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야생 사과나무

강은소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1-12-10 11:28

강은소 / 캐나다 한국문협 자문위원
사과나무 한 그루가 언제부터 그 자리를 지키고 있었는지, 아무도 모릅니다.
갑자기 눈앞에 모습을 드러낸 나무는 작고 발그레한 사과를 주렁주렁 매달고 있었는데,
미처 가을이 끝나기도 전에 까치밥 하나 없이 마른 가지 뿐입니다. 사과는 모두 어디로
사라져 버린 것일까요. 수풀 가에 서 있던 키 큰 삼나무 밑동까지 잘려 나간 뒤
사과나무 한 그루가 나타났습니다. 수풀에 자리해 쉽게 드러나지 않던 야생
사과나무입니다. 가지에 매달려 노라발갛게 익어가는 사과 얘기는 갈바람 타고 삽시간
소문으로 퍼졌겠지요. 어린 시절 기억처럼 아련아련 피어나던 야생의 붉은 열매, 사과는
누가 다 따 먹어버린 것일까요.
어릴 적 국민학교 시절, 방학이 시작되면 마음은 늘 몸보다 더 빨리 외갓집으로
향했습니다. 읍내 5일 장을 보러 나온 외할머니 손을 잡고 산골 마을로 향하는 발걸음은
꿈길을 걷는 것처럼 가벼워서 좋았지요. 외갓집 과수원은 사과 밭이 아주 넓었던 거로
기억합니다. 할머니 사과 밭에는 지금은 찾기 힘든 홍옥과 국광이라 불리는 탐스러운
사과를 맺는 잘 자란 나무가 나란히 줄지어 서 있었지요. 여름날 세차게 퍼붓던 비가
그치면 낙과를 줍고 나무를 돌보는 할머니 옆에서 뛰놀던 까마득한 기억이 있습니다.
외할머니는 사과를 홍옥이나 국광 구분 없이 ‘능금이라’ 했지요. 수풀 속
사과나무는 그리운 할머니와 오래 잊고 살았던 정겹고 이쁜 이름, 능금을 떠올리게
하네요. 능금은 우리의 옛 과일입니다. 삼국시대쯤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으로, 그
이름은 ‘임금林檎’에서 나온 것으로 추정되지요. ‘임금’은 왕을 뜻하는 임금과
소리가 같아 고귀한 과일이라 생각했으며 고려 때나 조선 초기에는 수도에 능금나무
심는 것을 장려했다고 하네요. 예전엔 흔히 마을 주변에 심고 열매를 즐겨 먹었으나

새로 외국에서 들여온 사과에 밀려 지금은 거의 없어져 버렸답니다. 아마도 능금이
사과보다 열매가 작으며 시고 떫은 맛이 나기 때문이겠지요.
사과를 능금이라 부르던 외할머니의 시간은 이미 오래전에 다했습니다. 멈추지 않는
세월 속 우리의 세상도 흘러가고 있지요. 야생상태로 자란 사과나무 한 그루. 한 100년
전쯤에 떨어진 능금 씨앗 하나 깨어나 뿌리내린 것은 아닐까 상상해 봅니다.
서양 문명과 역사에는 사과에 얽힌 얘기가 많지요. 창세기 창조 설화에 나오는 금단의
열매인 선악과, 그리스 신화엔 불화의 열매인 파리스의 황금사과, 스위스 국민의 저항과
투쟁을 상징하는 빌헬름 텔의 사과, 또 뉴턴, 스피노자, 백설 공주의 사과가 있습니다.
 지금, 가장 많이 떠오르는 사과는 IT 회사 애플의 ‘벌레 먹은 사과’이겠지요. 세상을
바꾸는 혁신의 아이콘 - 벌레 먹은 사과는 따 먹을 수 없는 금단의 열매 혹은 넘어야 할
목표의 대상입니다. 선택과 결정은 흘러가는 시간 속에 사는 우리의 몫이지요. 살면서
결정한 순간의 선택은 돌이킬 수 없고, 비싼 대가를 치른 성공이라도 영원한 것은
없습니다.
이제 아무도 사과를 능금이라 부르지 않습니다. 변하는 세월 따라 잊혔던 기억을
되살려 준 야생 사과나무 한 그루. 가지마다 품고 있던 자그마한 사과는 어쩌면 모두
벌레 먹은 사과일지도 모르지요. 주렁주렁하던 사과를 누가 다 따 먹었을까,
궁금하네요.
 
한 여인이 막대기로 사과나무 가지를 막 후려쳤습니다. 두 번째 여인이 뒤꿈치를 들고
가지를 붙들며 허리 맨살이 다 드러나도록 사과를 잡고 당기는 것도 보았지요. 마지막
여인은 고리와 그물주머니를 단 긴 막대기로 사과를 따려 했지요. 불화의 여신 에리스가
던진 황금사과를 차지하려고 싸우는 신화 속 세 여신, 헤라와 아프로디테, 아테나를
보는 듯했습니다. 트로이의 아들 파리스는 황금사과의 주인으로 아프로디테를 선택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답다는 헬레네를 아내로 얻지요. 파리스의 선택은 결국 자신과
트로이를 멸망에 이르게 합니다.
신화 속 세 여신의 비유는 삶의 가치를 상징하겠지요. 헤라의 권력, 아프로디테의
사랑, 아테나의 지혜는 인생의 목표로 내세울 만한 가치입니다. 이성은 인생의 가치를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도록 항상 균형 있는 삶을 꿈꾸지만, 가슴에서 솟아나는 감성은
마음대로 움직이지 않을 때가 많지요. 우리의 시간은 권력과 사랑, 지혜의 아름다운
균형으로 조화로운 순간이 흐르고 쌓이면 좋겠습니다.
야생 사과나무 앞에 서 있습니다. 텅 빈 가지 사이를 하릴없이 맴돌던 바람의 줄기는
천천히 늦은 저녁노을 속으로 묻혀 들어 갑니다. 잡풀 더미에 떨어져 있는 자그마하고
못생긴 사과 하나 어슴푸레 눈에 들어오네요. 분명 벌레 먹은 사과이겠죠. 발 아래
나동그라진 사과를 선뜻 집어 들지 못해 망설이고 있습니다. 어쩌다 하나 남은 사과는
미약한 마음을 이리도 어지럽히고 있는지요. 내일은 저 벌레 먹은 사과를 견뎌낼 용기와
지혜를 가질 수 있을까요.

 
주렁주렁 야생 사과 모두 어디로 사라졌는지
과연, 황금사과 하나 어느 손에 있는 것인지
야생 사과나무 아래 만남도 우리 시간인 것을,
세월 가듯이 세상이 흘러 인연도 흐르겠지요.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임인년 새해 모두 2022.01.17 (월)
검 구름바다에 잠긴 해가수평선으로 튀어 오릅니다검은 범털이 휘날리고어흥 소리치며 고개 내밀어 해를 보고푸른 소나무 가지에 숨은 산신령이 튀어나와새해의 붉은 햇살을 휘젓고 다닙니다그 어렵던 고난을 물리치고금을 가득 실은 신비한 도깨비의 묘술로희망찬 내일로 달려갈 수 있기를그들이 신은 새 신발 새 옷이헌 것이 될 때까지 자유로운 광장에서 노래하기를한 사람 한 사람마다 꽃을 피우는 정원에서노랫소리 울려 퍼지기를창문 안에서...
강애나
New Year Wishes 2022.01.12 (수)
New Year Wishes                                      Written by Lotus Chung Let us love all in the new yearThere are enough to share all togetherThe more we share, the more valuableMay our warm love aboundGive us true love that can embrace even the pain Let us become jewels in the new yearLet us polish ourselves to jewelsSo they shine even in the mudThat can shine even in the darkMake us shine like jewels Let us stand up proudly in the new yearDon't let  us kneel in despairEven...
로터스 정
Why me? 2022.01.12 (수)
“그 소식 들었어?”“무슨?”“H가 폐암 말기래. 지금 옆 병동에 입원했는데, 보고 오는 길이야.”“무슨 말이야? 2주 전까지도 우리랑 같이 일했는데.”병원에 출근해 막 일을 시작하려던 난 동료가 전하는 말에 얼떨떨한 얼굴로 되물었다. H는 폴란드에서 고등학교 교사를 하다가 30대에 이민 온 사람으로, 12년을 나와 함께 일한 동료였다. 내가 일하는 병동에서 healthcare aide로 일하다 65세에 퇴직했었는데, 퇴직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그녀는 다시...
박정은
문밖의 손님 2022.01.12 (수)
옥련나무 잎에 바람이 설렁대는 아침이다. 아파트 뒤뜰이라 해가 비치기에는 이른 시각에 주방창 앞에 새가 한 마리 날아들었다. 새는 힐끔거리며 경계를 하는 듯했다. 아침마다 하는 일로핸드밀에 커피콩을 넣고 가는 중이다. 커피 향이 코끝에 감도는 이 순간이 좋아서 커피 맛도제대로 모르며 아침마다 거룩한 예식을 하듯 커피콩을 간다. 내가 커피 향에 취해 커피를 내리는동안 새는 여전히 두리번거리며 유리창으로 나를 관찰한다.비둘기다. 잿빛...
반숙자
딱 익기좋은 나이 2022.01.12 (수)
곧 한 해가 간다꽃같이 곱든 내 인생에불현듯 찾아온 코로나로정신이 혼미한 체허둥거리며 살아간 시간들어제는 코로나에숨도 못 쉬고오늘은 코로나로가게 문 닫고참 소중했든 내 나이의 한 해가 속절없이 다 간다이젠다 비우고다 버리고다 잊자또 한 해가 온다언젠가 봄이 오고파랗게 새순이 자라나듯봄바람 따라 다가올 중년의 멋진 느낌스쳐 간 인연으로 아파하지 않아도충분히 족할 인생의 이력지나간 삶의 무게로 힘들지 않게익어 가기 딱 좋은...
나영표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펜데믹 상황에 잘 지내고 계시나요?  새해가 되면 언제나 의례적으로 덕담처럼 주고받는 인사,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라는 신년인사말이 올해는 쉽게 나오질 않는다. 조상대대로 내려오는 평범하면서도 확실하게 한해를 축복해주는 이 인사말이 지쳐 있는 우리들에게 왠지 편안하게 들리지 않을 것 같다.작년 3월 중순 전 세계 재앙인 ‘코로나 19’라는 신종 바이러스가 인간들에게 엄습해올 때 정말 무서웠지만...
심현숙
수많은 나날이 지나갔으나오늘, 한 포기의 희망을 심으려 합니다노랑총채벌레, 배추순나방, 벼룩잎벌레에게양보하고 빈털터리가 되었지만또 한 포기를 심는 까닭은앞에 시간의 비탈이 놓여있고기다림의 지게가 비어있기 때문입니다제 홀로 초록잎 또아리치는 배추보다는서로 기대어 비탈 가누는 노랑콩알을 심어보려 합니다여기에도 붉고 푸른 공벌레는 슬겠지요하지만 혹독한 한파가 콩깍지를 여물리고짙고 깊은 어둠이 실처럼 여린 형제를...
김해영
어제 내린 비 2022.01.04 (화)
나는 비를 무척이나 싫어했다.외출했다가 빗방울이 떨어지면 100미터 달리기로 집으로 향했고 친구와 약속을 했다가도 비가오면 나가지 않을 핑계 찾기에 머리를 굴리곤 했다. 서점에서 할인 판매하는 날만 기다리다 억수로내리는 장대 빗 속에 포기하고 일년 내내 후회하기도 했다.   장마철도 아닌데 계속 비가 내리고 있었다. 비트겐슈타인의 천재성 논리와 언어의 유희가 읽고또 읽어도 멀어만 가는데 날씨마저 우울했다. 습기 닿는 것조차...
박오은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