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평생 깰 수 없을 기록 세웠습니다"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6-10-02 00:00

밴쿠버 영화제 방문한 '괴물' 봉준호 감독

1995년 한국영화아카데미 졸업작품 단편 '지리멸렬'로 처음 밴쿠버 영화제를 방문했던 봉준호 감독<사진>은 이후 '플란다스의 개', '살인의 추억', '괴물' 등 3년 주기로 작품을 만들어내며 매번 영화제에 출품하고 있다. 봉 감독은 밴쿠버에 대해 "국제영화제 첫 경험지이며, 부산영화제만큼이나 밴쿠버는 친숙한 영화제이고 도시"라며 "6년 만에 와보니 많이 변한 것 같다"고 말했다.

올해 '괴물'로 5번째 밴쿠버 영화제에 참석해 팬들의 많은 관심을 받은 봉 감독은 내년 1월에 '괴물'을 캐나다와 미국에서 개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봉 감독은 영화를 만드는 데 있어 "창작의 궁극목표는 자기만의 세계를 만드는 것"이라며 "제 스타일의 영화를 다시는 볼 수 없는 저만의 세계가 있었다라는 평가를 후일 받고 싶다"고 말했다.

Q. 영화에 사회적인 메시지도 담겨있는 것 같다. 어떤 메시지를 담았나?

"여러 가지가 많이 있는데 크게 봤을 때는 모두 평범보다 떨어지는 주인공 가족과 관련이 있어요. 그렇게 잘난 사람들이 아닌 사람들이 자기들 스스로 딸을 구해보려고 발버둥을 치고 노력하는데 국가나 사회, 공권력이 별로 도와주지 않잖아요. 한국에서 실제 삶을 살아가면서 보편적으로 느낄 수 있는 거죠. 어떤 힘든 상황이나 위기에 처했을 때 국가로부터 우리가 도움을 제때 받았느냐는 의문이 있잖아요. 확장해서 보자면 어느 나라건 공권력과 시스템이 약자를 제대로 도와준 적이 있었나라는 질문 그것인 것 같아요."

Q. 영화에 미국에 대한 풍자가 많다.

"풍자는 괴물 영화의 전통이에요. 50~60년대 고전 영화를 보면 외계인은 소련으로, 좀비는 메카시즘으로 대변되는데 그런 직설적인 정치적 풍자를 가져오고 싶었죠. 고등학교 때부터 한강의 괴물을 영화로 만들겠다는 생각을 계속해왔는데 맥팔란드 사건(한강물 독극물 투기사건)을 신문에서 보고 아전인수 격으로 내 영화를 위한 설정이야라고 생각했어요. 괴물의 탄생기원을 미국으로 설정했고 거기서 풍자의 맥이 이어지는 거죠. 괴물 바이러스의 존재여부는 이라크 전쟁의 원인인 대량살상무기의 풍자고, 클라이맥스에 나오는 에이전트 옐로우는 베트남전에서 사용된 고엽제 에이전트 오렌지의 풍자에요. 그러나 미국에 대한 풍자가 전부는 아니에요. 좁게 보는 분들도 있어요. 칸느 영화제에서 기자회견을 하는데 한 외국기자가 '몬스터 이즈 아메리카'라고 계속 강조해요. '그게 다는 아니라니까'라고 해도 계속 강조하는데... 그 분 알자지라 방송에서 나오셨더군요."

Q. 괴물 자체는 무엇을 풍자했나?

"몬스터 영화장르에서는 괴물이 어떤 상징성을 갖지만, 얘는 백주 대낮에 한강에 등장한 후 의미는 점차 없어져요. 한강 둔치를 누비는 동물이 되는 거죠. 오히려 괴물로 인해 파생되는 사회문제와 가족들이 겪는 일이 주가 되지요. 정치적이나 상징적 의미가 괴물을 둘러싸고 나오면서 괴물의 위치는 점차 비워집니다. 그러다 보니 괴물이 영화 초반 15분에 백주에 뻔뻔스럽게 등장할 수 밖에 없었던 거에요. 보통 괴물영화에서 괴물 꼬리 한 번 보려면 한시간 기다려야 하는데 저는 그게 싫었어요."

Q. 원하는 장면이 나올 때까지 배우를 틀어 잡는 감독이라는 평이 있는데?

"아니에요. 원하는 장면이 나올 때까지 배우의 바지 가랑이를 잡고 호소하는 감독이죠. 저는 연기부탁을 계속할 뿐입니다. (배우란) 기계처럼 입력만 하면 출력이 있는 게 아니에요. 매번 촬영(take)할 때마다 미묘한 차이가 생기는데 계속 반복하다 보면 배우들도 힘들어 합니다. 하지만 영화는 나중에 편집실에서 완성되는데, 속된 말로 배우를 붙잡아 놓고 혹사시키면 나중에 편집실에서 여러 샷을 보면서 행복한 고민을 할 수 있지요."

Q. 한국에서 1300만명이 '괴물'을 봤다. 인기 요인이 무엇이라 생각하는가?

"결과에 대해 저도 당황했습니다. 어쩌다 1000만명을 넘었는지...찍을 때는 걱정을 많이 했어요. 장르도 주류에서 벗어난 괴상한 장르이고, 한국 사람들이 B급 유머에 익숙하지 않아 성인들이 무시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많이 했었지요. 괴물 영화라는 장르가 주는 요소 때문이라기보다는 주인공 가족이 할리우드 영화에서 나오는 슈퍼 히어로가 아니라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덜 떨어졌지만 친숙한 인물이라는 점이 요인인 것 같습니다. 송강호씨나 변희봉 선생님으로 대변되는 한국의 보편적이고 전형적인 아버지상이 관객들을 끌어들인 것 같아요. 괴물이 나오는 액션이나 스펙터클을 원한다면 이 영화보다 할리우드 영화를 즐기는 편이 더 나은 것 아닐까요? 어차피 액션이나 스펙터클은 그 쪽이 나을 겁니다. 가족의 정서나 감정이 사람들에게 호소력을 가졌다고 봅니다."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