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창의성에 대한 오해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7-03-15 00:00

"어릴 적에는 상상력이 얼마나 풍부하던지 별 엉뚱한 이야기로 사람들을 웃기게 하더니 자라면서 점점 그런 이야기도 안하고 평범해진 거 같아요. 제가 주입식 교육을 너무 많이 시켜서 그러나요? 제가 교육을 잘못 시켰나 봐요." 초등학교 6학년 아들을 둔 한 엄마의 이야기이다.

비단 이 엄마의 이야기뿐만은 아니다. 많은 부모들이 이에 동감하며 심지어 학생 본인들도 자신들의 사라진 '창의력'에 대해 당황해 하기도 한다. 어릴 적의 거침없던 상상력, 기발한 발상이 언제부터인가 슬며시 적어지면서 이성적, 논리적인 생각이 사고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서 '그 풍부한 창의성과 영감은 어디로 갔나' 좌절하기도 하고 당황해 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는 창의성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된 잘못된 생각이다.

먼저 여기서 사람들이 흔히 생각하는 어릴 적의 풍부한 '창의성'은 창의성이 아니다. 대부분의 어린이들은 3-4세부터 상상력이 크게 자라기 시작해서 12세 정도가 되면 멈추거나 소실되며 대신 이성적이고 논리적인 사고가 점점 더 자리 잡게 된다. 어릴 적 많이 보였던 영감, 번뜩이는 아이디어 대신에 논리적 사고, 체계화하고 객관화 하고자 하는 생각이 많아지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정상적인 발달 단계이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상상력, 영감, 순간적인 번뜩이는 아이디어(imaginative intuition)는 창의성의 극히 일부분이다. 흔히 창의성(creativity)은 타고나는 것이며 천재적인 머리에서 나오는 기발한 것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러한 단순한 상상력을 갖고는 창의적인 산물을 구체화 하기 힘들다.

창의성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고유성(originality), 유창성(fluency), 융통성(flexibility), 선견(foresight), 복합성(complexity) 등이 모두 적절하게 들어가야 한다. 단순히 번뜩이는 아이디어는 순간 '똑똑하다, 아이디어가 많다'고 칭찬받을 수 있는 일인지는 몰라도 구체적으로 창의적인 산물을 만들기까지는 위에 언급한 다양한 모습이 들어가야 하는 것이다.

창의성은 타고 나는 면보다는 교육과 노력으로 길러질 수 있는 요소가 훨씬 크다. 진짜 '창의적'인 결과물을 산출해낼 수 있으려면 고유성, 융통성, 유창성, 선견, 복합성 등이 통합적으로 들어가야 하며, 결과물을 산출해내기까지 필요한 노력과 시간과 끈기 또한 밑바탕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단순히 상상력을 자극하는 놀이를 하는 것처럼 상상력 한 가지에만 집중해서도 안되고 또 소홀히 해서는 안 되는 통합 교육이 창의성 교육인 것이다.

창의성은 모든 사람에게 존재하며, 창의적인 과정과 내용은 배울 수 있는 것이다. 제대로 된 '통합 창의성 교육'은 쉽지 않지만 '창의성'은 반드시 교육으로 길러져야 한다. 구슬이 서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다. 아이들로 하여금 타고난 구슬은 물론 다양한 구슬을 갖출 수 있도록 도와야 하고, 또 다양하게 꿰는 방법도 배울 수 있어야 한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