’(Application for Regular Premium Assistance)를 작성하여 접수하면 된다. 신청서는 웹사이트(www.hlth.gov.bc.ca/forms.html)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모든 치과가 이 프로그램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아니므로 치과 치료 전에 그 치과가 Healthy Kids Dental Benefit 환자를 받는지 물어보아야 한다. 이미 지불된 비용은 환불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 외에 보건소에 문의하면 각 지역마다 저렴한 비용으로 치과진료를 받을 수 있는 시설들을 안내받을 수 있다. 커뮤니티 칼리지 등에서 제공하는 이러한 낮은 비용의 치과진료 서비스는 치과보험이 없는 성인들에게는 매우 다행스러운 서비스가 아닐 수 없다.

이민자들에게 치과진료는 높은 비용으로 인해 큰 부담을 준다. 위에서 소개한 다양한 방법과 서비스를 통해 충치 예방 뿐 아니라 치과진료 비용절감의 효과까지 얻을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 충치없는 세상을 꿈꾸며...

조은숙·석세스 다문화 초기아동발달팀

격주로 게재되는 이 칼럼은 Ministry of Family and Child Development와 United Way of Lower Mainland의 자금지원을 받아  트라이 시티 지역에 국한되어 시행되고 있는 S.U.C.C.E.S.S. 의 Multicultual  Early Childhood Development Project의 일환으로,  한국인 영유아 부모님들을 위한 유익한 정보제공을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칼럼내용과 관련하여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S.U.C.C.E.S.S. 초기아동발달팀 (604-468-6101)으로 연락해 주십시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춘계축구대회 조별 전력분석(I)
올해 탄생한 BC한인축구협회(회장 한정구)가 처음으로 주최하는 춘계축구대회가 오는 5월 5일 시작된다. 본사가 공식 후원하는 이번 대회에는 한인 축구대회 역사상 가장 많은 20개 팀이
주부들의 기초 영어회화 모임 6명 정원, 현재 주부들 ‘졸업’ 후 다시 모집 할 예정
◇ 뉴웨스트민스터에서 차를 마시며 영어공부를 하고 있는 주부들과 이들을 지도하는 조앤 윤씨. 이들은 모두 이 모임이 너무나 유익하고 도움이 된다며, 장소를 제공한 사람과 더불어 조앤 윤씨에게 고마움을 표시하며 밴쿠버의 다른 지역에도 이런 모임이...
WRCAI 공해배출시장 참여 포석
BC주정부 고든 캠벨 주수상은 24일 미국 5개주(州)가 발기한 서부지역 기후대응 이니셔티브(WRCAI)에 가입해 향후 기후변화문제와 온실가스(GHG)배출량 감소 문제에 공동 대응하겠다고 발표했다. WRCAI는 미국 워싱턴, 오레곤, 아리조나, 캘리포니아, 뉴멕시코주가 2006년...
70년간 이어진 원주민 반발 수용
BC주의원들은 수년간의 논의 끝에 BC주의사당 중앙홀에 그려진 벽화를 철거하기로 결정했다. 그간 원주민 대표들은 70년전 그려진 주의사당 중앙홀 벽화 중 4점에 대해 불쾌함을 표시해왔다. 4점 중 1점은 상체를 벗은 원주민 여성이 목재를 옮기는 것을 백인 남성이...
2000달러 보상 판결
빚을 받아내는 방법이 정당하지 않으면 채무자에게 피해 보상을 해야 한다는 판결이 나왔다. BC주 법원은 “콜렉션 에이전시 회사인 토탈 크레딧 리커버리사가 빚을 받기 위해 채무자 캐롤 로츠(60세)씨에게 무리한 방법을 사용했다”며 “회사측이 로츠씨에게...
시민단체 ‘No One Is Illegal’ 시위
시민단체 ‘No One Is Illegal’ 회원들이 23일 오후 다운타운 연방 이민부 사무소 앞에서 불법체류자추방 중단을 촉구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불법체류자의 추방을 반대하는 시민단체인 ‘No One Is Illegal’ 회원들이 23일 오후 3시 밴쿠버 다운타운에 있는...
이사람 / 참전용사 에드워드 맥밀란씨 밴쿠버 출신…1952년 겨울 한국전 참전
21일 버나비 센트럴 파크에서 열린 한국전 참전기념비 착공식에는 76세 이상의 고령인 캐나다군 참전용사(KVA)들이 여럿 눈에 띄었다. 역사의 산 증인이자 참전기념비의 주인공들인 이들은 해가 바뀔 때마다 하나 둘씩 유명을 달리해 KVA 멤버의 숫자는 점점 줄어들고...
성공하는 삶(2) 2007.04.24 (화)
어느 의과대학에서 교수가 학생에게 질문을 했다. "한 부부가 있는데, 남편은 매독에 걸려있고, 아내는 심한 폐결핵에 걸려있다. 이 가정에는 아이들이 넷 있는데, 하나는 며칠 전에 병으로 죽었고, 남은 아이들도 결핵으로 앓아누워 살아날 것 같지 않았다. 이...
지구를 구하라 2007.04.24 (화)
4월 22일은 ‘지구의 날’이다. 캐나다를 비롯한 세계 곳곳에서 기념행사를 열고 지구 온난화와 자연파괴의 경각심을 일깨웠다. 환경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이 높아진 것은 다행이지만 온실가스 방출로 인해 대기환경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는 점은 안타까운...
델타 지역 초등학교서 버지니아 사건 재연 논란 한인 학생 항의…학교•교육청 “학부모에 사과”
델타 사우스 파크 초등학교에서 드라마를 가르치고 있는 한 교사가 버지니아 공대 총격사건을 ‘타블로(tableau)’ 수업 소재로 삼았다가 논란이 일자 학부모들에게 사과했다. 타블로란 특정 장면을 사진처럼 재연하는 연극수업의 일부로 ‘프로즌 신(Frozen...
웨스트밴쿠버 존 웨스톤 후보
◇ 웨스트 밴쿠버 존 웨스톤 보수당 후보가 한인들과 만남의 시간에 앞서 김종설 관장과 악수를 나누고 있다. 두 사람은 사제관계다. 웨스트밴쿠버 선거구에서 보수당 후보로 출마하는 존 웨스톤(John Weston) 후보는 21일 김종설태권도장에서 태권도복을 입고...
Skagit Valley Tulip Festival
세상 식물들이 태동을 하는 4월부터 피기 시작한 튤립의 아름다움이, 봄 막바지에 한 껏 달아오르며 시애틀로 오라며 유혹하고 있다. 올해로 24번째 개최되는 스카짓 밸리(Skagit Valley)튤립축제는 튤립이 피기 시작하는 매년 4월초 시작해 4월말에 끝난다. 축제...
우간다의 독재자 이디 아민을 주인공으로 한 ‘스코틀랜드의 마지막 왕(The Last King of Scotland)’은 이디 아민의 주치의가 되면서 위험한 관계 속으로 빠져드는 한 스코틀랜드 의사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펼쳐진다. 갓 의과대학을 졸업한 니콜라스 개리건(제임스...
Fracture- 2007.04.23 (월)
이번 주말엔 개봉된 안소니 홉킨스, 라이언 고슬링 주연의 ‘프랙처(Fracture)’는  완전 범죄를 계획하고 있는 한 남자와 그의 유죄를 입증하기 위한 검사간의 심리적을 다룬 스릴러 영화다. 엔지니어로 성공한 명석한 두뇌의 소유자인 테드 크로포드(안소니...
인사동의 아이들 2007.04.23 (월)
눈부시다, 바야흐로 염양춘(艶陽春)이다. 겨울을 모두 벗어낸 봄 짙은 주말, 인파의 인사동에 나갔다.
왜 한의학(漢醫學)이란 칭호가 한의학(韓醫學)으로 개명되었는가? (3)
한의학(漢醫學)이 ‘韓醫學’으로 개명된 동기와 ‘황제내경’ 오래 전 한국에서 한의학(漢醫學)이란 칭호가 韓醫學(한의학), 즉 한나라 한(漢)자에서 한국의 이미지를 주는 한나라 한(韓)자로 개명된 사실이 있었다. 단순하게 한자 한 글자의 변형이 아닌,...
21일 써리에서 단독 리사이틀 열어 홈 스쿨링하며 바이올린 연습에 집중
뒤늦은 나이에 바이올린을 시작한 한인 여학생이 지역사회의 주목을 받으며 두 번째 단독 콘서트를 개최한다. 지난 99년 캐나다에 첫발을 디딘 빅토리아 김(한국명 김한솔)양은 남들 보다는 상대적으로 늦은 나이인 10세 때 처음 바이올린을 잡았지만 주변의 도움과...
'랩존' 사우스 그랜빌점 김정무 장정화 대표
'랩존(WrapZone)’ 사우스 그랜빌점 대표 김정무씨는 ‘나도 이 나라에서는 초보자인데 누군가에게 조언을
국세청 “10명중 6명은 인터넷으로 신고”
2006년도 소득세 신고 마감이 다가오고 있는 가운데 국세청은...
최고 8.6% 오를 수도...상업용 건물 재산세와 형평 문제 논란
밴쿠버시 주거용 재산세가 내년도에 8.6% 인상될 가능성이 제기됐다. 밴쿠버 시의회는 지난달 평균 4% 재산세 인상을 이미 결의한 상태다. 여기에 기업체를 통해 충당되는 세수 중 2%를 주거용 재산세를 통해 충당하자는 제안이 시청 재산세 정책분석위원회를 통해...
 1461  1462  1463  1464  1465  1466  1467  1468  1469  14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