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아 다르고, 어 다르다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6-11-06 00:00

중국 청조(淸朝) 말, 1851년, 홍수전(洪秀全)이 농민군을 규합하여 태평천국의 난을 일으킨다. 시작부터 그 말 자체가 하도 우스워 얘기가 잠깐 빗나갈 수밖에 없겠다. 난(亂)은 말 그대로 난 일진데, 그 앞의 태평천국(太平天國)은 또 무슨 말인가 하여 우습다. 하긴 이 정도면 그야말로 골머리 쑤시게 하는 요즘의 말의 조합에 비하여 좀 나은 편이다. 아무래도 어긋맞은 말의 억지조합이며, 도무지 앞뒤 맞지도 않는 괴설을 늘어놓고도 시치미 까는 통에 요즘 피곤할 때가 많다.

차치하고, 전형적인 왕조 말기 현상에 말미암은 이 난은 무려 10여 년간 지속되면서 반란군은 청과 대립한다. 청의 조정에서는 반란군을 진압하기 위해 증국번(曾國藩)을 앞세워 군대를 파견하는데, 워낙 반란군의 기세가 등등한지라 진압군은 난을 평정하기는커녕 번번히 패퇴하기 일쑤였다. 그러니 조정에 전황을 알리는 장계에는 누전누패(屢戰屢敗)라고 쓸 수밖에 없었다. 당연 번번히 싸워 번번히 진다는 보고서인데, 지휘관인 증국번의 벼슬이 날아감은 말할 것도 없고, 심하면 연이은 패전의 책임으로 목숨까지 잃을 수 있는 지경이 된다.

이에 보고서를 황제에게 상계하는 백관의 하나가 증국번의 전황보고서를 고쳐 쓴다. 누전누패를 누패누전(屢敗屢戰), 즉 반란군과의 싸움에서 누누이 패하지만 그래도 굴하지 않고 계속 싸우고 있다고 고쳐 적은 것이다. 이러한 보고서를 받아본 청의 도광제(道光帝)는 오히려 상을 내려 증국번을 격려하고 진압군의 사기를 북돋운다.

황제에게 상계하는 그 벼슬아치가 전황 보고서를 거짓으로 다시 꾸며 올린 것도 아니고, 다만 바꾼 글자 순서 하나가 증국번의 목숨을 구하고 만 것이다. 증국번은 그 후 끝내 태평천국의 난을 일으킨 홍수전과 반란군을 토벌하고, 양무운동(洋務運動)을 주도하는 등 이홍장(李鴻章)과 더불어 청조 말의 유력 정치가로 또한 학자로 이름을 떨친다.

아 다르고, 어 다른 게 과연 말이다. 더군다나 시련에 주저앉은 이에게는 더욱 예민하게 작용하는 것이 바로 그 놈의 아, 그리고 어다. 침묵은 금이라지만 어디 사는 일이 그러한가. 옆에 주저앉은 이를 보면서 침묵을 먼저 떠올리는 것은 아무래도 인지상정과 거리가 멀다. 그러나 때론 위로의 말이라고 건네는 바가 오히려 주저앉은 이에게 시련보다 더 한 상처를 안길 때가 있다. 때리는 시어미보다 말리는 시누가 더 밉다고 했던가.

참 까다로운 아, 어다. 차라리 외면하는 편이 낫지, 어디 겁이 나서 말이나 한번 건네겠는가. 그러나 아무리 까다로운 곳에도 틈새는 있는 법, 아, 어가 주는 압박의 사슬에서 자유로워 지는 건 온 마음을 싣는 거다. 그냥 발린 위로가 아닌, 또는 너 그럴 줄 알았다라는 심보를 위로로 가장한 것이 아닌, 고난 속의 그를 온 마음으로 긍휼이 여기는 데에서 아, 어를 가리는 기술은 소용없어진다.

말 또는 위로가 향하는 방향은 크게 봐서 남과 나, 이렇게 두 가닥으로 잡을 수 있겠다. 따라서 남을 향한 아, 어와 마찬가지로 자기 자신에 대해서도 아, 어는 잘 가려져야 한다. 시련에 주저앉은 스스로에게 조차 아, 어를 가려 살펴야 하는, 그 살얼음판에서 헤어나는 방법은 역시 상황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다. 시련에 닥친 스스로에게 외부로부터의 위로는 한계가 있다. 보다 중요한 것은 스스로 다잡아가는 긍정적 인식일 게다. 그렇지 않고서는 가련한 스스로가 다시 일어날 도리가 없다. 두 말할 필요도 없을 진부한 얘기일 망정 시련에 눌릴 때는 새삼스레 다가온다, 긍정적인 인식. 아 다르고, 어 다르다 한들 그건 죄 겉이다. 그 속은 마음이며 인식이다. 겉은 속에서 나온다. 무시로 주저앉고, 무시로 아픈 우리가 겉의 아, 어를 극복하는 길은 속의 진정이다.

안 그럴 줄 알았는데 나이를 먹어가면서 더 자주, 그리고 더 깊이 아프다, 누패(屢敗). 그러나 아픈 게 다가 아니며, 아픈 게 끝이 아닌 것이 사는 이윤가보다. 언제 끝날지 모를 아픔이지만 오늘 아침에도 신발 끈을 조여 매고, 또 숨을 고르며 문을 나선다, 누전(屢戰).

*필자 김기승은 1979년부터 극단76극장, 극단 실험극장, 환 퍼포먼스 그리고 캐나다로 이민오기 직전 PMC 프로덕션 등을 중심으로 공연계에서 활동했고 연극, 뮤지컬, 영화, 콘서트, 라디오 등 100여 편의 작품들에서 연기, 연출, 극작, 기획 등을 맡아왔습니다. 제목 '추조람경'(秋朝覽鏡)은 당(唐)나라 설직(薛稷)이 쓴 시의 제목으로, 제자(題字)는 필자가 직접 썼습니다. <편집자주>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