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뼈만 그득한 이상한 ‘매운탕’ "아보츠포드 일식 집 `세미'가서 스시 먹고 나오면 바보래요~"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7-10-22 00:00

일식 레스토랑‘세미(She-Mi)’

주말을 맞아 당일코스로 호프, 해리슨으로 나들이 갔다가 돌아오는 길. 한국이라면 필시 근처 어디쯤 맛있는 토종닭도리탕을 파는 식당이 있을 것만 같은 한적한 도로변. 차는 슬금 슬금 막히고 배는 출출한데 저녁 식사시간까지 시내에 닿을까 말까 어중간한 시간. 창 밖을 보니 아보츠포드를 지나가고 있다…… 그러나 무작정 고속도로를 벗어나 낯선 지역으로 방향을 바꾸기가 두려울 때 90번 출구가 보인다면 과감하게 핸들을 꺾어 보자. ‘McCallum’으로 방향을 잡고 5분이면 도로선상 왼쪽에 나지막한 지붕의 일식 집 하나를 발견할 수 있다. 한국인 최동구씨가 운영하고 있는 ‘세미’일식당이다. 매운탕을 시키면 은대구 뼈에 야채만 가득해 보이는 ‘이상한 매운탕’이 있다. 맛? 먹어본 다음 이야기 해도 늦지 않다.

◆ ‘징글 징글’한 아보츠포드 잉꼬부부의 비밀
잠시도 부인이 없으면 찾아 나서는 남편. 겉으로 보기엔 ‘징글’한 잉꼬부부다. 그러나 속내를 알고 보면 그것만도 아니다. 매운탕을 시켰더니 정말 부인부터 찾는다. 
-국물을 어떻게 만들길래 이렇게 칼칼하면서 맵지는 않고 달콤하면서도 설탕 맛은 아닌가요?
“거, 양파를 많이 쓰는 편이에요. 집 사람 오면 물어보세요.”
-생선이 무르지도 않고 퍽퍽하지도 않은 건 사전에 보관하는 특별한 비법이 있나요?
“소금과 식초로 만든 소스에 잠깐 담궜다가 꺼내는데…… 집 사람 오면 물어보세요.”
대화가 이렇다. 그저 사람 좋은 웃음만 ‘허허……’하는 통에 갑갑해서 주방으로 들어가, 아무나 아줌마를 잡고 ‘부인이냐’고 물어도 직원도 주인 닮는다더니 웃기만 한다.

◇ 일식당 이라고 하면 으례껏 스시, 생선회의 신선도에만 관심을 갖게 된다. 세미 일식당에서는 스시를 잊어버리고 매운탕과 은대구찜 부터 시킨 다음 부족할 때 스시를 먹어도 늦지 않다.  아보츠포드까지 찾아가서 매운탕만 먹고 일어나도 억울하지 않다. 사진에서 주인 최동구씨 곁에 서 있는 이가 부인 최점숙씨.

◆ 딱 한가지로 폼 나는 집! 매운탕
일식당 ‘세미(She Mi)’를 가서 일식 메인 메뉴에서 스시만 챙겨 먹고 나온다면 바보다. 이 집의 진미는 매운탕에 있으니까. 그리고 또 하나 별미는 ‘은대구찜’이다. 메뉴판 볼 것도 없이 ‘매운탕 하나! 은대구찜 하나!’ 외치면 끝난다. 매운탕 다 먹고 나서 맛없는 사람, 팁 대신 구겨진 바지 줄 세우며 태연히 걸어 나와도 된다. 하지만 그럴 일은 없다.
이 집은 얼핏 뼈만 그득해 보이는 ‘이상한 매운탕’ 딱 한가지로 폼 나는 집이다. 혹여 사람 좋아 보이는 첫 인상의 주인 최모씨가 “스시가 더 맛있다”며 마음을 흔들더라도, 꿋꿋하게 ‘매운탕, 은대구찜’을 고집 하시길. 한 숟갈 떠서 입안에 넣고 삼킨 다음 수저가 바빠지는 이 마술 같은 매운탕과 은대구찜은 그의 부인 최점숙씨의 솜씨다.
칼 맛이야 11년째 부동의 대표 자리를 지키고 있는 남편 최동구씨가 한 수 위란 건 인정해야 한다. 그러나 매운탕과 은대구찜은 그의 부인이 사부를 단연 앞지른다. 굳이 따지자면 부인의 이런 솜씨의 뿌리는 남편이 원조이긴 했을 터. 하지만 어쩌랴. 뛰어난 스승은 자신보다 훌륭한 제자를 길러내는 것이 일생일대 최고의 광영인 것을. 주인 아저씨, 그게 못내 억울하다고 하면 ‘주머니 돈이 쌈지 돈’이라 위안 삼으시던가. 손님이야 원조가 제자든 사부든 이웃집 할머니든 돈 내고 사 먹는 음식, 맛있게 만들어주는 사람을 ‘시조’로 떠 받들 수 밖에 없다는 것도 이해해야 한다.

◆ 이상한 매운탕
이 집을 발견한 건 순전히 기자의 예리한 혀 끝이 찾아 낸 ‘특종’이랄까? 생색 낸다고 욕해도 할 수 없다. 뭐 이렇게 먼 소도시까지 가서 맛있는 음식 발견한 생색 좀 낸다 한들…….
에구, 돌 날아올라.
이전에 우리나라 강원도 어느 소도시처럼 차량도 사람도 한가롭기만 하던 아보츠포드에 최근 한국 유학생들이 밀려 들면서, 맛있는 한국 음식점들이 하나 둘 늘어나기 시작했다는 소식은 듣고 있었다. 하지만 어지간한 미식가가 아니고서야 그렇게 열성적인 발품을 팔면서 그 먼 길 가서 한끼를 먹고 올 사람이 있을까 싶어 까맣게 잊어버렸다.
며칠 전, 가을비가 추적추적 내리는 밤길을 달려 아보츠포드 한인회장 선거 취재를 가면서, 주최측에 ‘완전 원망’을 퍼부으며 달려갔다.
식탁 위에 저녁식사로 올라 온 메뉴는 달랑 매운탕 한 냄비. 게다가 아보츠포드 음식점 인심 참 사나운 듯, 냄비 속에는 머리 뼈만 그득하다. 그것도 반쯤 먹고, 반쯤 식어 별로 식욕이 동하지도 않은 때깔이다.
예의상, 뜨는 시늉만 하려고 매운탕을 뒤적거리는데 정말 살은 ‘쬐금’ 붙어 있는 은대구 머리 토막들만 들어있다. 시골 인심 박해졌다더니 손님은 제쳐두고 아보츠포드 시민들끼리 그새 맛있는 속살은 싹 건져 먹고 생선 머리만 남겨져 있다.  
“매운탕이 왜 뼈만 있어요?”
“아, 이게 생선 이것저것 회 뜨고 남은 뼈로 만든 서더리탕일 거에요.”
“이거 은대구매운탕이에요. 이 매운탕 웨스트 밴쿠버에서도 찾아와서 먹는 거에요.”
푸, 웨스트 밴쿠버에 먹을 음식이 없어서 생선 뼈다귀 서더리탕 먹으러 아보츠포드까지? 거짓말이 좀 심하다는 생각. 하지만 꾹 참으며 매운탕 속에서 무 조각 하나를 국물과 떠서 한입 먹었다.
그리고……

◆ 쏘가리, 메기, 붕어! 몽땅 꿇어! 
아무 말도 못했다. 햐! 매운 듯 칼칼하면서도 맵지는 않고, 그러면서 달착지근한 끝 맛에 할 말을 잃었다. 웨스트 밴쿠버에서만 찾아 올 일이 아니다. 일부러야 오지 않겠지만 한국에 살고 있다 해도 한번 왔던 사람이라면 방문길에 꼭 다시 찾게 될 것 같은, 쏘가리, 메기, 붕어! 몽땅 꿇어! 그런 맛이다.
이럴 때 전화를 걸고 싶은 곳이 몇 있다. “밴쿠버에는 한국처럼 매운탕 끓일만한 생선이 없어서 그 맛을 내지 못한다”고 했던 사람, 분명 온갖 정성을 다하는데도 깊은 맛을 내지 못하는 어떤 집, 경력만 믿고 스스로 최고라며 자부하고 사는 사람들에게 보여준다면, 우리 독자들은 어디서나 안심하고 매운탕 하나는 마음껏 먹을 수 있을 텐데.  

◆ 냄비 속에 뼈만 가득한 비밀
이미 맛을 보긴 했지만, 바글바글 끓는 매운탕을 시켜 본격적으로 진수를 맛 보기 전 최대의 궁금증 하나부터 해소하고 넘어가기로 했다. 
“아, 서더리탕이 아니구요. 은대구의 머리 맨 끝은 잘라버리고 눈이 있는 부분부터 아가미 직후몸통의 직전 목 살만 매운탕꺼리로 쓰죠. 아무리 맛있는 생선이라 해도 살이 너무 많으면 퍽퍽한 맛이 나고 목 부위의 살이 가장 맛있죠.”
‘큭’ 웃었다. 생선에 언제 목이 있었던가? 직업에 따라 보는 각도가 참 다르구나 고개가 끄덕여진다. 주인의 이런 센스가 정겹다. 제법 살이 많이 붙어 있는 은대구찜에도 비법이 있지 않을까 했다. 부부가 서로 얼굴만 쳐다 본다. “그깟 비법 아무리 가르쳐 줘도 따라 할 사람 없다”고 했더니 쏟아놓는 비법은 이렇다.
매운탕 육수는 보리새우와 표고버섯을 듬뿍 넣고 끓인 육수에 양파 다대기로만 단 맛을 내고, 은대구 찜은 불의 온도가 핵심이라는 말. 정종과 물엿, 마늘로 만든 양념을 끓이다가 은대구를 넣어 옛날 숯불 온도에 가까운 은근한 불에서 오래오래 졸여, 생선 살 속으로 양념의 훈이 먼저 스미듯 들어간 다음 양념이 배어들어야 맛있는 찜이 된다는 것. 
군산이 고향이라는 주인아줌마가 서비스로 내 놓은 해물전도 특이하다. 손바닥 만한 전이 밀가루보다 오징어가 더 많이 씹힌다. 어머니가 멀리서 다니러 온 자식에게 오징어 다리 한 개라도 더 먹이려고 촘촘히 썰어 많이 넣고 부쳐 낸 것처럼, 꼭꼭 씹히는 오징어 전이 먹어도 먹어도 참 많이도 먹힌다. 공짜라 먹는 줄 오해 받을까 창피하게. 

*영업시간  
    월~토 11:30 am ~ 10:00 pm
    일  11:30 am ~ 9:00 pm(연중무휴)
*주소   2443 McCallum Rd.
               Abbotsford
*문의   604-850-1242

이재연 기자 jy@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최초의 고려불교미술 강연 성황 속에 열려
고려 불교미술의 권위자이자 예일대 미술대학 초빙 교수인 박영숙 교수. 지난 11월 20일 오후 7시 UBC 캠퍼스 끝 자락에 위치한 인류학박물관이 환하게 빛났다. 한국 최초로 고려 불교미술에 대해 연구한 고려 불교미술계 권위자이자 예일대 미술대학 초빙...
다운타운에서 RCMP·정부 규탄 시위
11월 24일 밴쿠버 아트 갤러리 앞에서 열린 시위에서 RCMP와 정부를 비난하는 내용의 피켓을 들고 있는 한 밴쿠버 시민. 지난 24일 밴쿠버 아트 갤러리 앞에서 RCMP와 캐나다 정부를 규탄하는 평화 시위가 열렸다. 이날 시위는 지난 10월 14일 폴란드 이민자 로버트...
젊음과 함께 한 콘서트
지난 일요일 밴쿠버 다운타운의 퀸 엘리자베스 극장에서는 ‘K-POP 3색 콘서트’라는 이름으로 아이비, 테이, 홍경민, DJ DOC가 함께하는 콘서트가 열렸다. 밴쿠버에서는 드물게 열리는 한국 가수 콘서트로, 많은 교민들의 관심과 가수들의 열정으로 성공적으로...
학생·학부모 모두 졸업 트랜지션 과정 이해 필요 건강·사회참여·직업준비 등 3가지 분야 이수해야
BC주 세컨더리를 졸업해 정식 졸업장인 도그우드(Dogwood) 디플로마를 취득하려면 교육부에서 정해놓은 졸업기준을 충족시켜야 한다.
차세대 유망주-임민지 ‘키와니스(Kiwanis)’주최 뮤직페스티벌 1위 입상
◇‘사이언스’과목을 가장 좋아하고, 체육이 가장 싫다는 임민지양. 이곳에서 태어났지만 완벽하게 한국말을 구사하는 민지는 동화책과 만화책을 읽으며 한국어를 배웠다고. 바이올린을 세상에서 가장 좋아하지만 너무 힘들어 가끔 그만두고 싶을 때도...
캐나다 3개주 최상위권에 올라
BC주 학생들의 독해(Literacy) 실력이 세계에서도 탁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적 리서치 기관인 교육성취평가 국제협의회(International Association of Evaluation of Educational Achievement)에서 40개국 21만5000여명의 4학년생을 대상으로 한 국제독해연구평가(PIRLS)에 따르면 BC주는...
무료 직업교육·취업지원 제공 ‘빌트네트워크’ “한인 구직자들, 영어 때문에 위축되지 말아야”
빌트네트워크의 도라 테이모리 사무소장(가운데)과 프로그램 진행을 맡고 있는 한인 조앤 정씨(오른쪽). “한국인은 세심하고 남부럽지 않으며 빨리 배우는 사람들이다. 일단 시작을 하면 엄청난 노력들을 한다.” 캐나다인과 이민자들의 무료 직업교육과...
캠룹스 빙판 도로로 2일간 차량 30대 사고
BC주 남중부에 위치한 캠룹스 관할 연방경찰은 29일, 지난 48시간 이내 차량 30대가 파손되는 사고가 발생했다며 주의를 촉구했다. 스코트 윌슨 경사는 “도로가 얼어붙어 미끄러운 데다가 과속 운전과 타이어 부실이 문제가 됐다”며 “사고와 관련해 8명에게...
전기충격총(테이저건)을 맞고 숨진 또 다른 피해자에 대한 부검결과가 ‘사망원인 미상’으로 나타났다. 칠리왁 거주 로버트 니스톰(36세)씨는 임대주택에서 연방경찰(RCMP) 경찰관과 몸싸움을 벌이다가 최루 스프레이에 이어 경찰봉을 얻어맞은 후, 전기충격총을...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마스코트 공개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과 장애인 동계올림픽 마스코트가 27일 첫 모습을 드러냈다.  밴쿠버 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VANOC)는 27일 써리 벨 퍼포밍 아트센터에서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의 마스코트인 ‘미가(Miga)’, ‘콰치(Quatchi)’, ‘수미(Sumi)’를 공개했다. ...
SFU, 소수민족 미디어 연구결과 발표
소수민족 미디어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있는 SFU 커뮤니케이션의 케서린 머레이 교수(우측끝), 셜리 유, 다이엘 아하디씨.  SFU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s)의 캐서린 머레이 교수 지도아래 박사과정 학생 셜리 유(한국명 유수민)씨와 다니엘 아하디씨가...
캐네디언 타이어, 정치공약 같은 개발계획 제시
밴쿠버 시의회가 그간 쟁점이 되어온 대형 소매업체의 아웃렛 설립을 허가했다. 시의회는 28일 사우스웨스트 마린드라이브 26번지(온타리오가 교차지점)에 대형 캐네디언 타이어 아웃렛 설립을 허가했다. 그간 일부 주민들은 2만5000평방피트에 달하는 대형...
피해자 장점돌 할머니 밴쿠버 강연
종군 위안부 피해자 장점돌(84) 할머니가 밴쿠버를 찾아, 일본군의 만행을 고발한다. 11월 18일부터 캐나다를 방문 중인 장 할머니는 지난 27일 오타와에서 연방의회 의원들을 상대로 증언했다. 장 할머니는 “2차대전 당시 14살에 강제로 일본군의 성노리개가...
폴란드 검찰 지칸스키씨 사건 수사
캐나다 국경관리국(CBSA)은 지난 26일,장기간 여행 후 전기충격총(테이저 건)을 4차례나 맞은 후 ‘원인불명’으로 숨진 로버트 지칸스키씨의 유가족에게 사과를 표했으나 정작 유가족에게는 연락을 취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 또 다른 비난을 사고 있다....
BC주 소기업체 분석 대부분 자기 자본으로 창업 뿌리 내리는데 3~5년 걸려 평균 창업자금 5만5000달러
2001년부터 2006년 사이 BC주에서 가장 고용이 크게 늘어난 분야는 건축업으로 나타났다. BC주 통계청이 발표한 소기업체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BC주내 건축분야 고용인원은 지난 5년 사이 49.1%, 약 2만5500명이 늘어났다. 이어 ▲교육(28.3%증가) ▲사무지원(26%)...
차를 판매하려던 여성이 남성 2명에게 납치당할 뻔한 사건이 발생해 경찰이 주의를 촉구하고 있다. 피해자 20세 여성은 자동차를 팔기 위해 인터넷상에 광고를 올린 후 용의자 남성 2명 중 1명으로부터 연락을 받았다. 피해자 여성과 용의자 남성 2명은 버나비...
역시 장자다운 말이다. 장자는 노자의 중심 사상인 '빔'(虛) 과 '고요함'(靜)에서 나아가 '마음 굶김'(心齋)의 중요한 개념을 도입하여 초월적 우주적 자아를
‘추한 한국인’ 근절 캠페인(3)
해외에서 발생하고 있는 ‘추한 한국인(Ugly Korean)’은 큰 문젯거리다. 소수의 부적절한 행동으로 한국과 한국인의 이미지에 피해를 주는 일이 자주 발생한다. 밴쿠버 조선일보와 밴쿠버 총영사관은 추한 한국인 근절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펼쳐 나가기로 했다....
스티븐 킹 원작을 영화로 만든 ‘미스트’
스티븐 킹(Stephen King)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새 영화 ‘미스트(The Mist)’는 이상한 기운을 품은 폭풍우가 불어닥친 뒤 괴생명체들이 나타나 한 마을의 사람들을 공격한다는 내용을 담은 공포물이다. ‘쇼생크 탈출’과 ‘그린 마일’을 통해 인연을 맺은 스티븐...
임플란트(I) 2007.11.26 (월)
인공치아(Dental Implant)와 뼈 이식(Bone Grafting)은 아주 오랫동안 많은 치과의사들이 꿈꾸었던 유토피아였습니
 1421  1422  1423  1424  1425  1426  1427  1428  1429  1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