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진안대군

이현재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8-01-17 13:44

진안대군

이현재 / 캐나다 한국문협 회원


연말 연시를 맞이하여 본인의 뿌리를 돌아 보는 것도 뜻 깊은 일이라 생각 된다. 나는 어디서 와서 어디로 흘러가는 것일까? 특히 이민 일세대인 경우는 우리 자신이 앞으로 캐나다에서 뻗어 나갈 우리 후손들의 시조가 되는 셈이기에 말이다.
족보(族譜)의 사전적 의미는 한 족속의 계통과 혈통 관계를 밝혀 놓은 책이라고 정의 하고 있다. 이민 초기 애들이 학교에서 가족의 뿌리에 대해서 설명하라는 과제를 가지고 온 적이 있다. 우리 가족의 족보에 대해서 애들에게 자세히 구술하고 잘 정리해서 학교에 가져 가라고 했다.
다음날 학교에서는 작은 소동이 일어 났다. 동방의 한 조그마한 나라에서 로얄 페밀리가 이민 왔다고 난리가 났다고 한다.
우리 집안의 시조는 진안대군이다. 진안대군이 누구인가? 조선을 건국한 이성계 태조의 첫째 아드님이다. 문헌에 나타난 진안대군의 약력을 간략히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전주이씨 진안대군파의 시조이다. 이름은 방우이고 조선 태조 이성계와 신의왕후 한씨의 장남이다. 부인은 찬성사 충주 지씨 지윤(池奫)의 딸이다. 고려 말에 과거에 급제했다. 1388년(창왕 즉위) 밀직부사로 밀직사 강회백과 명나라에 들어가 창왕의 친조를 청했으나 이루지 못하고 귀국했다. 1392년 태조가 조선을 건국하고 즉위하자 진안대군에 봉해졌고, 함경도 고원과 함흥의 전답을 녹전으로 받았다. 조선 건국 이후에는 국가의 일에 일체 관여하지 않고 은거하였다. 1418년(태종 18) 진한 정효공에 추증되었다.
진안대군은 드라마 개국, 용의 눈물, 대풍수, 정도전, 그리고 최근에 방영된 육룡이 나르샤 등에서 주요 인물로 등장했었다. 태조의 장남으로 왕위 계승 서열 일 순위 였으나 세자 책봉을 고사했다고 한다. 고사한 이유로는 여러가지 설이 있으나 고려 때 판서를 지낸 관계로 비록 친 아버지가 임금이지만 한 신하가 두 임금을 모실 수 없다는 충의 마음이 효보다 앞섰다는 설이 유력하다.
이후 진안대군은 모든 관직을 내려 놓고 심심산골 충북 괴산의 목도로 홀연히 자취를 감추고 만다. 그 후 역모 사건이 일어 날 때마다 태조의 적장자인 관계로 이름이 오르내리는 것을 염려하여 후손들은 목도를 벗어 나지 않았고 벼슬도 일체 하지 않았다. 그런 이유로 진안대군의 후손들 중에서는 뛰어난 인물이 그리 많지 않다. 
우리 집안의 원적도 충청북도 괴산군 불정면 목도리이다. 목도에는 청덕사(淸德祠)란 사당이 있는데 진안대군과 첫째 아들인 봉령후의 위패를 모신 곳이다. 순조 31년(1831)에 세운 건물로 ‘청덕’이라는 이름은 대군이 청빈하고 덕이 있다고 하여 붙인 것이라 한다. 솟을 삼 문 둘레로는 담장을 두르고 외 삼 문 안에는 연못을 조성하였다. 충청북도 문화재 제 9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곳에서는 해마다 후손들이 모여 시제를 지내며 나도 이민 오기 전에는 자주 참석을 했었다.
역사에 가정은 없다고 하지만… 만약 진안대군이 왕위를 사양 하지 않고 이어 받았다면 어떠했을까? 조선의 역사는 완전히 뒤바뀌어 졌을 것이다. 왕자의 난 같은 골육상쟁도 없었을 것이고 태정태세문단세로 이어지는 역대 왕들도 전혀 새로운 인물들로 채워졌을 것이다.
여기서 가장 흥미를 끄는 대목은 한글을 창제한 세종대왕이다. 진안대군이 왕위를 이어 받았다면 태조의 5 남인 태종의 등극도 없었을 것이며 태종의 아들인 세종은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평범한 왕족인 일개 군으로 여생을 마쳤을 것이다. 한글도 창제 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 절대 권력을 가진 왕에 대해서도 한글 창제 반대가 극심했는데 일개 군이 주도한 한글의 연구는 시작도 못하고 중도에 좌초 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그러면 아마도 우리는 지금까지 한자를 쓰고 있거나 아니면 영어를 쓰고 있거나 그도 아니면 듣지도 보지도 못한 이상한 글자로 소통을 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진안대군의 왕위 사양이 우리나라의 역사와 삶을 바꾸어 놓았다면 과언일까?.
진안대군은 찬성사 지윤의 딸 충주 지(池)씨를 배필로 맞아 들였었다. 우연인지 필연인지 오 백 여 년이 흐른 지금, 진안대군 22세 손인 필자의 짝궁도 충주 지 씨이니 대를 이어 인연을 맺어 가고 있는 현실이 경이롭기만 하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이민기념일 2020.08.31 (월)
태어나서 가난한 건 당신의 잘못이 아니지만죽을 때도 가난한 건 당신의 잘못이다화목하지 않은 가정에서 태어난 건 죄가 아니지만지금 화목하지 않은 건 당신의 잘못이다 -빌 게이츠- 해마다 8월이 되면 이민기념일을 자축한다. 1997년 8월 19일 아내와 중3인 딸, 초등학교1학년인 딸, 이렇게 4식구가 밴쿠버 공항에 도착했다. 2시간여의 지루한 이민 수속을 마치고공항 로비에 나오니 민박집 주인이 플래카드를 들고 우리를 마중 나와 있었다. 당시...
이현재
유쾌한 한 해 2020.01.27 (월)
   천재 시인 김삿갓이 어느 마을 유지의 환갑잔치에 가게 되었다. 남루한 행색으로 인하여 처음에는 말석에 앉아 있었으나 김삿갓임을 알아본 큰아들이 상석으로 그를 안내한 후 축시 한 수를 부탁했다. 술 한 잔을 들이켠 후 김삿갓은 천천히 시 한 수를 읊었다.  "저기 앉은 노인은 사람 같지 않고   일곱 아들은 모두 도적이다."  좌중은 모두 대경실색했다. 더구나 김삿갓을 상석으로 안내한 큰아들은...
이현재
 약관 20세도 되지 않은 나이에 김두한은 주먹세계를 통일했다. 전국의 내로라 하는 주먹들을 찾아다니며 이른바 도장 깨기를 시도한 끝에 주먹 황제로 등극했다. 그런 김두한도 이기지 못한 상대가 한 사람 있었으니 바로 시라소니라 불리는 이성순이다. 만주를 평정하고 내려온 시라소니가 김두한에게 결투를 신청했다. 그러나 이 대결은 성사되지 않았다. 시라소니를 처음 본 김두한은 결투하지 않고 바로 형님이라고 불렀다....
이현재
아침 짓기가 괴로워서 굶는 일은 결코 없었다.귀찮음 때문에 나 자신을 배곯길 수는 없는 일이었다.또한 적당히 끼니를 때우는 일도 없었다.그건 나에 대한 결례이기 때문이다. 내가 나 자신을 하찮게 여기는데 누가 나를 귀하게 대해줄 것인가 (김남조)  옷장을 열어 보니 입지 않는 양복이 가득하다. 이민 올 때 가져온 것들이니 족히 이 십 년은지난 옷들이다. 유행이 지나도 한참 지났다. 한국에서는 양복이 일상복이었다. 평일은...
이현재
단골 이발사 2018.08.27 (월)
이민 와서 골치 거리 중의 하나가 머리를 깎는 일이었다. 주변에 이발소가 거의 없었고 몇개 있던 미용실은 익숙지가 않았다. 한국에서는 한번도 미용실을 간 적이 없다. 이민 와서처음 머리를 깎은 곳은 동네 타운 홈의 거실이었다. 거실 한쪽에 커튼을 치고 달랑 의자하나와 거울 하나를 놓고 한국에서 미용 경력이 있는 아줌마가 알음알음 찾아 오는사람들을 상대로 머리를 깎아 주곤 하던 곳이었다. 몇 년이 지나 이곳 저곳 한인이 운영하는 미용실이...
이현재
진안대군 2018.01.17 (수)
진안대군이현재 / 캐나다 한국문협 회원연말 연시를 맞이하여 본인의 뿌리를 돌아 보는 것도 뜻 깊은 일이라 생각 된다. 나는 어디서 와서 어디로 흘러가는 것일까? 특히 이민 일세대인 경우는 우리 자신이 앞으로 캐나다에서 뻗어 나갈 우리 후손들의 시조가 되는 셈이기에 말이다.족보(族譜)의 사전적 의미는 한 족속의 계통과 혈통 관계를 밝혀 놓은 책이라고 정의 하고 있다. 이민 초기 애들이 학교에서 가족의 뿌리에 대해서 설명하라는...
이현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