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겨울 부츠 이야기

김춘희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0-02-10 16:41

김춘희 / 한국문인협회 밴쿠버 지부 회원


                                                   

   한기가 발끝에서부터 위로 차오르면 나는 겨울 부츠를 꺼내 신는다. 지난 1월에는 예상치 못했던 북극의 한파와 폭설로 학교와 공공기관들은 문을 닫았다. 뜻하지 않은 휴교 덕분에 아이들은 미끄럼도 타고 눈사람도 만들며 한껏 휴가를 즐겼다. 부츠를 발에 신으며 나는 12 전의 몬트리올로 돌아가 추억을 반추한다.

 

   그는 2008 2 8 다시 돌아오지 않는 여행을 떠났다. 그의 생애 마지막 , 병실에서 그가 떠날 날을 카운트다운하며 하루하루 지내고 있을 때였다. 낮에 아이들이 병실을 지키는 동안 나는 부지런히 여러 가지 처리를 했다. 은행 잔고, 회사 보험, 장지 확인, 정말 바쁘게 며칠을 보냈다. 그의 소지품도 대충 정리 하고 이제는 차분히 병실을 지키고 있던 어느 , 딸과 아들이 내게 살짝 물어왔다. 아빠가 지갑을 침대 머리 책상에 두고 있는지 호기심에 열어 보았는데 거금 300불이 들어 있다고 의아 하는 것이다. 궁금하면 여쭈어 보라 했지만 선뜻 말을 꺼내지 못하다가 어느 궁금증을 못이긴 아들이 아빠가 조금 안정 시간을 틈타 물었다. 아빠 지갑 속에 있는 돈으로 것이냐고. 그는 잠시 싱글 미소를 지으며 소리로엄마 부츠 사주려고 우리는 모두 놀랐다. 그는 방사선 치료 성대를 상해서 목소리는 꺼져 버렸고 다만 목쉰 소리로 말을 했다. 호흡도 거동도 힘들어 하면서 아내의 부츠 걱정을 하다니! 딸아이가 간단명료하게아빠 걱정하지 , 엄마 부츠 돈으로 우리가 드릴거야 했다. 그는 짓궂은 미소를 지으며맘대로 . 그렇게 하여 아이들은 아빠 지갑 속에서 잠자던 300 불을 꺼내는데 성공했다.

 


   그가 암에 걸리기 동안은 여러 가지 건강 문제로 병원을 들락거렸다. 바로 전해 1월이었다. 때도 지금 밴쿠버처럼 눈이 펑펑 내리던 날이었다. 나는 병원 침대에 잠시 그를 남겨 두고 그의 치료에 필요 했던 물건을 챙기기 위해 급히 집으로 돌아 왔다. 급한 마음에 눈이 아직 묻어있는 부츠를 신고 집안으로 들어 8개나 되는 계단을 내려가다가 그만 아래로 드르륵 미끄러지듯 넘어졌다. 다행히 부러진 곳은 없었으나 엉덩이와 허벅지에 심하게 멍이 들어 한참을 고생한 적이 있었다. 자국은 오래 갔고, 그러다 봄이 왔고 그의 병치레를 하느라 부츠를 사러 다닐 정신적 시간적 여유가 없었다. 그는 부츠를 사야한다고 노래를 했고 나는 산지 년도 되는 신이고 부주의로 넘어진 거라 핑계를 대면서 차일피일 미뤘다. 그러다 말기 선고를 받고나서는 부츠 챙길 정신이 없었다. 그러나 그는 아내의 부츠가 마음에 걸렸던 모양이었다.

 


   그가 떠난 , 정리를 모두 끝내고 그가 남겨 300불로 외출용과 신는 부츠 개를 샀다. 들어 12년차 신고 있다. 아이들은 새것으로 바꾸라 하지만 아직도 말짱한데 부츠를 산다는 것은 불필요한 사치라 생각한다. 나는 , 신발 어떤 것도 한번 맘에 들면 버리지 못하고 오래 쓴다. 더욱이 부츠엔 특별한 기억이 묻어 있기에 선뜻 버리지 못한다.

 


   우리는 그가 마지막 가는 길을 따듯하게 보내 드리려고 많은 애를 썼다. 병실이 독방이라 그런대로 우리 식구끼리의 시간이 많이 허락 되었다. 회사를 다니던 아들은 돈은 나중에 벌어도 된다며 12월서부터 집에 있었고 보스톤에서 선생을 하던 딸도 휴가 아닌 휴가를 받아 있었다. 나중에 알고 보니 동료 선생들이 자기들이 병가 휴일을 모두 친구 선생에게 도네이션 덕분에 놓고 있을 있었다. 그렇게 우리는 그가 떠나기 거의 달을 함께 지냈다. 병실에서 그가 그토록 좋아하던 냉면 파티는 , 애주가였던그를 위해 위스키 파티까지, 외에도 성가대원들의 작은 위문 음악회... 영원한 이별을 슬퍼하는 방문객들에게 그는 오히려 위로와 용기를 주면서 자기의 죽음을 준비했다.

 


   숨이 꺼져 가면서도 그는 번도 아프다 괴롭다 불평 하지 않고 죽음을 당당하게 받아드렸다. 한마디로 그는 낙천가였다. 마누라와 아이들만 있으면 그걸로 만족한 사람이었다. 외의 것에 정신을 팔지 않은 가정을 위한 사람이었다.

 


   고대 로마에 호라스라는 서정 시인의 momento mori, carpe diem 라는 유명한 싯구가 있다. 뜻은네가 죽을 인간인 것을 알아라, 그러니 오늘을 잡아라 라는 뜻이라고 한다. 혹자는 잡아라 대신 즐기라 해석하지만 잡아라 맞을 같다. 인간은 누구나 죽게 되어있다는 것을 누가 모르랴. 그러나 죽음을 외면하지 않고 기꺼이 받아드리면서 앞에 남아 있는 오늘 이라는 시간을 최대한 후회 없이 살라는 뜻이리라.

 

   2008 2 8 새벽 5 그가 떠나기 시간까지 우리를 웃기고 장난치다가 드디어 그는 여행의 잠으로 빠져 들어 갔다.



   오늘도 나는 하느님이 허락하셨고 지금도 계속되는 시간들이 감사해서 어린아이처럼까르페 디엠 외우며 부츠를 신는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코스모스9 2020.11.09 (월)
코스모스9김춘희 | (사) 한국문협 밴쿠버지부 회원자고 일어나면 수북이 쌓여서 ‘읽어 주세요’ 라며 나를 기다리는 그 많은 카톡 메시지가 요즘은 더욱 정겹게 느껴진다.지난 3월에 오랜만에 한국방문 비행기 표를 사 놓고 한국 가면 이번엔 꼭 고교 동창들을 만나 보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그래서 밴쿠버에 사는 친구의 안내와 배려로 접속되어 고교 동창 카톡방에 발을 딛게 되었다. 서울 사대부고 9회 여자 동창 방이다. 한국 전쟁 후 우리...
김춘희
예정했던 모국 방문은 한바탕 꿈이 되어 버렸다. 언니와 형부께 드리려고 한 올 한 올 따다가 말려예쁘게 포장 했던 고사리 묶음 단은 다른 선물과 함께 아직도 저만치 덩그러니 놓여 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우리의 모든 계획을 그렇게 뒤 헝클어 놓았다. 넉 달 이상을 자가 격리 아닌 격리생활을 하면서 나는 조금씩 따분해지고 어딘가 가고 싶다는 욕구가 스멀스멀 내 속에서기어오르고 있을 때, 마침 아이들이 오카나간 지역으로 3박 4일 가족 여행을...
김춘희
                                  코로나바이러스가 창궐한 지 벌써 두 달, 눈에 보이지 않는 바이러스가 그의 속성답게 방콕, 집콕 등 달갑지 않은 새로운 단어들과 함께 우리들 언어 속에도 끼어 들어와 살고 있다. 처음엔 사회적 거리 두기가 낯설고 두렵기까지 했는데 인간은 본디 사회적 동물이라서 그사이에 나름 적응해 가고 있는 모습을 본다. 그러려니 했던 것들이 무너지고...
김춘희
겨울 부츠 이야기 2020.02.10 (월)
                                                       한기가 발끝에서부터 몸 위로 차오르면 나는 겨울 부츠를 꺼내 신는다. 지난 1월에는 예상치 못했던 북극의 한파와 폭설로 학교와 공공기관들은 문을 닫았다. 뜻하지 않은 휴교 덕분에 아이들은 미끄럼도 타고 눈사람도 만들며 한껏 휴가를 즐겼다. 부츠를 발에 껴 신으며 나는 12년 전의 몬트리올로...
김춘희
(이 글은 지난 6월 2일부터 13일까지지 예루살렘 성지 순례 후 조선일보 6월 22일자 기고 감상문 ‘순례 지팡이’와 7월 31일자 기고 ‘올리브 나무의 침묵’에 이어지는 글입니다.) 우리 순례 일행은 사해 바다를 왼쪽으로 끼고 오른 쪽으로 우뚝 서 있는 마사다를 케이블 카를 타고 올랐다. 요새란 뜻을 지닌 마사다는성지는 아니지만 이스라 엘의 국립 공원으로많은 관광객들이 즐겨 찾는 곳이다. 450m의 고지대로 절벽 위에 오르면 마치 거대한...
김춘희
(이 글은 지난 6월 2일부터 13일까지지 예루살렘 성지 순례 후 조선일보 6월 22일자에 기고 한 감상문 ‘순례 지팡이’ 에 이어지는 글입니다.)  예루살렘 성지 순례 기간 동안 하루도 빠지지 않고 점심 저녁 식탁에 올리브 피클과 올리브기름이 필수로 올라왔다. 기름은 빵에 묻혀 먹거나 야채에 뿌려 먹고 올리브 피클은 우리 한국인들이 김치를 먹듯 이 곳 사람들의 필수 반찬인 격이었다. 올리브의 원산지는 지중해 연안의 스페인, 이탤리,...
김춘희
순례 지팡이 2019.06.25 (화)
벼르고 벼르던 예루살렘 성지 순례를 떠나던 6월 2일 전 날.아이들은 늙은 엄마가 먼 길을 나서는 게 영 불안들 한 모양이었다. 출발 전 날 며느리는 여행 동안 꼭 쓰라고 지팡이를 사왔다. 그럴만한 이유가 있으니 난 아무 말 못하고 아이들에게 순종해야 했다. 순례를 앞 둔 5월 1일 아침 산책길에서 발을 헛디뎌 시멘트 바닥에 넘어져 얼굴을 긁어 잎술도 터지고 뺨도 긁혀 꼴사나운 얼굴로 순례를 간다니 얼마나 걱정이 되었을까. 내가 봐도 이건 좀...
김춘희
어머니의 냄새 2019.04.04 (목)
나에게 어머니는 어떤 분이셨을까?위로 오빠와 언니 그리고 내 밑으로 줄줄이 동생이 넷이 있었던 나에게 엄마는 없고 어머니만 있었다. 말 배울 때부터 엄마라는 단어를 몰랐다. 어머니, 엄니 는 있었지만 엄마는 없었다. 내가 고등학교에 다닐 때쯤인가, 어머니가 후회스럽게 말씀하시는 것을 들었다. 너무 엄하게 아이들을 길렀더니 엄마 소리도 못 한다고. 그 후 우리 형제들은 오빠와 나를 빼고는 모두 어머니가 아니라 엄마라 불렀는데 나는 엄니란...
김춘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