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인사동의 아이들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7-04-23 00:00

눈부시다, 바야흐로 염양춘(艶陽春)이다. 겨울을 모두 벗어낸 봄 짙은 주말, 인파의 인사동에 나갔다. 인사동(仁寺洞)은 방명(坊名)이었던 관인방(寬仁坊)과 인근 대사동(大寺洞)에서 각각 한 글자씩 따온 것이 동명(洞名)의 유래가 되었다. 서울의 대표적인 전통과 문화의 거리로 명성을 더해가고 있지만 인사동은 이미 조선 초기부터 미술의 중심지였다. 그 후 고미술과 서적상, 그리고 골동품상들이 모여들었고, 해방 이후 여러 갤러리와 미술관련 상점들이 속속 더해져 명성에 걸맞은 거리로 변모해왔다.

인사동을 걸을 때마다 서울이라는 도시의 깊이를 느끼게 되어 색다른 감흥에 젖는다. 이 거리에 외국인이 많은 이유도 아마 서울다움을, 한국다움을 느끼게 되어서일 것이다. 그런데 요즈음의 인사동을 걷다 보면 전에는 없던 걸 보는데, 온갖 곳에 써 붙여놓은 ‘손대지 마시오.’라는 문구다. 수많은 전시품들마다, 그리고 팔려고 내놓은 물건들마다에 이 문구가 거의 빠지지 않고 함께 있다. 그러나 이 간곡한 부탁은 허공을 가르는 메아리처럼 맥없이 흩어지고야 만다.

주말의 인사동엔 아이들도 참 많다. 제 엄마나 아빠를 따라 나온 초등학교의 고만고만한 아이들이 이리저리 다니며 연신 까르르 웃는 모습들이 튄다. 그런데 대여섯 명씩 작은 무리를 지어 인사동을 마구 휘젓는 이 아이들 앞에 간곡한 ‘손대지 마시오.’는 가차없이 무너진다. 심지어 ‘손대지 마시오.’조차 너덜너덜하다. 정말이지 닥치는 대로 만지고 건드린다. 전시관의 사람들, 상점의 사람들은 이리 튀고 저리 튀는 아이들 단속하느라 정신이 없다. 아이들이 도자기 같은 거나 유리 공예품 같은 걸 휘저을 때는 조마조마하다. 하긴 저 나이에 뭔 주눅들 일 있나, 오히려 그러면 큰일이지 하다가도 막상 아이들의 심한 모습에서는 저절로 혀를 차게 된다.

그렇다고 그 아이들을 부모들이 그냥 놔두기만 하는 건 아니다. 가끔 제 엄마, 아빠가 버럭 소리를 지르기도 하지만 이내 그러다 말고, 아이들도 어깨를 잠깐 움츠릴 뿐 끝내 달라지는 건 없다. 또 어쩌다 자신의 아이들이 뭘 엎어버린다든지 하는 눈에 띄는 말썽이면 좀더 과장된 고함으로 갤러리나 상점의 사람들에의 송구함을 대신하고 만다. 버럭 소리치다 마는 부모, 잠깐 움츠리다 마는 아이들, 모처럼 마음 먹고 나선 나들인데 서로 피곤해할 거 없다는 듯하다. 그렇게 부모와 아이들은 전통과 문화의 거리, 주말의 인사동을 만끽한다.

따지고 보면 학교로 학원으로 꽉꽉 치이다가 모처럼 거리에 나선 그 천진한 아이들, 봄볕 따사로운 주말을 전통과 문화를 체험하는 것으로 아이들의 하루를 알차게 하려는 부모들, 그들에게 이것저것 깐깐하게 들이대며 혀를 찰 건 없다. 그러나 혼내는 것과 가르치는 건 잘 살펴 구분해야 한다. 어른들은 종종 아이들에게 고함치고 혼내는 게 곧 가르치는 일이라는 착각에 든다. 아이들에게 소리지르는 소영웅(小英雄)이 많을수록 그 민족에겐 희망이 없다는 루쉰(魯迅)의 말이 아니더라도 혼내는 건 가르치는 게 아니다.

아이들은 순백의 마음을 지녀서 어른들의 말과 가르침을 잘 알아듣고 따른다. 그 아이들에게는 차근차근한 타이름이 필요하다. 사람에게 인격이 있듯이 모든 사물에도 격(物格)이 있어 사소한 것도 소중하게 해야 한다는 타이름이다. 사람에게 상처가 생기면 아프듯 사물도 흠이 나거나 깨지면 아파하고, 그것은 사람의 인격처럼 물격이 훼손당하는 것이라 차근차근 일러줘야 한다. 아이들이 뭔 말인지 못 알아들을 거라고 아이들을 무시하면 안 된다. 그렇게 깨우친 아이들은 사람들, 그리고 온갖 사물에 따스한 마음을 품게 되고 소중하게 여긴다. 그렇잖아도 뭐든 하찮게 여겨지게끔 하는 풍조나 환경이 점점 확산, 조성되는 요즘이다. 게임에선 죄 부수고 죽이며, 멀쩡한 물건들은 버려져 나뒹군다.

‘손은 글씨를 잊고, 눈은 그림을 잊었네. 돌에서 무얼 얻을 건가, 치(痴)와 벽(癖)이 으뜸이로다. (手忘書 ,眼忘畵. 何取石, 痴癖最)’ 이용휴(李用休)가 자신의 벼루에 새긴 연명(硯銘)이다. 이렇듯 옛사람들이 칼에도, 악기에도, 도장에도, 또는 부채 같은 사소한 것에도 명(銘)을 새겼던 것은 온갖 사물에 격을 부여해 더욱 아낀 까닭이다. 옛사람들의 마음 씀씀이가 떠오르는 인사동의 주말이다.

*필자 김기승은 1979년부터 극단76극장, 극단 실험극장, 환 퍼포먼스 그리고 캐나다로 이민오기 직전 PMC 프로덕션 등을 중심으로 공연계에서 활동했고 연극, 뮤지컬, 영화, 콘서트, 라디오 등 100여 편의 작품들에서 연기, 연출, 극작, 기획 등을 맡아왔습니다. 제목 '추조람경'(秋朝覽鏡)은 당(唐)나라 설직(薛稷)이 쓴 시의 제목으로, 제자(題字)는 필자가 직접 썼습니다. <편집자주>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