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생명이 있는 뜰

반숙자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0-07-06 11:12

반숙자 / 캐나다 한국문협 회원
농막이다. 뒤로는 오성산이 나지막이 엎드려 있고 앞으로는 음성 읍내가 한눈에 들어오는
서향집, 다 낡은 구옥이 내 창작의 밀실이다. 봄부터 가을까지 자잘한 채소를 키워 먹고
과일나무 서너 그루씩 흉내만 내는 미니 과수원이다.
 지금 밖에는 태풍이 몰고 온 비가 종일 내리고 있다. 산자락이거나 계곡을 피하라는 텔레비전
보도가 있었지만 몇 그루 안 되는 과일나무와 다 늙어 쇠잔한 농막이 걱정이 돼서 올라왔다.
밭고랑에 수로를 따주고 처마 밑에 고무통을 놓아 물난리가 나지 않게 단도리를 하고 소파에
앉는다.
 여기에 농막을 지은 것은 33 년 전이다. 동네 가운데 편리하고 넓은 집을 두고 길도 변변치
않던 산다랭이 과수원에 집을 지은 것은 순전히 남편의 배려였다. 벽돌을 실은 트럭이 들어올
수 없어 일꾼 둘이 두 달을 손수레로 벽돌을 날라지었다. 인도에 가면 세상을 떠나는 아내가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무덤을 지어 달라는 왕비의 청을 들어 2만 명의 노예들을 부려 22년간
“타지마할”을 지은 샤자한 왕이 있지만 우리 집 남편도 그에 못지않는 열정으로 이 집을

지어주었다. 비록 초라한 누옥이지만 누군가를 위해 열정을 다 바쳐 지었다는 점에서는 부족할
게 없다.
 나는 사람보다 과수원이 좋아서 이 길을 택한 여자다. 나무마다 열매를 달고 있는
사과나무들에서 사람이 보였고 작은 우주를 느꼈다. 내가 이곳을 창작의 밀실로 치는 이유다.
 생각이 엉킬 때 여기로 오면 정리가 되고 몸이 나른 할 때 풀을 뽑고 땀을 흘리다 보면 생기가
돌기 때문이다. 처음 글을 쓴 곳도 여기고 등단의 기쁜 소식을 들은 곳도 바로 여기다. 뿐만
아니라 “몸으로 우는 사과나무”의 배경이 여기고 문역 40년에 서울살이 10년을 제한 나머지
시간이 여기 배어 있다.
 많은 문필가들이 책이 쌓여 있는 공간에서 점잖게 글을 쓰는데 나는 작업복에 호미를 들고
글을 쓴다. 나에게도 서재가 있기는 하다. 아파트의 구석방이 내 공부방인데 거기서 나온 글은
별반 없다. 고구마를 캐면서 글 감이 생기면 가을 내내 고구마만을 생각한다. 고추를 따면서
고추고랑에 글의 씨가 떨어지고 밤 이슥토록 고추를 고르는 이웃들의 굽은 등이 내 원고지
칸칸에 머문다. 아마도 나보고 아파트에서만 살라 했으면 노상 아프고 속이 허해서 배겨내지
못했을 것이다. 나는 본래적으로 야생이니까.
  이 뜰에는 생명이 있다. 해마다 지하실 헛간에서 새끼를 치는 새가 있고 배가 만삭이 되어
잠자리를 찾아 드는 도둑고양이도 있다. 머지않아 고양이는 대엿 마리의 새끼를 거느리게 될
것이다. 얼마 되지 않는 땅콩 골을 제집 드나들 듯이 쑤셔 대며 여물어가는 땅콩을 따먹는
두더지와 한창 나풀거리는 김장배추와 열무 싹을 모조리 잡수시는 뒷산 고라니도 여기 식구다.
내 귀가 시원치 않아 그렇지 밤이면 울어 대는 풀벌레 소리는 가히 원초오케스트라해도 틀리지
않을 것이다. 지금은 아파트에서 살기에 집을 통째로 쥐들에게 전세를 준 격이 되었다.
 
 
 나는 틈틈이 메모를 한다. 밭고랑에서, 장화신고 뒷산에 밤을 주으러 가서도 봄이면
다래순이나 홑 잎을 따러 가서도 메모를 한다. 이렇게 일하며 모아진 생각들이 고고성을 울리는
곳도 바로 여기다. 달력 이면지나 공문서 이면지를 잔뜩 쌓아 놓고 초벌을 쓴다. 어느 한순간에
벌어지는 분만작업이다.
 
 이런 이유로 이곳에는 누구도 방문객을 환영하지 않는다. 가장 편한 차림으로 누구의 시선도
받지 않고 자연과 내가 온전히 하나 되는 밀실, 노동과 사유가 교신하는 비밀의 방이기
때문이다. 깊어 가는 가을 밤, 묵직한 책 한권 펼쳐 놓고 스탠드를 밝히면 밤바람 소리만
유리창을 흔드는 적요가 어찌 그리 충만한지, 이제는 두려울 것도 애태울 것도 없는 깊은
평화다. 세상 모든 문학작품들은 깊은 외로움에서 싹텄다 하지 않던가.

 올해는 갑자기 강의가 늘어 일주일에 일요일밖에 오지 못했다. 그런 연유로 꽃밭도 풀밭이고
마당도 풀밭이다. 아예 “풀집”이다. 뒷산을 오르는 이들이 지나다가 빈집인가 싶어 들마루에
앉아 저 들끼리 주고받는 이야기들
 “이집 사서 싹 뭉개고 전원주택을 지었으면”...
 “주인이 어디 갔나, 온통 풀 천지라...”
 “경치 하나는 끝내 주네. 펜션 지으면 사업 되겠는데...”
 경제논리로 따지면 우리가 무식한 사람들이지만 정신적으로 치면 건강한 사람들이다. 사실은
능력이 없어 전원주택을 보기 좋게 올리지 못하지만 지금 이대로가 나답고 정다운 것은 또 어인
일인가. 내가 가장 확실하게 살아있는 실존이 여기에 있다.
 언젠가 둘이서 사과나무 밑에 풀을 뽑으며 남편에게 말했다. 내가 먼저 떠나거든 재로 남겨
이곳에 뿌려 달라고. 몸으로 운 건 1970년대 과수농부 당신이지만 마음으로 울며 산 나는
영원히 사과나무로 남고 싶다고. 여기는 반숙자의 창작의 밀실, 내 수필의 자궁이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밟아라 2024.04.15 (월)
 서울에 사는 영적 동반자가 문자를 보내왔습니다. 영화 <사일런스>를 꼭 보라며 청주 상영관까지 알려줍니다. 그때부터 제 머릿속은 영화에 대한 생각으로 가득 찼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오래전에 그 영화의 원전인 『침묵』이라는 소설을 감명 깊게 읽고 가끔씩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간절히 원하면 이루어진다더니 충북 내 영화관이 똑같이 종영하는 날, 가까스로 진천에 가서 영화를 보았습니다.실화를 바탕으로 한 엔도 슈사쿠의 소설...
반숙자
서울 나들이 2024.01.08 (월)
   충청도 시골에 살고 있는 우리는 가끔씩 서울 나들이를 한다. 서울에서 생활하고 계시는 부모님을 뵙고 또 아이들을 만나기 위해서다. 모처럼 가는 길이니 으레 올망 졸망 보따리를 거느리고 가야 하기 때문에 싸움터에 나가는 비장한 각오로 서울 행 직행 버스에 오른다.  며칠 전부터 들기름 참기름을 짜고 콩이며 팥이며 골고루 챙겨 들다 보면 보따리는 서 너 개가 넘게 마련이다. 그러나 서울 마장동 시외버스터미널이 가까워 오면...
반숙자
일하며 생각하며 2023.10.16 (월)
  나는 흙 내음이 좋아서 농촌에 산다. 값도 안 나가는 토종사과를 가꾸며 이웃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고 자연의 아낙으로 살며 글을 쓴다.어떤 이는 이런 나를 신선이라 부러워하고 어떤 이는 못난이라 비양을 한다. 부러워하는 사람들은 시멘트 정글속에 갇혀 마음의 고향인 흙을 그리며 사는 도시인들이고 후자는 도시로만 나가면 뼈 빠지게 일 안하고 편히 살 수 있다고 그곳을 동경하는 가난하고 순박한 내 이웃들이다.나는 그 틈에서 머리는...
반숙자
가난한 부자 2023.08.21 (월)
 지난 여름. 마치 홍역을 치르고 난 아이처럼 휘청거리는 다리로 과수원을 한 바퀴 돌았다. 아침 이슬이 파랗게 내린 풀 섶은 영롱한 구슬이 구을고 엊그제 씨를 넣은 열무 밭엔 씨를 물린 열무 잎이 속속 솟아나고 있다. 내가 아팠던 며칠, 상치는 냉큼 커서 꽃망울을 줄줄이 달고 섰고 땅을 기던 호박 넝쿨은 어느새 기어 올라 아카시아 나무 기둥을 칭칭 감았다.  가슴을 활짝 편다. 기지개를 켠다. 푸성귀 냄새 같은 바람이다. 달그므레한 젖 내...
반숙자
5월이 오면 2023.05.15 (월)
  해마다 봄이 오면 친정 집 뒤뜰에 붓 끝 모양의 푸른 잎이 무더기 무더기 돋는다. 아버지는 생전에 이 꽃을 유난히 사랑하고 상사화(想思花)란 세칭을 피하여 당신만은 모사화(母思花)라 이르셨다.  해토(解土)가 되기 무섭게 지표를 뚫고 용감한 기세로 돋아나는 모사화 잎은 오직 잎만 피우기 위한 듯 무성하게 자란다. 그리고 어느 날 무더위가 시작 될 즈음 초록빛 융성한 잎은 모두 죽어 거름이 되고 거기 죽음 같은 꽃 잎을 물고 연보라 빛이...
반숙자
화음(和音) 2023.04.03 (월)
   텃밭에 봄 채소 씨앗을 다독 다독 뿌려 놓고 밭 둑에 앉으니 햇살이 눈부시다. 여기저기 검 불 속에서 지난 겨울을 이겨낸 잡초들이 다투어 돋아 난다.봄은 그래서 자애로운 어머니. 꽁꽁 얼어붙은 대지를 따뜻이 녹여 서로 화해의 손을 잡게 한다.자연의 섭리란 참으로 신비하고 위대하다. 꽃 다지는 작은 키를 돋보이려 애쓰지 않는다. 양지 쪽 어느 곳이든 조촘 조촘 돋아나서 제 나름의 작고 노란 꽃을 피우기에 여념이 없다. 아무도 보아...
반숙자
 나무는 혼자 섰을 때 아름답다. 나무는 둘이 섰을 때는 더욱 아름답다. 둘과 둘이 어우러져서 피어났을 때 비로서 숲을 이룬다. 숲이 아름다운 것은 서로를 포용하는 특성 때문이다. 공동체를 이루는 한 덩어리의 밀집성, 그 따뜻함이다. 건축예술이 잘 발달하여 거대한 도시를 건설했다 쳐도 거기 도시와 숲의 조화 없이는 생명이 없는 도시다.기차나 버스로 여행을 하다 보면 유독 마음을 끄는 도시를 만난다. 초록빛 분지를 깔고 앉은 조그마한...
반숙자
두 바퀴의 수레 2022.07.07 (목)
  아침마다 기다리는 사람이 있다. 서울 변두리 어디에 산다는 이들 부부는 새벽이면 싱싱한 채소를 한 수레 싣고 골목을 누비며 파는 평범한 상인 들이다. 그런데 내가 유독 이 부부에게 정이 가고 즐거운 마음으로 기다리는 데는 남다른 이유가 있다.서른을 넘어 보이는 남자는 그저 쑬쑬하게 생겼는데 여인은 그렇지 못하다. 오른쪽 볼은 갸름하고 눈이 맑은 것이 삽상하나 왼쪽은 벌거죽죽하고 번쩍번쩍 하며 아래 입술은 일그러져 있는 것이 꽤...
반숙자
광고문의
ad@vanchosun.com
Tel. 604-877-1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