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키스, 키스, 키스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6-12-18 00:00

지금껏 멈추지 못하는 내 애정행각의 연유를 굳이 말하자면 이렇다. 오래 전, 아주 작고 평화로운 인디언 마을이 있었다. 그 마을 추장에게는 예쁜 외동딸이 있어 추장에게는 물론 온 부족민들의 사랑을 한 몸에 받았다. 날들이 지나면서 그 어리던 추장의 딸은 눈이 부시도록 아름다운 소녀로 자라났다.

그러나 무슨 운명이 그다지도 허름한지, 어여쁜 추장의 딸은 몹쓸 병에 걸려 그만 시름시름 앓았다. 추장과 모든 사람들이 백방으로 애를 써서 병구완에 나섰지만, 딸의 병은 더욱 깊어만 가서 그저 죽는 날만 기다리는 지경이 되었다. 인디언 마을은 더 없는 슬픔에 잠기고, 웃음소리도 사라져 음울했다.

애통함에 심신을 가누지 못하는 추장이 제 딸에게 묻는다, 너의 마지막 소원이 무엇이더냐, 내가 무엇이든 들어주리라.

이미 핏기 없이 가녀린 추장의 딸은 파르스름한 입술을 겨우 떼며 말한다, 저는 이 세상의 모든 남자와 키스하고 싶어요…

제 딸의 처지가 아무리 원통, 애통해도, 그리고 자신이 아무리 대단한 추장이라 할지라도, 제 딸의 그 잔망스런 소원은 들어줄 길은 없었다. 그저 애태우며 다 큰 소녀로 자라난 제 고운 딸이 하루하루 죽어가는 모습을 지켜보는 수 밖에.

추장의 딸은 끝내 마지막 소원을 이루지 못하고 추장과 온 부족 사람들의 통곡 속에 눈을 감는다. 사람들은 마을 뒤 야트막하고 양지바른 언덕배기에 그 소녀를 눈물로 묻었다. 그리고 소녀를 보낸 애달픈 사람들 앞에 놓인 시간은 또 속절없이 흘러간다. 그렇게 얼마쯤 세월이 지난 후, 그 소녀의 무덤에서 풀이 돋아나기 시작했으니, 바로 담뱃잎이다.

많은 사람들이 오랫동안 그 소녀의 소원을 잊지 않았다. 그 소녀가 말했던 남자들뿐만 아니라 많은 여자들도 소녀의 마지막 소원에 귀를 기울이며 키스하고 있다.

나도 오래 전부터 지금껏 그 예쁜 소녀의 애달픈 키스의 소원을 들어주고 있다. 어떤 날은 아침에 눈을 뜨자마자 소녀와의 키스로 하루를 시작하고, 또 하루에도 몇 번씩 인디언 소녀의 소원을 떠올린다. 심한 날에는 스무 번도 넘게 키스한다. 물론 그런 날의 키스는 의식적인 것보다 습관적인 게 많음을 나는 안다.

그런데 요즘은 날이 갈수록 어여쁜 소녀의 소원을 들어주기가 점점 힘들어진다. 가는 곳마다 거의 키스금지구역으로 설정되어서 한데로 내몰리니 키스가 점점 번거로워진다. 또한 힘겨운 것은 따가운 눈총이다. 온갖 신문이며 방송에서는 당장 소녀와의 키스를 멈추라고 나날이 성화다. 게다가 만나는 사람들 중에는 여태 키스하며 사냐고, 혀를 차는 사람들이 늘어만 간다.

나는 한때 성실하게 슬픈 소녀의 소원을 들어주다가 이제는 그만 둔 사람들, 또는 애초부터 가녀린 소녀의 소원에는 눈길조차 주지 않았던 사람들을 향해 매정한 사람들이라고 비난을 보내는 일이 없다. 오히려 매력적인 유혹을 박찬 그들의 강건한 결단력을 존경하다시피 한다. 진심으로 그러하다.

그러나 세상에는 존경 받을 만한 사람보다 나같이 박약한 의지를 지닌 사람들이 더욱 많은 게 사실이다. 더군다나 키스와 같이 달콤한 유혹이 그리 흔치 않은 것도 내 의지를 더욱 무력화시키는 중요한 이유가 된다.

그러한 나는 달콤한 키스의 유혹에서 그만 벗어나야겠다고 마음먹어본 적이 아예 없다. 그래 봐야 턱도 없이 부실한 내 의지력을 다시 확인할 것 말고는 아무 것도 없을 게 뻔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키스를 끊으면 물끄러미 하늘을 바라보는 것도 끊어야 할 것 같고, 보고 싶은 누군가를, 또는 아스라한 기억들을 떠올리는 것도 끊어야 할 것 같아서다. 그건 키스를 끊는 것보다 몇 곱절 자신이 없는 일 이다.

거기에 넘어가라고 있는 게 유혹인지, 아니면 극복하라고 있는 게 유혹인지 잘 모르겠지만, 또 앞으로 키스하기는 더욱 어려워지고 멈추라는 성화도 더하겠지만, 그래도 나의 키스행각은 지속될 것 같은 예감이다.

*필자 김기승은 1979년부터 극단76극장, 극단 실험극장, 환 퍼포먼스 그리고 캐나다로 이민오기 직전 PMC 프로덕션 등을 중심으로 공연계에서 활동했고 연극, 뮤지컬, 영화, 콘서트, 라디오 등 100여 편의 작품들에서 연기, 연출, 극작, 기획 등을 맡아왔습니다. 제목 '추조람경'(秋朝覽鏡)은 당(唐)나라 설직(薛稷)이 쓴 시의 제목으로, 제자(題字)는 필자가 직접 썼습니다. <편집자주>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