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스 오헤야 킨타나 유엔 북한 인권 특별보고관/UN
토마스 오헤야 킨타나 유엔 북한 인권 특별보고관/UN

유엔 북한인권 특별보고관이 서해상에서 실종됐다 북한 해역에서 북한군에 피살된 공무원 사건과 관련한 공식 자료를 남북한 모두에 요청할지 고려 중이라고 밝혔다.

9일(현지 시각)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따르면 토마스 오헤야 킨타나 유엔 북한인권 특별보고관은 RFA에 “북한 정부에 이 사건과 관련한 정보를 요청하고 우려를 표명하는 공식서한 발송을 고려할 것”이라고 했다. 킨타나 특별보고관은 “한국 정부에도 (탈북민) 단체 관련해 서한을 보냈던 것처럼 마찬가지로 (정보) 요청도 고려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정보당국이나 군당국 등은 정확히 어떤 일이 발생했는지 알리기 위해 기밀 정보까지 모든 정보를 유가족에게 공개해야 한다”며 “유가족은 진실을 알 권리가 있다. 이는 국제인권법에 보장된 인권”이라고 이유를 밝혔다. 그러면서 “유가족들에게 사건 관련 모든 자료에 대한 접근이 허용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킨타나 특별보고관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사과의 뜻을 밝힌 북측 통지문에 대해서도 “유감을 표명한 것은 중요한 몸짓이지만 사과는 아니다”고 했다. 또 “긴박한 위협이 없는데도 민간인을 자의로 살해하는 것은 세계인권선언에 저촉된다”며 “생명권에 관한 제네바협약도 위반한 것”이라고 강력히 비판했다. 또 북한이 유가족에게 모든 정보를 공개하고 보상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앞서 지난 6일 피살된 공무원 이모씨의 친형 이래진(55)씨 등 유족들은 서울 종로구 유엔 북한인권사무소를 방문해 유엔에 이씨 피살 사건에 대한 공식 조사를 요청한 바 있다.

김수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