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황혼의 찬미

이종구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4-01-22 11:34

이종구 / (사)한국문협 밴쿠버지부 회원
J 에게,

엊그제 이민 온 것 같은데 어언 30년이 훌쩍 지나고 이제는 성숙한 디아스포라의 길을 가고 있는 중이네. 내 인생에도 황혼의 자유가 찾아온 셈일세.

자네가 보내 준 ‘황혼의 자유’ 라는 글 속에 보면 나이가 들어가면 노숙해지는 것도 있어 참 좋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서글픈 일도 있다네. 오미크론이 지난 이즈음 아는 목사님의 거동이 불편한 모습을 보면서……

그렇지만 자고 싶으면 자고, 먹고 싶으면 먹고, 웃고 싶으면 웃고 내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자유를 느낄 때가 되어있지 않았나 싶네. 은퇴 이후가 아니면 어찌 누릴 수 있으리. 일하기 싫으면 놀고, 놀기 싫으면 일하고, 머물기 싫으면 떠나고 떠나기 싫으면 머물고, 바람처럼 살 수 있는 이 행복한 자유가 노년이 아니면 어찌 맛보리오. 그러나 맞벌이 부부로 생활하는 딸이 바쁘니 손자 좀 봐 달라 부탁이 있으면 그것은 예외가 될 것일세.

이제 나도 계절로 치면 가을이라 풍성한 수확의 계절이고, 하루로 치면 아름다운 석양쯤에 있는데 여기서 무얼 더 바라겠는가? 그렇지만 2년간 내가 돌본 외손자 대학가는 대견스런 모습을 보는 것도 보아야 나의 기쁨의 일면이 되는 것이지.

이제 즐거워지는 나이일세. 더 나이 들기 전에 울긋불긋 봄꽃 보러 배낭 하나 둘러메고 산에도 가고, 절친들과 바다도 가보고, 옛 동아리 친구 내외와 식사도 하고, 해외여행도 같이 가고, 이것 또한 먼 곳에서 친구가 찾아온 것이 공자가 말한 군자의 한가지 즐거움이 아니던가? 아, 노년의 나들이가 참 좋아지네. 모처럼 고국을 방문하니 조카가 외삼촌 왔다고 일류호텔에서 식사도 사주고, 청평 근처 좋은 찻집도 구경시켜 주고(한옥에 옛 장독이 많은), 시루떡과 커피도 사주니 이 또한 노년의 즐거움이 아니던가? 어찌했든 멋지게 살다가 훌훌 털고 미련없이 살다 가는 것이 최상의 낙이 아니겠는가.

아, 석양의 황금빛이여, 황혼의 영광이여! 이를 위해 무슨 때가(결혼기념일, 배우자 생일날, 금혼식 등)되면 가고 싶은 곳에 떠나가야 하지 않을까?

우린 늙어가는 것이 아니라 고운 빛깔로 익어가는 홍시 같은 그런 황혼으로!

현명하고 명랑한 노인이 되라는 중국의 저명한 작가이며 수필가인 임어당이 얘기한 대로 죽으면서 “세상 구경 한번 잘했다”라고 말하며……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모래의 시간 2022.11.07 (월)
이 세상 끝에 와 있다는 느낌그 사이로 강물이 흘러가고발자국들이 지나가고슬픔 같은 이끼가 툭툭 걸음을 멈추게 하는데나는 건너갈 세상을 돌아본다어둠 저 끝에서 몰려오는 바람소리누군가 내 등 뒤에서 마음 한 끝을비수로 꽂고 달아난다이 세상 황량한 이중성의 간판들점멸등처럼 깜빡이는데어제는 바람이 되었다가오늘은 사과가 되고 오렌지가 되고 박제가 되어몸의 꼬리를 감추는 사람들탓하지 마라, 눈동자의 크기만큼 보이는세상 안에서...
이영춘
무주의 맹시 2022.11.01 (화)
여자와 만난 곳은, <상담소>라는 작은 팻말이 붙어있지 않았다면 그저 낡은 오피스텔이었을 공간이었다. 창 너머로 환하게 피어난 백목련 외에는 딱히 눈길을 줄 곳이 없을 만큼 실내는 휑했다.-    어서 오세요. 이메일로 예약하신 윤해진 님이시죠?나는 “혜”를 아무 고민없이 “해”라고 발음하는 눈 앞의 여자를 잠시 가만히 바라보았다. ‘미스코리아 머리’ 에, 취향이 그런 것인지 넉넉한 체구를 가리려는 것인지는 모르겠으나...
곽선영
만일 필자가 어느 누구에게 평생 게으름을 피면서 살라고 하면 뺨을 맞을 것이다.10년, 1년 또는 한 달 만이라도 그렇게 살라고 해도 욕을 배가 부르도록 얻어먹을것이다. 그러나 이게 하루가 되면 사정은 달라진다. 그까짓 거 하루 정도야! 새털같이 많은 나날인데 오늘 하루쯤 게으름을 피면서 빈둥거리면 어때? 그게정신건강에도 좋다고 하던데.  그러나 하루가 이틀, 금방 일주일, 일주일이 한달, 한달이 1년...... 그러다 사람의일생이 휙 지나가...
정관일
어느 가을 날에 2022.11.01 (화)
하루를 사는 삶저마다 같은 듯 달라깊은 산속에서도바닷가 외딴 섬마을에서도북적대는 도시에서도같은 시간 다른 하루홍시 같은 낙엽이 나무 끝에 매달려 가을을 재촉한다같은 색같은 모양 낙엽처럼비슷하게 살아도 다른사람들 하루가 간다하늘에 걸린 해가어제 오늘이 비슷해 보이지만 다르듯쌓인 낙엽이 다른 듯 같아 보이는 것처럼흐르는 시간이 강물 위에 떠 가는 낙엽처럼
전재민
몸 속 들여다보기 2022.10.24 (월)
위 대장 내시경이 끝났다. 두려움도 끝났다.얼마나 기다렸던 내시경 검사였던가? 매년 휴가엔 한국에 계신 어머니를 방문하지만,이처럼 절박하게 휴가를 기다린 적이 있었던가? 속은 더부룩하고, 가스는 차고, 입에선냄새가 나고, 배변은 검은색이고, 명치 아래 배는 칼로 찌르는 통증으로 잠을 제대로이룰 수 없었던 날이 얼마였던가? 가정의에게 내시경을 부탁했지만, 위에서 출혈이있어야 전문의를 통해 내시경이 가능하다고 하면서, 제산제 처방만...
박광일
바람의 질량으로 속없이 무너지던그들은 산맥아래 또 다른 무리를 지어견고한 스크럼을 짜며 농성하는 중이다서투른 직립조차 포근한 이름이여떠도는 별을 품어 산이 흔들거리면숲으로 오는 저녁을 가슴속에 담는다물안개 흠뻑 먹고 산촌을 지킨 하루함께 산다는 것은 장엄한 축복이다서로를 사랑한다는 무언의 약속이다
이상목
무소유 속의 풍요 2022.10.24 (월)
 나는 지금 한국에서 70여 인생의 삶 중에 가장 한가하고, 가장 편안하게 나만을 위한 시간을 보내고 있다. 여동생네로 숙소를 정하려 했으나 오미크론 등으로 계획을 바꿔 장기 투숙할 수 있는 호텔로 들어왔다. 방 면적이 17평이지만, 실 평수는 절반이니 좀 답답하다. 처음 며칠간은 침대에 누우면 바로 앞 벽이 가슴을 압박하는 것 같아 잠들기가 힘들었다. 물론 시차도 있었지만. 현관을 들어서면 기다란 실내가 한눈에 들어온다. 현관 왼쪽으로...
심현숙
두고온 고향집 2022.10.24 (월)
꿈과 함께 묻어둔내 고향 그 빈 옛집초가지붕 추녀 끝에참새가족 세를 들고대문간버티고 선 왕거미행랑채의 주인인 듯속살 들난 먹감나무앉은 채 해를 맞고앞마당의 돌담은눈 설게 헐었어도어머니손때 묻은 장독간봉숭아만 피고 졌다꿈길에서 언뜻 본고향집의 저녁녘오 남매 밥상머리이야기꽃 피어나고아버지밥상 물리는헛기침도 들렸다.
문현주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