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지금 여기

안봉자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8-06-04 10:38

안봉자 / 한국문인협회 밴쿠버지부
    저의 이름은 인간입니다
내 이름은 행복이라 하지
    저는 당신을 찾고 있습니다
나도 자네에게 찾아지길 원하고 있지
    하지만 당신은 아무 데도 없는 걸요
그렇지만, 나는 늘 자네 가까이에 있다네
    어디요?  어디요? 당신은 없어요, -아무 데도!
여기! 여기! 바로 여기에; --

행복은 멀리서 찾는 게 아니라
자기 가까이서 발견하는 것이라네
자네가 행복을 찾기 원한다면
우선, 자네가 진정 원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아시게
그런 후, 자네의 마음-의지-를 거기에 두고
그것을 이루기 위해 온 정성을 기울여 노력하시게
비록 들리지도 보이지도 않지만
나 행복은 자네의 의지가 있는 바로 그곳에 있다네
어느 날
한번 들여 쉰 숨 내쉬지 못하면
자네는 다만 한 개의 마침표일 뿐이려니ㅡ
인간으로 태어났다는 그 자체가 바로 기적일세
지금 여기서 숨 쉬고 있음은 더욱더 큰 기적일세
그러므로, 행복은 살아 있음 안에서 발견하시게, 지금 여기에!
 
*주: 이 시는 벨기에 극작가 <모리스 마테를링크>의 희곡 ‘파랑새’와
브라질작가 <파울로 코앨료>의 ‘연금술사’를 합친 개작(改作) 임 .
 
Now Here
                                       Bong Ja Ahn


            My name is Human.
   And mine is Happiness.
              I am seeking for you.
   I am longing to be found by you.
              ButI cannot see you anywhere.
   But I am always very close to you.
              Where? Where? You are Nowhere!
   Here. Here. I am right here; --

The happiness is in which not by seeking out
But by discovering within.
If you want to find me,
First, realize what you really want,
Second, set your Will at it;
Andthen, putyour whole heart to achieve it.
Though audible not, visible not,
I Happiness am where your W—Will—is set at.
One day, 
When you breathe in and not able tobreathe out,
You will be nothing but a period-mark.
Born as a human-being is already amiracle;
Breathing now here is even a grandermiracle.
So, discover happiness within beingalive, Now Here!
 
                                          
*This is aParody-Poem of ‘The Blue Bird’ byBelgian playwright Maurice Maeterlinck & ‘The Alchemist’ by Brazilian novelist Paulo Coelho.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일장춘몽 2025.03.07 (금)
일상에서 괴로움 꿈속에서라도 악몽에 시달림 없이날개 없이 날고늙어도 어린시절로 돌아가사랑할 수도 있는 꿈 깨어나면 허탈하지만그래도 잠시 행복했노라
전재민
두부 장수 2025.02.28 (금)
땡그랑요령소리 지나간다하얀 꽃 한 모베적삼 땀내 몽실몽실산수유 개나리진달래 철쭉다심고 싶었다꽃들은 채 피기도 전에 시들고껍데기만 잔뜩두부 사려땡그랑땡그랑고갯마루꽃상여가 젖는다울긋불긋 꿈길아가들 까르륵거리고마른 화병에 누군가는봄비를 담는다
백철현
샘플 웃음 2025.02.28 (금)
  다시 웃음 성형을 하기로 했다. 이 결심을 한 건 우리 강아지 스냅사진에 들러리로 등장한 내 얼굴에 충격을 받아서였다. 사실 지난 몇 달은 시간이 어떻게 갔는지 모르게 가버렸다. 정확히 말하면 한국의 혼란스러운 정치 상황을 지켜보느라 분노와 걱정으로 흘려보낸 시간이었다. 그랬더니 거기서 느낀 부정적인 감정들이 고스란히 내 얼굴에 새겨져 있었다. 그 얼굴을 보며, ‘내가 그만 세상사 물결에 휩쓸리고 말았구나!’하는 깨달음이 왔다....
박정은
1910년  4월. 이 분의 장례식이 미국 뉴욕의 한 교회에서 거행 되었다. 당시 그 교회에는 미국의 저명인사들과 수천명의 시민들이 이 사람의 장례식을 보려고몰려들었다. 추도사에서 당시 하퍼 브라더스 출판사 ( Harper &amp; Brother&#39;s Printing Co ) 의 사장 하월 ( Howell ) 은 이렇게 말했다.      &quot; 미국이 낳은 유명한 문학가들로 에머슨 (   Ralph Waldo Emerson 1803 - 1882 시인, 사상가 ),  롱펠로 (  Henry Worthworth Longfellow 1807 - 1882...
정관일
시간 2025.02.28 (금)
일찍이피터 헨라인이 만들었다는뉘른베르크의 달걀시계 바늘 하나 생겨났다인간들이 시간의 한쪽으로만매달리는 이유란시계의 할아버지해시계의 유언 - 시간을 잘 지킬 것 -이라는 것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태어나자마자시간이 마련해준 강제적이자불합리한 노예 헌장이에 서명하게 된 그들은명령을 거부하거나 항거하는 즉시시간이 설치한 망각이라는 그물에가차 없이 포획되었다 그래서 사람들은 일부러시계라는 수갑을 찬 채스스로...
하태린
해부 2025.02.21 (금)
해부학실험실 삶과 죽음이 마주한다안녕하세요깨달음을 위해 드러누운 온기를 거부한 이는 말을 아낀다사랑받고 사랑했을 이름 모를 기증자의 차디찬 심장생각이 버리고 떠나 향기를 잃어버린 몸포르말린으로 취해버린 이 공간죽은 자가 산 자를 치유한다 손에 든 메스가 죽은 자의 과거를 연다열린 몸 안에서 상영되는 기증자의 삶긴 하루 끝도 없이 불붙인 한 개비 담배입술 굴뚝으로 뿜어내는 붉은 가래 연기저 멀리 형체를 감춘 위험이서서히...
김영선
겸허에 대한 소고 2025.02.21 (금)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말은 무엇일까? 각 나라의 언론사 또는 문화를 연구하는 기관에서 종종 이런 주제로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한 기사를 본 적이 있다. 그 중 모든 조사에서 부동의 1위를 차지한 단어는 ‘엄마’였다. 세대와 종교, 여러 국가의 조사에 따라 다르긴 해도 어머니는 부동의 1위였고 그 다음이 사랑, 열정 순위였다. 인간이 세상에 태어나 제일먼저 배운 말은 엄마이고 살아오면서 가장 많이 부른 대명사이자 포근하고 친숙한...
자명
트라우마 2025.02.21 (금)
누구나 트라우마를 하나쯤 가지고 살지 싶다. 남들 보기에는 별것 아닌 듯해도 심한 두려움에 떨게하는 마음의 병이다.국민학교때 동네 집집마다 상달 고사 떡을 돌리러 다니다가 개에게 종아리를 제대로 물려 피를흘렸다.반창고, 붕대 같은 것도 없던 시절이라 그 댁 아주머님이 이불 호청같이 천을 찢어 싸매 주고아저씨에게 업혀 집까지 왔다. 그때의 순간적인 공포와 고통이 트라우마로 평생 따라다녔다.중고 6년을 시오리 산길을 걸어 상여집을...
이은세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