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다시 수필이다

정성화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3-01-09 12:53

정성화 / 캐나다 한국문협 회원
  유리병에 개운죽竹을 기르고 있다. 물만 먹고도 싱싱한 잎과 줄기를 내는 모습이 여간 기특하지 않다. 줄기 하나를 집어 들면 나머지 줄기들도 따라 나선다. 서로의 뿌리 속에 뿌리를 내린 채 단단히 엉겨 있기 때문이다.

가장 밑바닥에 자리 잡은 묵은 뿌리 위에서 하얀 어린 뿌리들이 걸음마를 익히고 있고, 중간에 가부좌를 튼 뿌리들은 어느 쪽으로 줄기를 낼 것인지 긴 생각에 잠겨있다. 어린 뿌리에 자꾸 마음이 간다. 수필을 쓰면서 어느 쪽으로 나아가야 할 지를 몰라 주저하는 나의 모습을 보는 듯 해서다.

수필을 읽으면 사람이 사람답다는 게 어떤 것인지, 우리가 어떻게​ 나이를 먹어야 하는지 알게 된다. 사람이 그리워 시골 오일장이 서듯 수필 또한 사람이 그리워 생겨난 문학이 아닐까 싶다. 사람과 사람 사이에 놓일 한 잔의 막걸리가 되기 위해, 추운 곳에서 떨고 있는 사람에게 건넬 한 벌의 내복이 되기 위해 수필은 태어난 것 같다.

수필을 쓰면서 가장 좋았던 일은 좋은 수필과의 만남이었다. 읽고 있으면 어느새 마음 언저리가 뜨뜻해져 오는 수필, 아랫배로부터 둔중한 통증을 끄집어내는 수필, 세상이 환해 보이도록 만드는 수필 등, 그런 수필로부터 수필의 걸음마를 익혔지만 아직도 나의 수필은 혼자 걷는 게 힘들다. 넘어지고, 고꾸라지고, 미끄러지면서 가고 있다.

나는 가능한 한 나의 수필이 시골 버스를 닮아갔으면 하고 바란다. 삶은 어느 날 갑자기 우리를 모른 척하거나, 우리를 외진 곳에 내팽개치기도 한다. 그러나 시골 버스는 그렇지 않다. 사람이 서 있는 자리가 ​정류장이다. 앞을 보고 달리다 가도 지나쳐온 한 사람을 위해 기꺼이 후진하는 차, 사람만 타는 게 아니라 강아지와 돼지 새끼, 그리고 곡식 자루와 푸성귀도 한 자리 차지한 채 오질장 구경에 나서는 차다. "기사 양반, 소피나 좀 보고 가세." 하며 풀숲으로 잠복한 할머니가 다시 허리 춤을 올리며 느릿느릿 돌아올 때까지 기다려주는 차, 그러면서 마을 사람들과 함께 천천히 늙어가는 차다.

둠벙 한가운데에 돌멩이를 던져서 물살을 일으키는 게 아니라 물을 보내어 물살을 일으키는 언어가 시어詩語라고 한다. 수필의 언어도 그래야 하지 않을까. 천천히 흐르는 물결을 따라 자라는 논 배미의 이런 모습들, 그 어린 모 들을 데리고 굽이굽이 길을 가는 논두렁처럼 수필도 그렇게 가야 하지 않을까. 그 때 생기는 한 줄기 곡선이 세상과 우리를 부드럽게 이어줄 것이리니.​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소설가 '오르한 파묵'은 말했다. 작가란 수도승이나 마찬가지라고. 영감靈感이란 불공평하게 분배되는 것이 사실이지만 오래 기다린 사람에게 돌아오게 되어 있다고 했다. 황태의 담백하고 시원한 맛도 얼었다 녹았다를 스무 차례 반복하는 데서 오는 것처럼, 문학의 깊은 맛도 그렇게 오는 모양이다.

인생이란 자동 점멸등과도 같은 것, 기다렸다는 듯 반짝 불이 들어왔다 가도 몇 발자국 옮기는 사이에 이내 불빛이 사라지고 만다. 우리가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시간도 그 자동 점멸등이 꺼지기 전 까지다. 시골 버스처럼 천천히 가고 싶은 나의 수필과 자동 점멸등 같은 삶의 유한성, 그것이 내 글쓰기의 아이러니다.

너무 우울해 하지는 말자. 그 한정된 시간에 가장 인간적인 문학, 수필을 만나 삶의 냉기를 얼마 쯤 피해가고 있으니 말이다​.

다시 수필이다. ​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국립신라박물관에 가면 관람자의 눈을 환히 밝혀주는 신라인의 미소가 있다. 얼굴무늬수막새(人面文圓瓦當)이다. 기왓장에 그려진 얼굴 한쪽이 깨졌지만 웃음은 깨지지 않고 초승달처럼 웃고 있다. 이 얼굴무늬수막새는 7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지름 11.5cm이며 경주 영묘사 터(靈廟寺址)에서 출토되었다.    얼굴무늬수막새는 다듬거나 꾸미지 않은 맨 얼굴이다. 서민들의 진솔하고 담백한 마음의 표현, 가식 없는 무욕의...
정목일
겨울 산책 2023.01.16 (월)
뜨락에 노니는 햇살도 그려내고구름이 드리운 달님도 그려대니떠가는 세월에 눈감은 신선이네붓 끝에 고향 뜰 풍월을 달아매니남쪽 창가에 기대선 도연명인가환한 달과 마주 앉은 이백이려나차오른 맘 울림에 거니는 호숫가 제 멋 낸 울음소리 바람에 실리어앞서간 발자국에 켜켜이 쌓이네
우호태
 신세계 교향곡은 체코 출신 드보르작이 미국으로 이민을 와서 작곡한 곡으로 이민자들의 심정을 음악으로 표현해 주었다고 볼 수 있다. 교향곡의 도입 부분은 약간 공포스러운 연주가 나오고, 중반부에는 평화롭고 사랑스러운 운율로 고향을 그리워하는 심정을 나타내며, 끝부분은 승리를 다루는 듯 장엄한 연주로 마치는 곡이다.  이와 같이 이민은 과거 뿐만 아니라 오늘날까지모두가 신세계를 만나 예상치 못한 일로 당황하며 시작되는...
김유훈
새해를 맞으며 2023.01.09 (월)
묵은 달력을 내려놓습니다내 마음처럼 무게가 천근이어요장마다 빼곡한 사연들을 되새겨보니복덩어리가 수북합니다가진 게 없다고 빈손이라고 하늘에 떼쓰던 두 손이 부끄러워집니다가붓한 새 달력을 그 자리에 둡니다내 마음도 새 달력 같습니다오늘또 오늘 쌓일 복 더미 생각에손등에 푸른 핏줄이 더 불거집니다.
임현숙
다시 수필이다 2023.01.09 (월)
  유리병에 개운죽竹을 기르고 있다. 물만 먹고도 싱싱한 잎과 줄기를 내는 모습이 여간 기특하지 않다. 줄기 하나를 집어 들면 나머지 줄기들도 따라 나선다. 서로의 뿌리 속에 뿌리를 내린 채 단단히 엉겨 있기 때문이다.가장 밑바닥에 자리 잡은 묵은 뿌리 위에서 하얀 어린 뿌리들이 걸음마를 익히고 있고, 중간에 가부좌를 튼 뿌리들은 어느 쪽으로 줄기를 낼 것인지 긴 생각에 잠겨있다. 어린 뿌리에 자꾸 마음이 간다. 수필을 쓰면서 어느...
정성화
인생의 변곡점에 힌지를 달아 놓고슬며시 겨울 산을 향하여 문을 열면낯 익은 상흔 하나가 폭설을 짜고 있다어딘가 엄동 속에 울리는 나무들의숨 고름 옹이처럼 힘들어 보이지만목 향이 첨가하는 맛 그 매력에 빠진다또다시 재 너머로 난장을 치는 바람해 오름 달 실속 없는 분주함 홰를 쳐도그렇게 스무 해 성상 눈물 꽃을 피웠다이방인 그에게서 조국은 무엇인가수 없이 그리워한 로키 태평양 넘어무른 곳 말려서 까지 피워내는 눈물 꽃
이상목
  마지막 한 장 달랑 남은 2022년 달력은  더 이상 시간을 버티지 못하고 2023년 새 달력에 자리를 내 주어야만 한다. 월말이면 어김없이 한 장씩 넘기다가 오늘은 12번째 막장을 내린다. 새 달력을 걸어 놓고 이제 막 내려놓은 낡은 한해를 한 장씩 훑어 본다. 크고 작은 일들이 어제 일처럼 펼쳐진다.  내 산책 견이 강원도 강릉에서 비행기를 타고 밴쿠버 공항에 도착하여 마중 나갔던  일, 형제들의 방문, 아이들과 여기저기 여행했던...
김춘희
인생은 생로병사(生老病死)가 윤회하는 고통으로 이뤄져 있다 하고, 공(空)이라고도 하며, 인생무상(人生無常)이란 말도 있지만, 너무 심각하게 여길 필요는 없어. 현실은 생각보다 단순(單純)하니까. 일상(日常)을 살펴보면 누구나 숨 쉬고 옷 입고 먹고 자고 배설하고 일하고 놀고 쉬면서 살다 가잖아. 배고프면 먹고 졸리면 자고 마려우면 싸고 추우면 걸치고 더우면 벗으면 되고, 돈이 필요하면 일해서 벌고 지치면 쉬었다 가면 되는 거니까, 머리...
김토마스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