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설 추억

바들뫼 문철봉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4-02-26 09:25

바들뫼 문철봉 / (사)한국문협 밴쿠버지부 회원
먼동도 트기 전 미처 눈곱도 닦아내지 못한 아이가 어머니의 치맛자락을 붙들고 따라나선 읍내 방앗간엔 이미 사람들로 북적거린다. 떡시루에선 모락모락 피어오르는 김과 함께 구수한 냄새가 풍겨온다. 어머니는 머리에 이고 온 함지를 진작부터 길게 늘어선 줄 끝에 내려놓으신다. 그리고 아이에게 징긋 눈짓 한번 주시곤 잰 걸음으로 난전으로 나가신다. 아이는 당연한 듯 제집에서 가져온 함지 곁에 꼭 붙어 선다. 한동안 차례를 놓치지 않고 함지를 들이밀고 또 밀곤 한다. 기다림 끝에 만들어져 나온 따뜻하고 말랑한 가래떡을 아이는 한 입 베어먹는다. 그 맛과 기분은 말로 다 표현을 못 한다. 어머니를 따라 나온 덕에 식구들 중 그 누구보다 가장 먼저 맛보는 기쁨이다. 긴 줄서기를 몇 번씩 되풀이해도 좋을 아이의 설 대목 설레는 일감이고 즐거움이다. 

이발소에서도 한참이나 차례를 기다려 머리를 깎는다. 그리곤 곧바로 목욕탕에 가서 목욕한다. 설빔인 새 옷을 입기 위해 반드시 해야만 하는 아이의 설 맞이 절차다. 이런 설맞이의 끝은 섣달 그믐날이다. 이날은 까치 설이다. 멀리 고향을 떠나 타관생활을 하던 아제들이 오고 집 떠나 공부하던 형 누나들이 돌아오는 날, 까치가 둥구나무 가지 사이를 분주히 옮겨 앉으며 시끄럽게 울기 때문이다.

이날 밤 아이는 잠들고 싶지 않다. 섣달 그믐 밤에만 나타나 신발을 훔쳐 간다는 밤불귀신(夜光鬼)이 무섭기도 하고 자정을 지키지 못하면 눈썹이 하얗게 샌다는 말에 겁이 나서다. 다른 마음 한편으로 어머니와 누나가 떡을 썰며 도란도란 나누는 얘기가 더 듣고 싶고 누나가 설 선물로 사다 준 털장갑을 끼고 자랑하고픈 설렘에 더욱더 잠들기가 싫은 것이다. 자정을 넘겨보겠다고 안간힘을 쓰지만 어쩔 수 없이 아이는 잠이 들고 어른들의 일은 자정을 넘긴다.

이튿날 선잠에서 깨어난 아이가 그대로인 눈썹에 안도하며 부리나케 세수하고 새 옷으로 갈아입고 나서면 어제의 분주함과 설렘과는 다르게 모든 것을 근엄하고 정갈하게 맞던 어른들의 정월 초하룻날 아침과 마주한다. 언제 저 많은 음식을 준비하고 큰방과 대청마루를 다 치웠나 싶은 놀라움이 저절로 엄숙함으로 바뀌던 아침. 대청마루에 돗자리를 깔고 활짝 열린 방문 안 방석 위에 정좌하신 어른들을 향해 큰절을 드리면 공부 잘하라며 주시던 세뱃돈. 받아 든 빳빳한 세뱃돈만큼이나 모든 것이 새롭던 그때 그 기분, 그날 아침이 설날이었다. 이렇게 시작한 설 세배는 정월 대보름까지 이어졌고 외가까지 몇 십 리가 넘는 길을 걸어서 다녔지만 그리 힘들어하거나 피곤한 기색 없이 먼 길을 오갔다. 지금도 아버지와 아제들의 흰 도포 자락 행렬이 구불구불 논두렁을 지나던 모습이 눈에 선하다.


그러던 어느 해부터인가 음력 설날은 구정(舊正)이라 명절로 쇠지 말아야 한다는 말들이 나돌기 시작했다. 양력을 쓰고 있으니 신정(新正)을 설이라 해야 한다 했다. 이중과세(二重過歲)는 옳지 않은 것이라 가르치는 바람에 설날 명절이 시큰둥해졌다. 그렇다고 신정(新正)을 쇠는 집은 별로 없었다. 어머니는 그러셨다. “왜정도 아닌데 와 그러라고 하는지 모르겠다. 설은 우리 설을 쇠야지 어쩌자고 왜놈 설을 쇨까?” 하시면서 그전 같지는 않지만 그래도 설빔과 명절 음식들을 장만하셨다. 몇몇은 신정(新正)에 세배를 왔지만 우리는 음력설을 찾아 세배를 드렸다. 이전처럼 문중 일가와 외가까지 일일이 찾아 세배를 드리지는 못하고 제 집안과 꼭 해야 할 곳만 가려서 드렸다.


지금 찾아보니 그때 그 당시의 역사를 이렇게 쓰고 있다.

「1910년 국권침탈 이후 조선문화 말살 정책을 편 일제(日帝)는 조선의 음력설을 없애기 위해 조선인들이 음력설에 세배하러 다니거나 설빔을 차려입은 경우에는 먹물을 뿌려 옷을 얼룩지게 하고 떡 방앗간을 돌리지 못하게 경찰을 동원해 감시하는 등 온갖 탄압과 박해를 가해 우리 설인 음력설 쇠는 풍습을 없애려고 했다.」 그러고는 「광복 이후 대한민국에서도 40여 년간 음력설을 인정하지 않고 양력 1월 1일부터 1월 3일까지를 공휴일로 지정하여 양력설에 차례를 지낼 것을 권장하였다. 특히, 이승만 정부와 박정희 정부는 이중과세(二重過歲)라는 이유로 사기업체의 휴무에 불이익을 주면서까지 음력설을 없애려 했다. 그러나 대부분 가정에서는 여전히 음력설에 차례를 지내는 전통을 유지했기 때문에 음력설도 공휴일로 지정하여 이러한 전통을 존중해야 한다는 의견이 대두되면서 정부는 1985년부터 민속의 날이라는 이름으로 음력 1월 1일 하루를 공휴일로 지정했고, 6월 항쟁 이후 집권한 노태우 정부는 민족 고유의 설날을 부활시켜야 한다는 여론에 1989년 음력설을 '설날'로 정하는 한편 섣달 그믐(음력 12월 말일)부터 음력 1월 2일까지 3일간을 공휴일로 지정하였다.」


지금은 저 때 저 어렸을 적 추억 같은 기다림과 설렘, 한편으론 엄숙하고 정갈하게 지내던 설날을 쇨 수가 없다. 그리고 음력설을 우리 설이 아니라고 할 사람도 없다. 하지만 세태는 너무나 달라졌다. 우리가 모두 찾아다니며 나누던 설 인사는 손바닥 안 폰 문자와 카카오톡의 오만가지 이모티콘과 카드, 동영상으로 주고받는 세상이다. 설을 쇠는 인사가 정성이 사라진 게임이나 오락의 한 행위로 전락한 듯한 느낌이다. 

세태가 이러니 어린 시절의 저 설 쇠기가 더 그립기만 하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설 추억 2024.02.26 (월)
먼동도 트기 전 미처 눈곱도 닦아내지 못한 아이가 어머니의 치맛자락을 붙들고 따라나선 읍내 방앗간엔 이미 사람들로 북적거린다. 떡시루에선 모락모락 피어오르는 김과 함께 구수한 냄새가 풍겨온다. 어머니는 머리에 이고 온 함지를 진작부터 길게 늘어선 줄 끝에 내려놓으신다. 그리고 아이에게 징긋 눈짓 한번 주시곤 잰 걸음으로 난전으로 나가신다. 아이는 당연한 듯 제집에서 가져온 함지 곁에 꼭 붙어 선다. 한동안 차례를 놓치지 않고 함지를...
바들뫼 문철봉
시골집을 비워두고 여름의 끝자리를 서울서 지내다 왔다. 불과 보름 남짓 비웠을 따름인데 작은 텃밭이 정글이다. 호박, 여주, 수세미 같은 넝쿨은 주인 없는 제 세상을 만난 냥 사방팔방으로 뻗치고 타고 올라 울과 나무들을 다 덮었다. 마당가의 나팔꽃 유홍초도 마찬가지다. 들깨와 고추, 가지는 키를 넘겼고 마당의 잔디는 발목을 감는다. 이런 초록 마당에 나비와 잠자리까지 가득히 너울거려 정신마저 아득해진다.예초기로 잔디를 깎고 낫으로...
바들뫼 문철봉
미심이 2019.06.18 (화)
천당에서 하나 모자라는 곳,구백 구십 구당이라는 밴쿠버. 여름이면 브로드웨이 남쪽, 캠비 거리에선 먼 산 바라기가 참 좋았다. 끝 모를, 파란 하늘과 환한 햇살, 하얀 구름 몇 점에 가벼이 스치고 지나는 바람이 좋았다. 이런 여름, 가게 문을 열고 나가면 다운타운 너머 웨스트 밴쿠버와 노스 밴쿠버를 병풍처럼 두른, 사이프러스 산(Mt. Cypress)과 그라우스 산(Mt.Gruose.)산, 시모어 산(Mt. Seymour)들이 한눈에 들어왔다. 산머리에 시리도록 하얀 눈(雪)이...
문철봉
설에 얽힌 추억 2019.01.29 (화)
먼동도 트기 전 미처 눈곱도 닦아내지 못한 아이가 어머니의 치맛자락을 붙들고 따라나선 읍내 방앗간엔 이미 사람들로 북적거린다. 김이 모락모락 피어오르는 떡시루에서 구수한 냄새가 물씬 풍겨온다. 함지를 머리에 이고 온 어머니는 진작부터 길게 늘어선 줄 끝에 함지를 내려놓으신다. 그리고 아이에게 씽긋 눈짓 한번 주자마자 잰걸음으로 난전에 나가시면 아이는 당연히 제집에서 가져온 함지 곁을 지켜 선다. 한참 동안 차례를 놓치지 않고...
바들뫼 문철봉
어느 캠프장 2018.09.10 (월)
시내에서 고속도로를 한 시간 반을 달려 골든이글스 주립공원 #1 (Golden EaglesProvincial Park) . . 캠프장에 도착한다 시더나무 숲이 울창한 캠프장이다 입구의 초소 같은작은 관리실에 차를 세우니 창이 열리고 그 안에 앉은 직원이 예약번호를 묻는다 차에 앉 .은 채 차창을 내리고 이름과 예약번호를 댄다 관리인은 확인을 끝내고 캠프사이트의 약도 .가 그려진 안내지와 이용규칙의 쪽지 지정된 사이트의 표를 건네면서 차단기를 열고 들어 ,가라고...
문철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