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집밥 이야기”

김유훈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5-11-06 09:46

한국문협밴쿠버지부 회원기고/수필
 지금  한국의 T.V.방송에서는 “집밥”과 관련된 프로가 한창이다. 각 방송사 마다 요리사들이 등장하여 음식을 만들어 보여주는 것 즉 “먹방”이라 불리고  있다. 심지어 백년손님에서 예전 유명 씨름선수의 장모님까지 이 먹방의 한 자리를 차지하여 활약 중이다.

생각해 보면 사람이 살아가는 데 제일 중요한 것이 “먹는 일”이다. 잘 먹어야 건강하고 사회생활을 열심히 할 수 있다. 때문에 우리 말에 “밥이 보약이다”란 말이 전해 내려 오듯이 밥을 잘 먹는 것이  건강의 척도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아무리 좋은 음식이라 하여도 홀로 먹는 것보다 누군가와 함께 하면 더욱 맛있고 즐거운 일이다. 그리고 그 누군가와 함께 식사 하면서 편안한 마음으로 대화를 나눌 수 있다면  행복한 시간이  될 것이다.

나는 집을 나설 때 밥은 물론 각종 반찬을 작은 그릇에 담아 짐을 꾸린다. 그리고 아내에게는 “나 매일 소풍 떠나는 사람이야”하며 들 뜬 기분으로 집을 떠나온다.  그리고 트럭에 와서 음식은 냉장고에 잘 보관하여 갈 길을 재촉하며 달린 후 식사 때가 되면 그 음식을 꺼내어 홀로 먹노라면 왠지 서글픈  생각이 든다. 벌써 이런 나의 트럭생활 13년 째, 집에서 가족과 함께하는 따뜻한 집밥은 며칠마다 이지만 대부분은 이렇게 트럭 안에서  나 홀로 하는 식사이다. 그러나 외국에서의 삶이 녹녹치 않고 이만한 수입 역시 이민자들에겐 쉽지 않은 일이라 이 외로움은 사치려니하며 나 홀로 하는 식사를 잘 견디고 있다.

그리고 운전 중 여러가지를  돌이켜보면 우리 두 애들 키우며 함께 오손도손하며 살 때가 즐거운 추억이였다. 네 식구가 식탁에 앉아 하께 떠들며 서로 이야기하고  애들 이야기 들어 줄 때 식탁 밑에 두 강아지들이 서로 먹을 것 달라고 짖어대는 그 소란했던 모습이 더욱 그립다. 그러나 세월이 어찌 이렇게 빨리 지나갔는지 어린 두애들은 벌써 다 커서 집을 떠나 있고 나와 아내가 애들 없이 빈 둥지를 지키고 있다. 그런데 나 역시 집을 떠나 노숙자 처럼 트럭에서 생활해야 한다. 결국 집에 혼자 남아있는 아내 역시 홀로 식사를 하고 있겠구나 하고  아내가  안스러워진다. 그래서인지 아내는 하루에 여러번 나에게 전화를 걸어 “지금 어디냐?, 언제 쯤 집에 와?”하며 묻는 그 심정이 이해가 된다.

“밥”, 하루에도 세번을 먹어야하는 우리들의 밥이다. 그 “밥 중에 밥”은 집밥이다. 그리고 사랑하는 가족들과 함께하는 집밥을 먹는 시간이 우리 인생에서 가장 행복하고 즐거운 순간이라 생각한다. 우리가 언젠가 어느날 세상을 떠날 때를 “밥 숫가락 놓는다” 라고 표현하는 것은 우리들의 삶과 죽음이  “밥”에  달려있기 때문이다. 특히 우리 민족은 대대로 모든 인사가  “밥”과  관계가 많다. 집 떠난 있는 식구에게 “밥이나 먹고 다니냐?”, 아침 인사가 “진지 드셨습니까?”, 등등 밥은 우리 민족의 가장 민감하고 절실한 생존의 대명사였다. 지금은 세월이 많이 좋아져서 밥의 절실함을 잊고 지내겠지만 나처럼 트럭생활을 하는 사람들에게는 “밥중에 밥”인  “집밥”의 소중함을 더욱 절실하게 느끼게 된다.

지난 세월 돌이켜보면 가족들과 함께했던 아름다운 장면들은 추억속에  남아있지만 그래도 지금 집으로 달려가면 아내가 준비한 집밥을 함께  할 수 있는 희망에 나의 마음과 핸들은 한결 가볍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나는 해외 교민이며 대한민국 사람으로서 그 정체성을 한번도 잊은 적이 없다.그래서아침에 눈을 뜨면, 고국의 소식에 눈과 귀를 기울이며 살아온지 어느덧 30년이 흘렀다.내가 그동안 트럭을 타고 미국과 카나다 전역을 돌아 다닐 때 과거엔는 CD를 통하여한국의 가요를 들으며 외로움을 달랠 수 있었다. 다행히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인해YouTube를 볼 수 있게되어 고국의 소식을 소상하게 보고 듣게 되었으며 실시간 댓글로의사를 소통할 수 있음은 우리...
김유훈
김유훈 / (사)한국문협 밴쿠버지부 회원해외에서 바라본 대한민국은 대단한 국가이다.  불과 60 여년만에  전세계 가장 가난한 나라에서 세계 10위의 경제대국이  되었다.우리의 어린시절 6.25 전쟁 이후 대부분이 가난했고 서울의 청계천과 산동네에는 판자촌이 대부분이였다.  지금 청계천 주변에는 고층빌딩들로, 판자촌은 고층아파트  마을들로 변한 모습은 고국을 방문할  때마다 감회가 새롭다.이렇게 대한민국의 역사가...
김유훈
무작정 상경 2021.05.03 (월)
김유훈 / (사) 한국문협밴쿠버지부 회원 “무작정 상경” 이란 말은 과거 한국이 가난했던 60-70년대에 흔히 쓰이던 표현이다.농촌 인구가 80%가 넘었을 시절 가난을 벗어나고자 많은 사람들이 고향을 등지고 더 나은 삶을위해 서울과 대도시로 일터를 찾아 떠났다.  그리고 이 시절 “쨍하고 해뜰 날”이란 노래를  부르며 온갖 고생 끝에 자리를 잡게 된 사연들이수없이 많이 있다....
김유훈
김유훈(사)한국문협 밴지부우리의 학창시절에 반드시 외워야했던 국민교육헌장은  “우리는 민족 중흥의 역사적 사명을 띠고 이 땅에 태어났다…”하며 시작되었다. 그 당시만 해도 절대 빈곤의 가난한 나라를 일으켜 잘 사는 것이 온 국민들의 꿈이며 희망이였다. 그리고 “새마을 노래”와 “잘 살아 보세”란 노래를 방방곳곳에서 전 국민이 부른 결과 대한민국은 민족이 중흥되었고 잘 살게 되었을 뿐 만 아니라 지금은 세계적인 나라가 되었다...
김유훈
김유훈(사)한국문인협 밴쿠버 지부 회원 한 해의 끝자락에서 돌이켜보니, 금년은 내가 살아오며 한 번도 경험해 본 적이 없는 시간을 지나온 것 같다. 중국 바이러스(covid-19)로 인해 전 세계가 공포속에서 지내며 수 많은 희생자들이 나왔다. 특히 소규모 자영업자들, 각종 운동선수들은 물론 공연 기획자들과 많은 연예인들에 이르기 까지, 그리고 국경을 폐쇄하여 사람들이 오갈 수 없어 여행업계는 거의 파산직전에 이르렀다. ...
김유훈
내가 지금가지 살아오면서 금년 (2020)처럼 온 세상이 혼란했던 기억은 없었다. 지난 해부터중국에서 부터 시작된 우환 폐렴(Covid-19)이라는 역병이 전 세계를 휩쓰는 까닭에 나라마다 큰어려움에 빠졌다. 미국과 카나다를 오가는 길까지 막혀버린 이때에 다행히 생활 필수품을 실은트럭들은 국경을 오갈 수 있지만 내가 속한 회사는 목재 등 건설자재를 나르는 회사인 까닭에물동량이 확 줄어들어 나는 트럭의 핸들을 잠시 놓고 지내게 되었다.그동안...
김유훈
     연극의 3대 요소를 희곡, 배우, 그리고 관객이라 한다. 특히 관객을 말하려면 무대가 필수적으로 따르게 되어있다. 이는 오늘날의 배우, 가수, 그리고 목사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이들에게는 공통점이 있다. 즉 배우의 시나리오, 가수의 노랫말, 목사의 설교 노트가 희곡에 해당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무대에  관객이 있어야 배우는 연극을, 가수는 신이 나서 노래 할 수 있으며, 목사는 교인들이 많이 있으면 더 힘 있고 영적인...
김유훈
아내의 취미생활 2020.03.31 (화)
 금년은 나의 결혼 40주년이 되는 해이다.  23살의 새색시가 어느덧 환갑을 훌쩍 넘긴 할머니가 되었다. 그리고 아내는 지금도 변함없이 열심히 많은 일을 하고 있다. 지난  20년 넘게 직장생활을 하였으며 은퇴 후, 지금은 작은 스모크 숍을 운영하고 있다. 아내는 이렇게 바쁘게 살고 있지만 쉬지 않고 취미생활을 하고 있다.   과거 한국에서는 목사 사모로 일은 안 했지만 취미생활은 열심이었다. 지점토 공예, 수채화 그리기, 그리고...
김유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