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세계대학 평가, 캐나다 1위는 토론토대학

김연주 기자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3-09-09 15:35

서울대 35위, 카이스트 60위… 세계 200위內 한국 대학 6곳

[2013 세계대학평가] 10년간 나타난 세 가지 특징

① 美 대학들, 경제위기로 휘청
정부 예산받는 美주립대 43곳, 6년전보다 평균 20계단씩 하락
② 국제화 지표서 크게 뒤진 日
13계단 추락 도쿄대, 32위 그쳐… 서울대는 매년 올라 올해 35위
③ 中, 해외 유학생 대거 유치
외국학생 작년보다 38% 증가, 최근 美·유럽 학생들도 급증

올해로 10회째를 맞은 'QS 세계대학평가' 결과를 보면, 대학 평가가 단순히 개별 대학들끼리의 경쟁이 아님을 알 수 있다. 국가별, 나아가 대륙별로 흥망성쇠가 엇갈리는 '글로벌 고등 교육 시장'의 판도를 읽을 수 있다. 지난 10년간 세계대학 평가에서 드러나는 세계 대학 시장의 특징은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아시아 부상, 미국 하락세

'영미권의 지배(dominance)'. 매년 세계대학평가 순위가 발표될 때마다 이런 평이 나왔다. 최상위권을 미국과 영국 대학들이 독식하는 현상 때문이다. 올해 역시 상위 20개 대학 중 11곳이 미국, 6개 대학이 영국 대학이다.

그러나 2007~2008년 세계 경제 위기 이후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올해도 최상위권은 미국 대학들이 차지했지만, 전반적으로는 미국 대학들이 하락세다. 올해 400위 이내 미국 대학 총 83곳 중 64곳(77%)의 순위가 2007년보다 떨어졌다. 특히 정부가 예산을 지원하는 미국 주립대학 43곳은 2007년보다 평균 20계단씩 미끄러졌다. QS 측은 "경제 위기 이후 미국 정부가 고등교육 예산을 삭감하면서 대학들의 글로벌 경쟁력이 떨어지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QS 2013년 세계 대학평가 순위. 국내대학 세계 대학평가 순위.
미국 대학과 대조적으로 아시아 대학들은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타고 있다. 아직 톱 20위 안에는 아시아 대학이 없지만 올해 400위 이내 62개 아시아 대학의 70%가 2007년보다 순위가 올랐다. 벤 소터 QS 평가총괄담당자는 "싱가포르·홍콩·한국 등 아시아 국가들은 교육에 관심을 갖고 꾸준히 투자해왔다"며 "그 결과가 연구 실적 등으로 이어져 경쟁력이 높아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아시아 승자·패자 갈려

QS 마틴 잉스(Ince) 학문자문위원장은 세계대학평가 결과에서 드러난 아시아 대학들의 특징에 대해 "'승자(winner)'와 '패자(loser)'가 분명히 갈린다"고 평가했다.

패자는 일본이다. 일본은 2008년 19위 도쿄대를 비롯해 총 10개 대학이 200위 이내에 이름을 올렸다. 올해 200위 내 일본 대학은 5년 전보다 한 곳 줄어든 9곳. 그러나 아시아 1위를 기록했던 도쿄대가 무려 13계단 떨어진 32위에 그쳤다. 일본의 2·3위 대학인 교토대와 오사카대는 2008년에서 올해 25위→35위, 44위→55위로 떨어졌다. 특히 일본 대학들은 국제화 지표에서 다른 국가들에 뒤처지고 있다.

일본 대학을 무섭게 추월하는 곳은 한국과 홍콩, 싱가포르, 중국 대학들이다. 5년 전 30위였던 싱가포르국립대(NUS)는 작년 25위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도쿄대를 앞질렀으며 올해는 24위로 계속 상승세다. 한국 대학들의 선전도 두드러진다. QS는 "200위 내 한국 대학들은 2008년 3곳에서 작년과 올해 6곳으로 5년 만에 두 배로 늘었다"고 말했다.

서울대는 2008년 50위에서 매년 순위가 올라 올해는 35위를 기록했다. 서울대는 이미 작년 '조선일보·QS 아시아대학평가'에서 6위(올해 4위)에 올라 8위였던 도쿄대(올해 9위)를 따라잡았다.

◇중국으로 몰려드는 해외 유학생

세계 400위 안에 든 대학들을 대상으로 외국인 유학생 수를 뽑아보니 137만명으로 지난해보다 8만명 늘어났다. 대학별 평균 외국인 유학생은 약 3400명으로 지난해보다 약 6.5% 늘었다.

영미권 대학 가운데 외국인 학생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영국이었다. 400위권 내 45개 영국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 수는 지난해보다 20% 증가했다. 미국·캐나다 대학들은 지난해보다 외국인 학생이 각각 7%, 5.5% 늘어나는 데 그쳤다. QS 측은 "영국 대학들은 등록금 상승으로 자국 입학생들이 줄어들 가능성을 고려해 외국 학생을 적극적으로 유치했다"고 말했다.

외국인 학생이 가장 큰 비율로 늘어난 국가는 중국이다. 세계 400위 내에 든 10개 중국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 수는 지난해보다 평균 38% 상승했다. 존 몰로니(Molony) QS 전략기획마케팅 부사장은 "중국으로 유학 온 외국인은 아직은 한국·일본·러시아 등 인접 국가 출신이 많지만 최근에는 미국과 유럽 학생들이 급격히 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 대학은 외국인 유학생 수가 지난해보다 평균 6% 올랐지만, 다른 국가 대학보다 외국인 학생 수가 워낙 적기 때문에 큰 변화가 없는 셈이라고 QS 측은 분석했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중국에선 중추절을 앞두고 대목을 맞은(have a rush of orders) 신종 비즈니스가 있다. 이른바(so-called) '부모님 방문 서비스'다. 피치 못할 사정으로(for some unavoidable reasons) 찾아뵙지 못하는 자식들을 대신해(on their behalf) 수고비를 받고 대리 방문해주는 서비스다.이 신종...
BC주 대학·칼리지 졸업생 학교 만족도 93%
지난해 BC주 대학·칼리지 졸업생을 대상으로 학교와 학과에 대한 만족도를 설문한 결과 93%가 만족감을 표시했다고 BC주 고등교육부가 16일 발표했다. 암릭 버크(Virk) BC주 고등교육장관은 "대부분 학교에 대한 만족도는 A+에 해당한다"고 자랑했다. 관련 설문은 BC주...
“의사로서 흔들리지 않는 나의 꿈, 이젠 밴쿠버에서 시작합니다”
어린시절부터 그의 장래 희망은 단 한 가지, ‘의사’였다. 10대 후반과 20대를 거치는 동안 나름 방황은 있었지만 그 꿈이 수정된 적은 없었다.결론부터 말하면, 묵묵히 한곳만을 바라보던...
“예비 신입사원 예상 몸값 현실에서는 기대 못 미쳐”
대학생들이 생각하는 졸업 후 자신의 첫 몸값은? 몬트리올은행(BMO)이 최근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정답은 연 5만668달러다. 남학생의 예상 연봉은 5만2938달러로, 여학생의 4만8096달러에 비해 기대치가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남학생이나...
“유학생 부담은 갈수록 커지는 중”
학비 오름세가 가파르다. 캐나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3/14학년 대학 등록금은 평균 5772달러로, 전년 대비 3.3% 올랐다. 이는 지난 학년 인상률(4.2%)보다는 낮지만, 물가 상승률은 크게 앞지른 수치다. 2012년 7월부터 다음해 동월까지의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1.3%였다....
자기주도학습 우수 초등생 "우리가 공부하는 이유는요!""어린애가 뭘 알겠어? 엄마가 시키니까 억지로 하는 거겠지."일명 '학원 뺑뺑이'와 선행학습이 난무하는 요즘은 공부 잘하는 초등생을 바라보는 시선이 곱지만은 않다. 본인이 원해서 공부하기보다는 엄마...
◇책과 가까워지면서 성적도 쑥쑥이수민(서울 신북초 5년) 양은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책 읽기를 좋아하지 않았다. 가끔 엄마가 손에 쥐여주는 책을 읽은 게 전부였다. 국어 단원평가 점수도 형편이 없었다. 독해력이 부족해 문제에 제시되는 지문을 제대로 이해하지...
[2013 세계대학평가] 1위 MIT, 2위 하버드영국의 글로벌 대학 평가 기관 QS (Quacquarelli Symonds)가 9일(한국시각) 발표한 '2013 세계대학평가'에서 서울대가 세계 35위, 카이스트(한국과학기술원)가 60위에 올랐다. 이어 포스텍 107위, 연세대 114위, 고려대 145위, 성균관대...
서울대 35위, 카이스트 60위… 세계 200위內 한국 대학 6곳
[2013 세계대학평가] 10년간 나타난 세 가지 특징① 美 대학들, 경제위기로 휘청정부 예산받는 美주립대 43곳, 6년전보다 평균 20계단씩 하락② 국제화 지표서 크게 뒤진 日13계단 추락 도쿄대, 32위 그쳐… 서울대는 매년 올라 올해 35위③ 中, 해외 유학생 대거...
청소년 자녀가 잘못된 행동을 했을 때에 큰 소리를 지르면 체벌을 했을 때와 비슷한 부정적 영향을 자녀에게 미치게 된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9일 보도했다. 우울증, 거짓말, 공격적 행동이 오히려 늘어난다는 것이다.피츠버그 대학과 미시간 대학의 연구팀은...
BC주고등교육부 '학비 절감' 이용 권장
BC주정부는 학비 절감을 위해 BC트랜스퍼제도(BC Transfer System)를 대학생들이 좀 더 활용해야 한다고 5일 발표했다. 암릭 버크(Virk) BC고등교육장관은 집 근처에서 학교를 다닌 후 대학에 가게 되면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며 해당 제도 이용을 권장했다....
NBA캐나다 지부 DB공개
NBA(북미프로농구) 캐나다지부가 젊은 농구 인구 확대를 위해 유스클럽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어 공개했다. 캐나다 전역 시마다 있는 청소년 클럽이나 리그에 대한 연락처를 웹사이트를 통해 소개해 농구에 관심 있는 부모나 청소년이 연락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이다....
[내년 입시부터 대학별 전형數 수시 4개·정시 2개로 제한]대학들, 전형數 제한 안 지키면 재정 지원받는 사업서 불이익내년에 '공통 원서접수制' 도입, 한 번에 여러 대학들 동시 지원현재 3000여개의 대학 입학 전형 방법이 2015학년도 입시부터는 1000개 이하로...
프레이저연구소 '연 1만달러' 통념과 다른 결론
캐나다 국내에서 자녀 1명을 양육하는데 연간 비용은 최소 3000달러라고 프레이저연구소가 22일 발표했다.밴쿠버소재 보수성향 싱크탱크인 프레이저연구소는 자녀의 연령에 따라 양육비용은 3000달러에서 4500달러 사이라고 밝혔다. 이와 같은 결과는 캐나다 일반의...
사회가 고학력 요구... 교육·보건이 자리찾기 상대적 수월
캐나다 부모들이 은퇴를 늦추거나 빚을 내서라도 자녀를 대학에 보내려는 배경에는 취업률이 있다. 호경기 때는 대졸자나 비대졸자나 비슷한 비율로 일자리가 늘지만, 경기가 어려워지면 차이가 극명해지기 때문이다.미국 HED사의 대졸자와 전체 일자리 비교...
캐나다 부모 10명 중 4명 자녀 위해 희생
자녀의 대학 학비 부담으로 인해 부모의 은퇴가 늦춰질 전망이다. 캐나다 시중은행 중 하나인 CIBC가 레거사에 의뢰해 시행한 설문결과, 25세 미만 자녀를 둔 캐나다 부모의 10명 중 4명(36%)은 자녀의 대학 학비를 내기 위해 은퇴를 늦출 계획이라고 밝혔다. BC주...
UBC 약대 한인학생회 신형찬·유수훈씨
한인사회 일부에서는 약사라는 직업에 대한 이해가 비교적 낮은 편이다. 누군가에게 약사는 “타이레놀 어디 있어요?”라는 질문에 답해주는, 혹은 처방전에 따라 약을 내어주는 사람에...
패스포트제도 올해 10학년부터 폐지
오는9월부터 시작되는 신학기부터 BC주내 공립학교의 장학금 제도가 사실상 일부 폐지된다. BC주정부는 고등학생이 특정활동 또는 학업을 통해 받은 점수를 모아, 대학교에 진학하게 되면 점수에 따라 장학금 신청 기회를 주었던 현행 '더 패스포트 투...
CDI칼리지 덴탈테크니션프로그램
[ADVERTORIAL]써리시에 위치한 CDI칼리지(CDI College)가 캐나다 국내에서 5번째로, 그리고 사립 학교로서는 첫번째로  2013 년 부터 치과 덴탈테크니션(Dental Technician·치기공사)을 제공할 수...
‘유펜(U Penn·펜실베이니아대 약칭)과 맥길대의 대결’시가총액 기준 300위 안에 드는 기업의 최고위 임원을 가장 많이 배출한 대학들이다.<이코노미조선>이 기업경영평가사이트 CEO스코어(www.ceoscore.co.kr)에 의뢰해 국내 10대 그룹 상장계열사 사장,...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