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급 적자·반복된 파업에 피로감 높아

▲/Getty Images Bank
연방정부가 추진하는 캐나다포스트 서비스 축소 계획을 두고 캐나다우편노조(CUPW)가
파업을 이어가는 가운데, 대다수 소상공인은 재정난을 겪고 있는 캐나다포스트의 개편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다.
캐나다 자영업 연맹(CFIB)이 9일
발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스몰비즈니스를 운영하는 소상공인의
87%가 캐나다포스트의 개편에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자의 절반가량은 주거용 우편물 배달 축소(52%)와 방문 배달을
커뮤니티 우편함으로 대체하는 방안(51%)에 대해 찬성했으며, 5명
중 2명 이상은 향후 몇 년간 직원 보상 패키지 제한 또는 동결(45%)과
기존 기업 우체국을 가맹점 형태로 전환하는 방안(42%)을 지지했다.
CFIB의 코린 폴만 부사장은 “캐나다는
국가 우편 서비스가 필요하지만, 지금과 같은 형태는 아니다. 많은
기업들이 연방정부가 캐나다포스트 서비스를 현대화하려는 움직임을 반기고 있다”며 “이미 매일 수백만 달러와 고객을 잃고 있는 상황에서,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면 캐나다포스트는 결국 사라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9월 말 정부는 캐나다포스트의 운영 안정화 및 재정 회복을 위해
대대적인 개편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이 개편에는 일일 배달 의무 폐지, 일부 지역 커뮤니티 우편함 전환 등이 포함되어 있다. 캐나다포스트는
지난 2분기에만 5억 달러에 달하는 손실을 기록하면서, 위기에 처한 상황이다. 캐나다포스트의 연간 우편 발송량도 지난 20년간 55억 통에서 20억
통으로 크게 줄었다.
정부의 발표에 반발한 캐나다우편노조는 즉시 파업에 돌입했고, 3주가
지났지만 노사는 여전히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캐나다우편노조의 파업은 지난해 말에도 한달 넘게
이어진 바 있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2024년 파업 이후에도 5곳 중 4곳의 기업은 여전히 캐나다포스트를 이용하고 있었다. 이용 기업 중 73%는 수표 발송,
61%는 일반 우편물 발송, 58%는 저비용, 50%는
편리성을 이유로 캐나다포스트를 활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기업
3곳 중 2곳은 파업이 또 일어나면 서비스 이용을 중단할 계획이었다.
CFIB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정부에 ▲캐나다포스트 파업 즉각 종료 및 발표된 개혁안 조속 시행 ▲직원
보상 비용 동결과 유연 근무제 도입 지원 ▲향후 파업 가능성 최소화를 위한 필수 서비스 지정 ▲연간 적자 반복 방지를 위한 재정적 제약 도입 등을 권고했다.
손상호 기자 ssh@vanchosun.com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