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山이 걸어와서

반숙자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9-05-13 15:02

반숙자 / 캐나다 한국문협 회원
산이 좋아서 산자락에 비둘기집 같은 둥지를 틀고 땅을 일구며 사는 내게 어느 날 산이
뚜벅뚜벅 걸어와서 “당신은 신선이외다.” 일러주고 갔네. 초록빛 실바람을 타고 봄이 살포시
영 너머에 내려 앉으면 가슴을 마구 설레이게 하는 쪽빛 동경이 너울거리고 파아란 오월에는
터질 듯한 그리움이 메아리되어 사는 곳. 비 개인 아침에 반가운 얼굴로 한 달음에 달려와
다정히 악수하는 산. 거긴 긴장에서 풀린 지성인들의 안식이 있고 때묻지 않아 순수한
대화가 있다.
 
 
햇빛이 놀러 오는 어느 양지엔 생과 사의 막바지에서 방황하다 잠이든 아가의 애능도
있겠고, 길 잃은 짐승의 포효가 기약도 없이 떠난 사람을 기다리는 여인의 내일도 산을
간직했다.
 
 
시한부의 생명에 댕그마니 마침표를 찍어 놓고 캄캄한 절망에 빠져 몸부림칠 때 하얀 병실의
커튼 사이로 날마다 찾아와서 그렇게 늠름하게 짙푸른 삶의 의욕을 북돋우어 주던 산의
너그러움. 거긴 미움이 살지 못한다. 하찮은 배신도 뿌리박지 못한다. 오직 무한한 사랑이
있을 뿐이다.
어떤 날 수많은 발자국에 짓밟혀 시달린 밤이면 산은 그 큰 몸뚱이를 비스듬히 누이고
속으로 앓는다. 그러다가 온종일 쏟아 놓은 세상 이야기에 절어 두 귀가 얼얼해 오면 솔바람
청해서 정갈히 씻고 긴 밤내 앉아서 묵상에 잠긴다.
 
 
산속 외딴 터에 파묻혀 사노라면 이따금 사람들이 못 견디게 그리워져 나는 마을로
내려간다. 쇠는 쇠에 대고 갈아야 날이 서고 사람은 이웃과 비비대며 살아야 다듬어진다는
‘잠언’의 말씀처럼 이웃은 소중한 나의 일부라는 사실 앞에 얼싸안고 주고 받는 정다운 얘기,

차곡차곡 접어 놓은 색동보처럼 우리네 살림살이는 사연도 많고 시름도 많다. 떠나려면 문득
아쉬워지는 시각, 혼자 사는 신선보다 함께 사는 가난한 마을이 훨씬 따뜻하고 복된 곳임을
알게 된다. 돌아오는 길은 외롭다. 참으로 외롭다.
 
 
내 가슴엔 이웃들의 아픔이 조금씩 번져와서 공허의 구멍만 크게 뚫려 찬바람이 쏴아
지나간다. 이런 밤이면 민둥산은 감기 들어 컹컹 기침하고 춥고 배고픈 이웃 생각에 신열로
잠 못 드는 우리는 한 몸. 저절로 폈다 지는 들꽃이 좋아서, 잡초 속에 벙그러지는 산나리
노랑 빛이 좋아서, 산새가 물어오는 조선땅 한 오백 년이 좋아서 산은 나이를 먹어도 늙지
않고 병이 들어도 죽지 않나 보다.
 
인적 없는 섣달 그믐 밤 눈보라 속에 꽁꽁 언 외로움을 저 혼자 녹이다가 오솔길로 데그르르
굴러와 토라진 내 마음을 뜨거운 포옹으로 달래 주는 산. 천년 세월이 머물러 사는 곳. 거긴
절망을 속되게 하지 않는 굳센 의지가 있고 모든 욕망을 서서히 풀어버리는 여유가 있어
좋다. 청청한 소나무 숲, 이름 모르는 어느 병사가 뿌리고 간 평화의 씨앗이 움터 자라고
어느 계곡엔가 이끼 푸른 바위틈에 알피스의 고독한 땀방울도 고여 있으리.
 
 
산이 내 게로 와 안겨주는 기쁨도 크지만 산을 찾아가 만나는 희열은 더욱 크다. 산에 가면
산은 원하는 이에게 절대로 빈 손으로 보내지 않는다. 바구니 가득 풋풋한 산내음의 나물을
주기도 하고 목타는 이에게 달디 단 생수를 주기도 한다. 심오한 천리를 조용조용 터득 시켜
주고 회의하는 젊은이에게 생의 확신을 주어 보낸다. 아무도 방해할 수 없는 절대적인
질서와 깨지지 않은 평화. 그래서 산은 우리, 고달프고 메마른 현대인의 마음의 고향이며
사색의 요람이다.
 
 
힘겨운 작업에 휘어진 육신이 가을 날 풀씨처럼 뒹굴 때 산은 긴 팔을 뻗어와 자애 깊은
모성의 손길로 나를 어루만진다. 하루에도 수십번 애증의 거미줄에 얽매일 때 고만 쉬고
싶다는 안이로운 갈망이 움틀 때 멀리 바라보는 말없는 산, 냉정한 산.
 
 
시장통에서, 전자 계산대에서 반쯤 이그러져 돌아오면 산은 큰 가슴 열어 빈 지갑보다 더
가벼운 내 자존심을 가차없이 꾸중하는 옛날 은사님의 엄한 얼굴이 된다. 어쩌다 여울물에
비치는 아잇적 제 모습이 좋아서 입을 함박만 하게 벌리고 웃다가 물속에 첨벙 빠져
헤엄치는 산. 두고 온 고향이 생각나면 슬몃 돌아 앉아 향수를 달래는 산. 내 조국에
어려움이 밀어 닥치면 파리해지도록 근심하는 산. 이런 산이 좋아서 산사람이 되어 그 무릎
베고 잠이 들면 천년 울음을 달래노라 꿈결은 수선스럽다.
비오는 날 귀를 열고 대자연의 교향곡을 들어보라. 수만 악기의 질고운 하모니, 지휘봉을
힘껏 휘두르는 음악가. 거기서 피아니시모의 멀어져 가는 음향을 잡으려 거센 몸짓으로
피아노의 키를 두드리는 베에토벤의 고뇌를 통한 환희와 만난다.
 
시월이 와서 귤빛 노을이 갈대 숲에 불을 지르면 산은 화득화득 그 뜨거운 그림 붓을 내둘러
불멸의 화폭을 남겨 놓는다. 어느 화가가 있어 이보다 아름다운 그림을 그릴 수 있으랴.
거기서 만나는 세잔느, 고호, 만종의 화가 밀레, 현대의 피카소 모두 두 손을 내 젓는다.
 

산은 그 자체가 예술이요, 불후의 명작이다. 머나먼 타국 아프리카의 정글에서 인술을 펴
인류의 아픔을 치료해준 슈바이처 박사의 숭고한 일생은 산이 베푸는 덕과 같고 생동하는
예술이다. 수많은 생명을 간직한 모체. 굳은 신념이 살아 있어 변하지 않는 표정.
 
산아!
넌 알고 있으리라, 산을 찾는 이들의 속 마음을. 적당한 망각과 관용을 배우고 싶어서 질긴
인연, 아픈 사랑, 괴로운 육신, 훨훨 벗고 이 산속을 떠나는 날에 나 진정 구름 같은 신선이
되리.
산.
산.
높아서 좋기도 하지만
깊고 조용해 말없어 좋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밟아라 2024.04.15 (월)
 서울에 사는 영적 동반자가 문자를 보내왔습니다. 영화 <사일런스>를 꼭 보라며 청주 상영관까지 알려줍니다. 그때부터 제 머릿속은 영화에 대한 생각으로 가득 찼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오래전에 그 영화의 원전인 『침묵』이라는 소설을 감명 깊게 읽고 가끔씩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간절히 원하면 이루어진다더니 충북 내 영화관이 똑같이 종영하는 날, 가까스로 진천에 가서 영화를 보았습니다.실화를 바탕으로 한 엔도 슈사쿠의 소설...
반숙자
서울 나들이 2024.01.08 (월)
   충청도 시골에 살고 있는 우리는 가끔씩 서울 나들이를 한다. 서울에서 생활하고 계시는 부모님을 뵙고 또 아이들을 만나기 위해서다. 모처럼 가는 길이니 으레 올망 졸망 보따리를 거느리고 가야 하기 때문에 싸움터에 나가는 비장한 각오로 서울 행 직행 버스에 오른다.  며칠 전부터 들기름 참기름을 짜고 콩이며 팥이며 골고루 챙겨 들다 보면 보따리는 서 너 개가 넘게 마련이다. 그러나 서울 마장동 시외버스터미널이 가까워 오면...
반숙자
일하며 생각하며 2023.10.16 (월)
  나는 흙 내음이 좋아서 농촌에 산다. 값도 안 나가는 토종사과를 가꾸며 이웃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고 자연의 아낙으로 살며 글을 쓴다.어떤 이는 이런 나를 신선이라 부러워하고 어떤 이는 못난이라 비양을 한다. 부러워하는 사람들은 시멘트 정글속에 갇혀 마음의 고향인 흙을 그리며 사는 도시인들이고 후자는 도시로만 나가면 뼈 빠지게 일 안하고 편히 살 수 있다고 그곳을 동경하는 가난하고 순박한 내 이웃들이다.나는 그 틈에서 머리는...
반숙자
가난한 부자 2023.08.21 (월)
 지난 여름. 마치 홍역을 치르고 난 아이처럼 휘청거리는 다리로 과수원을 한 바퀴 돌았다. 아침 이슬이 파랗게 내린 풀 섶은 영롱한 구슬이 구을고 엊그제 씨를 넣은 열무 밭엔 씨를 물린 열무 잎이 속속 솟아나고 있다. 내가 아팠던 며칠, 상치는 냉큼 커서 꽃망울을 줄줄이 달고 섰고 땅을 기던 호박 넝쿨은 어느새 기어 올라 아카시아 나무 기둥을 칭칭 감았다.  가슴을 활짝 편다. 기지개를 켠다. 푸성귀 냄새 같은 바람이다. 달그므레한 젖 내...
반숙자
5월이 오면 2023.05.15 (월)
  해마다 봄이 오면 친정 집 뒤뜰에 붓 끝 모양의 푸른 잎이 무더기 무더기 돋는다. 아버지는 생전에 이 꽃을 유난히 사랑하고 상사화(想思花)란 세칭을 피하여 당신만은 모사화(母思花)라 이르셨다.  해토(解土)가 되기 무섭게 지표를 뚫고 용감한 기세로 돋아나는 모사화 잎은 오직 잎만 피우기 위한 듯 무성하게 자란다. 그리고 어느 날 무더위가 시작 될 즈음 초록빛 융성한 잎은 모두 죽어 거름이 되고 거기 죽음 같은 꽃 잎을 물고 연보라 빛이...
반숙자
화음(和音) 2023.04.03 (월)
   텃밭에 봄 채소 씨앗을 다독 다독 뿌려 놓고 밭 둑에 앉으니 햇살이 눈부시다. 여기저기 검 불 속에서 지난 겨울을 이겨낸 잡초들이 다투어 돋아 난다.봄은 그래서 자애로운 어머니. 꽁꽁 얼어붙은 대지를 따뜻이 녹여 서로 화해의 손을 잡게 한다.자연의 섭리란 참으로 신비하고 위대하다. 꽃 다지는 작은 키를 돋보이려 애쓰지 않는다. 양지 쪽 어느 곳이든 조촘 조촘 돋아나서 제 나름의 작고 노란 꽃을 피우기에 여념이 없다. 아무도 보아...
반숙자
 나무는 혼자 섰을 때 아름답다. 나무는 둘이 섰을 때는 더욱 아름답다. 둘과 둘이 어우러져서 피어났을 때 비로서 숲을 이룬다. 숲이 아름다운 것은 서로를 포용하는 특성 때문이다. 공동체를 이루는 한 덩어리의 밀집성, 그 따뜻함이다. 건축예술이 잘 발달하여 거대한 도시를 건설했다 쳐도 거기 도시와 숲의 조화 없이는 생명이 없는 도시다.기차나 버스로 여행을 하다 보면 유독 마음을 끄는 도시를 만난다. 초록빛 분지를 깔고 앉은 조그마한...
반숙자
두 바퀴의 수레 2022.07.07 (목)
  아침마다 기다리는 사람이 있다. 서울 변두리 어디에 산다는 이들 부부는 새벽이면 싱싱한 채소를 한 수레 싣고 골목을 누비며 파는 평범한 상인 들이다. 그런데 내가 유독 이 부부에게 정이 가고 즐거운 마음으로 기다리는 데는 남다른 이유가 있다.서른을 넘어 보이는 남자는 그저 쑬쑬하게 생겼는데 여인은 그렇지 못하다. 오른쪽 볼은 갸름하고 눈이 맑은 것이 삽상하나 왼쪽은 벌거죽죽하고 번쩍번쩍 하며 아래 입술은 일그러져 있는 것이 꽤...
반숙자
광고문의
ad@vanchosun.com
Tel. 604-877-1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