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서울 나들이

반숙자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4-01-08 09:11

반숙자 / 캐나다 한국문협 회원
   충청도 시골에 살고 있는 우리는 가끔씩 서울 나들이를 한다. 서울에서 생활하고 계시는 부모님을 뵙고 또 아이들을 만나기 위해서다. 모처럼 가는 길이니 으레 올망 졸망 보따리를 거느리고 가야 하기 때문에 싸움터에 나가는 비장한 각오로 서울 행 직행 버스에 오른다.

  며칠 전부터 들기름 참기름을 짜고 콩이며 팥이며 골고루 챙겨 들다 보면 보따리는 서 너 개가 넘게 마련이다. 그러나 서울 마장동 시외버스터미널이 가까워 오면 언제나 걱정과 실망이 먼저 온다. 그 많은 시외버스가 수없이 들며 나는 그곳에는 어찌 된 셈인지 아직까지 택시 승차장이 없다. 또 이상한 것은 빈 택시일 망정 짐이 있는 승객은 태워 주지를 않는다는 사실이다.

  손가방 하나 달랑 달랑 든 신사 숙녀 분은 잘도 타고 가는데 자식들에게 주려고 뼈 빠지게 일해서 머리에 이고 들고 늘어선 촌로들이나 아주머니들은 부지하 세월이다. 어디 이런 일이 마장동 터미널 뿐인가. 서울 천지 택시 타는 곳 어디고 보따리를 든 시골 사람은 귀찮은 존재다. 대부분 기사 양반들은 못 본 척 그냥 지나치기가 예사고 어쩌다 태워주기라도 하면 짐을 들고 앉아라, 요금을 더 내라, 재수가 없다는 등 구박이 말이 아니다.

  바람이 차고 기온이 영하로 뚝 떨어진 요즘에도 농촌에서는 한가하지 못하다. 볏짚을 작두로 잘라서 논에 까는 일, 객토를 하는 일, 봄에 심을 고추 온상을 미리미리 손 보는 일, 과수 전정에 비닐하우스 돌보기 등 어느 한 가지 소홀할 수가 없다.
곤두박질 치는 축산물 시세에도, 연거푸 치솟은 사료 값에도, 적정 가를 밑도는 농산물 가격에도 이제는 놀랄 여력조차 없어 그저 막막할 뿐이다. 동네 고삿터나 경로당에 두세 사람만 모여 앉아도 무얼 해다 먹고 자식들 공부 시키느냐는 걱정이 태산이다.

  자립, 자조 의식 개혁은 철저히 되었지만 아무리 발버둥 쳐 보아야 현상 유지도 어려우니 채무밖에 늘어날 것이 더 있는가. 전기 세 기 천 원을 마련하기 위해 고추 열 근을 이고 장에 간다는 이웃들의 이야기는 농촌의 현실 그대로다.

  어느 한 철 편하게 앉아 볼 수 있는가. 논일 밭일 앞장서야 하고 영농 바라지에 집안 살림 도맡아야 하는 1인 다역의 농촌 주부들. 자녀들의 학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모처럼 얻은 농한기에도 파출부 자리라도 찾아 나서야 겠다는 농촌 어머니들의 모성애가 가슴을 아프게 한다.
그렇게 해서라도 자식들에게 만은 흙 두더지 같은 이 삶을 물려주지 않겠노라는 그들의 열망을 누가 탓할 것인가. 이렇듯 현실이 아무리 냉엄 해도 우리 다수의 농민들에게는 땅은 우리를 배반하지 않는다는 믿음과 진실이 있다. 세태가 그렇지 조상 대대 뼈 묻고 살아온 고향 산천은 결코 우리를 버리지도 천대 하지도 않는다는 죽음 같은 신앙이 있다.

  장기적인 영농 정책은 요원한 것인가. 과잉 생산의 조절은 그리도 힘이 드는 것일까. 농한기라도 일할 수 있게 부업을 맡겨줄 기업체는 없는가. 정말이지 이제는 이 헐벗음에서, 이 불안에서 헤어나 안심하고 농사짓는 농부가 되고 싶다. 노력한 만큼의 대가를 보장 받는 농민, 따뜻한 대접 받는 농민이 되고 싶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밟아라 2024.04.15 (월)
 서울에 사는 영적 동반자가 문자를 보내왔습니다. 영화 <사일런스>를 꼭 보라며 청주 상영관까지 알려줍니다. 그때부터 제 머릿속은 영화에 대한 생각으로 가득 찼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오래전에 그 영화의 원전인 『침묵』이라는 소설을 감명 깊게 읽고 가끔씩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간절히 원하면 이루어진다더니 충북 내 영화관이 똑같이 종영하는 날, 가까스로 진천에 가서 영화를 보았습니다.실화를 바탕으로 한 엔도 슈사쿠의 소설...
반숙자
서울 나들이 2024.01.08 (월)
   충청도 시골에 살고 있는 우리는 가끔씩 서울 나들이를 한다. 서울에서 생활하고 계시는 부모님을 뵙고 또 아이들을 만나기 위해서다. 모처럼 가는 길이니 으레 올망 졸망 보따리를 거느리고 가야 하기 때문에 싸움터에 나가는 비장한 각오로 서울 행 직행 버스에 오른다.  며칠 전부터 들기름 참기름을 짜고 콩이며 팥이며 골고루 챙겨 들다 보면 보따리는 서 너 개가 넘게 마련이다. 그러나 서울 마장동 시외버스터미널이 가까워 오면...
반숙자
일하며 생각하며 2023.10.16 (월)
  나는 흙 내음이 좋아서 농촌에 산다. 값도 안 나가는 토종사과를 가꾸며 이웃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고 자연의 아낙으로 살며 글을 쓴다.어떤 이는 이런 나를 신선이라 부러워하고 어떤 이는 못난이라 비양을 한다. 부러워하는 사람들은 시멘트 정글속에 갇혀 마음의 고향인 흙을 그리며 사는 도시인들이고 후자는 도시로만 나가면 뼈 빠지게 일 안하고 편히 살 수 있다고 그곳을 동경하는 가난하고 순박한 내 이웃들이다.나는 그 틈에서 머리는...
반숙자
가난한 부자 2023.08.21 (월)
 지난 여름. 마치 홍역을 치르고 난 아이처럼 휘청거리는 다리로 과수원을 한 바퀴 돌았다. 아침 이슬이 파랗게 내린 풀 섶은 영롱한 구슬이 구을고 엊그제 씨를 넣은 열무 밭엔 씨를 물린 열무 잎이 속속 솟아나고 있다. 내가 아팠던 며칠, 상치는 냉큼 커서 꽃망울을 줄줄이 달고 섰고 땅을 기던 호박 넝쿨은 어느새 기어 올라 아카시아 나무 기둥을 칭칭 감았다.  가슴을 활짝 편다. 기지개를 켠다. 푸성귀 냄새 같은 바람이다. 달그므레한 젖 내...
반숙자
5월이 오면 2023.05.15 (월)
  해마다 봄이 오면 친정 집 뒤뜰에 붓 끝 모양의 푸른 잎이 무더기 무더기 돋는다. 아버지는 생전에 이 꽃을 유난히 사랑하고 상사화(想思花)란 세칭을 피하여 당신만은 모사화(母思花)라 이르셨다.  해토(解土)가 되기 무섭게 지표를 뚫고 용감한 기세로 돋아나는 모사화 잎은 오직 잎만 피우기 위한 듯 무성하게 자란다. 그리고 어느 날 무더위가 시작 될 즈음 초록빛 융성한 잎은 모두 죽어 거름이 되고 거기 죽음 같은 꽃 잎을 물고 연보라 빛이...
반숙자
화음(和音) 2023.04.03 (월)
   텃밭에 봄 채소 씨앗을 다독 다독 뿌려 놓고 밭 둑에 앉으니 햇살이 눈부시다. 여기저기 검 불 속에서 지난 겨울을 이겨낸 잡초들이 다투어 돋아 난다.봄은 그래서 자애로운 어머니. 꽁꽁 얼어붙은 대지를 따뜻이 녹여 서로 화해의 손을 잡게 한다.자연의 섭리란 참으로 신비하고 위대하다. 꽃 다지는 작은 키를 돋보이려 애쓰지 않는다. 양지 쪽 어느 곳이든 조촘 조촘 돋아나서 제 나름의 작고 노란 꽃을 피우기에 여념이 없다. 아무도 보아...
반숙자
 나무는 혼자 섰을 때 아름답다. 나무는 둘이 섰을 때는 더욱 아름답다. 둘과 둘이 어우러져서 피어났을 때 비로서 숲을 이룬다. 숲이 아름다운 것은 서로를 포용하는 특성 때문이다. 공동체를 이루는 한 덩어리의 밀집성, 그 따뜻함이다. 건축예술이 잘 발달하여 거대한 도시를 건설했다 쳐도 거기 도시와 숲의 조화 없이는 생명이 없는 도시다.기차나 버스로 여행을 하다 보면 유독 마음을 끄는 도시를 만난다. 초록빛 분지를 깔고 앉은 조그마한...
반숙자
두 바퀴의 수레 2022.07.07 (목)
  아침마다 기다리는 사람이 있다. 서울 변두리 어디에 산다는 이들 부부는 새벽이면 싱싱한 채소를 한 수레 싣고 골목을 누비며 파는 평범한 상인 들이다. 그런데 내가 유독 이 부부에게 정이 가고 즐거운 마음으로 기다리는 데는 남다른 이유가 있다.서른을 넘어 보이는 남자는 그저 쑬쑬하게 생겼는데 여인은 그렇지 못하다. 오른쪽 볼은 갸름하고 눈이 맑은 것이 삽상하나 왼쪽은 벌거죽죽하고 번쩍번쩍 하며 아래 입술은 일그러져 있는 것이 꽤...
반숙자
광고문의
ad@vanchosun.com
Tel. 604-877-1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