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제프리 킴의 '좌충우돌' 서바이벌 영어 - 프롤로그

밴조선편집부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8-02-07 04:47

"이곳 사람들과 부딪히며 경험하면 잘 할 수 밖에 없다"
어떻게 해야 영어를 잘 하죠?
제가 항상 듣는 말입니다. 이 말의 의미는 분명 무슨 비법이 있냐는 의미일겁니다. 그리고 그것은  언어를 족집게 학습을 통해 익히려는 잘못된 믿음에서 나온 말일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이 질문은 제가 서울 올림픽 보름 전 18살때 캐나다 토론토에 첫 발을 들였던 때를 기억하게 합니다.
혼자 비행기를 타고 도착 후 공항에서 전화하면 픽업하러 나오겠다는 아버지의 말대로 입국 수속후 공중전화로 향하였습니다. 수화기를 들었을 때 저는 의아해했습니다. 동전도 넣지 않았는데 뚜~하는 신호음이 들렸기 때문이죠. 당시의 한국 공중전화는 동전을 넣기 전엔 신호음이 들리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시간제 요금이었으므로 통화가 끝나고도 잔액이 남으면 수화기를 올려놓지 않고 다음 사람이 쓸 수 있도록 올려놓고 가는 게 일반적이었죠. 
그래서 해외경험 등이 전무하던 저는 한국처럼 앞 사람이 남은 잔액을 안쓰고 가서 신호음이 들리는 거라고 생각하고 동전을 넣지 않고 전화를 돌렸습니다. 물론 이상한 여자의 영어 메시지만 흘러나오며 통화는 안되었죠. 몇 번을 반복하자 옆에 있던 백인이 원시인에게 문명의 이기를 알려주듯 극단적으로 천천히 공중전화 사용법을 알려주기 시작했습니다. 
공중전화를 쓸 줄 몰라서 그런 게 아닌데 너무나 억울한 마음이었습니다. 그렇게 오해와 억울함으로 제 캐나다 생활이 시작되었습니다. 그리고 고등학교, 일, 대학 등을 거치며 영어 때문에 일어나는 오해와 억울함의 양은 며칠 동안 밤을 세우며 얘기해도 모자라게 되었죠. 그리고 이제 영어가 직업이 되어버린 지금은 제 학생분들에게서 그 시절 저의 모습이 재방송되는 것을 보고 삽니다. 
그러나 그 분들은 그런 제 모습을 보지 못하십니다. 물론 그 동안 겪었던 저의 억울함과 눈물의 양을 모르시죠. 특히 한국인은 2세 빼고는 생각도 못하는 "연기 (acting)"를 전공함으로써 겪어야 했던 영어스트레스는 전혀 상상을 못하십니다. 어떻게 하면 영어를 잘 하냐구요? 경험을 하시길 바랍니다. 영어가 앉아서 단어를 외우고 공부를 한다고 잘 할 수 있었다면 한국은 진작에 전 세계에서 영어를 가장 잘 하는 나라가 되었을 겁니다. 
제가 말씀 드리는 경험이란 일상생활에서 영어가 생활의 일부가 되게끔 하시라는 말입니다. 이해를 못하겠다며 피하지 마시고 캐나다 신문을 읽으십시오. 분명히 한 단어라도 공부가 됩니다. 어렵다고 영어 잘 하는 사람 뒤에 숨지 마시고 관공서나 업체와의 문제 직접 나서서 해결하십시오. 분명히 한 표현이라도 배웁니다. 못 알아듣겠다고 TV 끄지 마시고 틀어놓으세요. 무심코 한마디라도 익히게 됩니다. 그리고 그 끈을 놓지 않으시면 반드시 됩니다. 
자녀, 특히 어느 정도 나이가 들어서 캐나다에 온 자녀가 있으신 분들은 그들에게서 영어 잘 하는 법을 배우실 겁니다. 성인과 달리 그들은 선택의 여지가 없습니다. 못 알아 들어서 바보가 되어도 학교 가서 해야 됩니다. 가서 하루 8시간이상 자막도 없이 듣고 보고 쓰고 해야 합니다. 교과서는 사전크기입니다. 그 사전 크기 교과서가 한두 과목이 아닙니다. 이렇게 그들은 경험을 쌓아갑니다. 울면서 말이죠. 얼마나 하루하루가 고통스럽고 지옥 같을까요? 그리고 몇 년 후면 부모님의 영어를 보며 창피해하고 놀립니다. 
아이들이라서 금방 영어를 하는 게 아닙니다. 죽기보다 싫어도 학교 가서 이곳 사람들과 부딪히며 "경험"하기 때문에 잘 할 수 밖에 없는 겁니다. 물론 성인의 특성상 학교를 full-time으로 다니면서 하는 것이 벅찰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평소 생활에서도 얼마든지 "경험"쌓기는 가능하답니다. 그러면 이 "경험"을 쌓으면서 필자인 Jeffrey에겐 어떤 일이 있었을까요? 저의 이런 지난 날의 좌충우돌의 경험들을 소개해드림으로써 영어 때문에 고생하시는 여러분들께 위로가 되고 즐거운 경험을 공유하는 시간이 되길 바랍니다. 아울러 영어를 잘 할 수 있는 비법을 연재 칼럼을 통해  깨우치시길 희망해봅니다. "You've got to pay your dues".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제20회 장학의 밤, 8일 오후 5시30분 메트로힐튼 호텔... 지난달 22일 사전 모임 가져
'제20회 한인 장학의 밤’행사가 오는 8일 메트로타운 힐튼 호텔에서 열린다.밴쿠버 한인장학재단(이사장 오유순, VKCSF)주최로 오후 5시30분부터 시작되는 이번 행사에는 최종 선발된 45명의...
학부모 부담 일년 중 크리스마스 다음으로 심해 학용품, 의류, 컴퓨터, 휴대폰 등 할인 경쟁
긴 여름방학이 지나고 개학이 이제 다음주로 다가왔다. 일년 중 학부모들의 지갑이 크리스마스 다음으로 가장 얇아지는 기간이다. 전문가들은 현명한 소비와 더불어 개학을 맞는 자녀들의...
제8차 캐나다 한글학교 연합회 학술대회 4일-6일, 써리 쉐라톤 호텔에서 개최
캐나다 한글학교의 미래를 모색하는 전문 학술대회가 밴쿠버에서 개최됐다.캐나다 한글학교 연합회(회장 신옥연)가 주최하고 캐나다 서부지역 한글학교협회(회장 송성분)이 주관한...
컴싸 졸업 후 아마존 입성까지
박건영 Computer Science<▲ UBC 대학 졸업 후, 현재 아마존 사에 근무 중인 박건영씨.>저희 AKCSE Publication에서는 매주, UBC Science/Engineering 관련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UBC Science/Engineering에...
의/치/약대를 향한 똑똑한 전공, CMS
김성규 Combined Major in Science<▲ UBC에서 CMS(Combined Major in Science)를 전공 중인 3학년 김성규씨>저희 AKCSE Publication에서는 매주, UBC Science/Engineering 관련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UBC...
"컴싸, 졸업 후에도 도전할 수 있다!"
최민규/ BCS저희 AKCSE Publication에서는 매주, UBC Science/Engineering 관련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UBC Science/Engineering에 재학 중이거나 졸업하신 학생분들을 직접 만나 인터뷰를 통해 보다 더 생생한...
유비씨 의대 1학년이 전하는 생생한 입학 후기!
임아령(Chloe Lim) /  Medicine저희 AKCSE Publication에서는 매주, UBC Science/Engineering 관련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UBC Science/Engineering에 재학 중이거나 졸업하신 학생분들을 직접 만나 인터뷰를...
"I'm going to the English class!"
옆집에 서는 캐네디언 할머니는 호기심이 많다. 마음씨 좋은 할머니는 상냥하기도 하지만 심심하기도 한지 나한테 말을 자주 건다. 하루는 공원에서 조깅하고 오다 마주쳤는데 할머니는 반기며 인사를 건넨다. 오늘 날씨는 어떻다는 둥 'say hello'를 연신 외치신다....
"이곳 사람들과 부딪히며 경험하면 잘 할 수 밖에 없다"
어떻게 해야 영어를 잘 하죠?제가 항상 듣는 말입니다. 이 말의 의미는 분명 무슨 비법이 있냐는 의미일겁니다. 그리고 그것은  언어를 족집게 학습을 통해 익히려는 잘못된 믿음에서 나온 말일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이 질문은 제가 서울 올림픽 보름 전...
컴퓨터 과학·경영학, 복수전공으로 효과적인 진로 탐색
김송은 BUCS (Combined Major in Business and Computer Science)저희 AKCSE Publication에서는 매주, UBC Science/Engineering 관련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UBC Science/Engineering에 재학 중이거나 졸업하신 학생분들을 직접...
장애-비장애 통합교육, 교사들 고충 토로해
캐나다 내에서 특수교육이 필요한 아동들을 일반 학교에 통합시키는 이른바 '통합교육제도'가 확산됨에 따라 이들을 돌보는 일반 교사 및 보육교사들의 고충도 점차 늘고 있다. 캐나다 교사 연합회(Canadian Teachers 'Federation)가 최근 온타리오 초등 학교 교사 2만...
점점 더 주목받고 있는 환경과학
김지현 Environmental Science저희 AKCSE Publication에서는 매주, UBC Science/Engineering 관련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UBC Science/Engineering에 재학 중이거나 졸업하신 학생분들을 직접 만나 인터뷰를 통해...
내가 원하는 분야를 선택해 공부하는 융합과학!
임재원 Integrated Science저희 AKCSE Publication에서는 매주, UBC Science/Engineering 관련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UBC Science/Engineering에 재학 중이거나 졸업하신 학생분들을 직접 만나 인터뷰를 통해 보다...
Kinesiology, 어떤 학과일까?
임진현 Kinesiology저희 AKCSE Publication에서는 매주, UBC Science/Engineering 관련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UBC Science/Engineering에 재학 중이거나 졸업하신 학생분들을 직접 만나 인터뷰를 통해 보다 더...
국제학교에서 UBC 이렇게 왔어요
서영희 Biochemistry저희 AKCSE Publication에서는 매주, UBC Science/Engineering 관련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UBC Science/Engineering에 재학 중이거나 졸업하신 학생분들을 직접 만나 인터뷰를 통해 보다 더...
표찬우 Mechanical Engineering저희 AKCSE Publication에서는 매주, UBC Science/Engineering 관련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UBC Science/Engineering에 재학 중이거나 졸업하신 학생분들을 직접 만나 인터뷰를 통해...
밴쿠버 유학생이 전해주는 UBC 입학을 위한 메세지
저희 AKCSE Publication에서는 매주, UBC Science/Engineering 관련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UBC Science/Engineering에 재학 중이거나 졸업하신 학생분들을 직접 만나 인터뷰를 통해 보다 더 생생한 UBC의 삶을...
밴쿠버에서 UBC Science 이렇게 들어왔어요
<▲ UBC Science 학과에 재학중인 이진규씨>저희 AKCSE Publication에서는 매주, UBC Science/Engineering 관련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UBC Science/Engineering에 재학 중이거나 졸업하신 학생분들을 직접...
온타리오주에서 UBC 공대로…
<▲UBC Mechanical Engineering에 재학 중인 이아린씨>이아린 Mechanical Engineering저희 AKCSE Publication에서는 매주, UBC Science/Engineering 관련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UBC Science/Engineering에 재학 중이거나...
다양한 봉사활동으로 값진 경험… 진로 선택은 신중히
김연준 Pharmacy   저희 AKCSE Publication에서는 매주, UBC Science/Engineering 관련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UBC Science/Engineering에 재학 중이거나 졸업하신 학생분들을 직접 만나 인터뷰를 통해...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