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심혈관 질환 5대 위험 중 고혈압이 가장 위협적...151만명 관찰해보니

이은봉 서울대병원 내과 교수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3-09-06 12:45

[닥터 이은봉의 의학연구 다이제스트]

▲사진출처= Getty Images Bank

심근경색증, 뇌졸중 등으로 대표되는 심혈관질환으로 전 세계인 셋 중 하나가 사망한다. 이런 심혈관질환의 5대 위험 요소로는 체질량지수(비만도), 고혈압, 고콜레스테롤 혈증, 흡연 및 당뇨병 등이 꼽힌다. 이런 요소들이 심혈관질환 전반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연구는 별로 없었다.

이와 관련해, 최근 세계적으로 논문 영향력 지수가 가장 높은 학술지로 꼽히는 뉴잉글랜드 의학 저널에 심혈관질환 위험 요인이 사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가 발표됐다.

연구는 전 세계 34국 112개 코호트 연구(위험 요인 비교 분석)를 이용해서, 조사 시작 당시 심혈관질환이 없는 151만8028명을 대상으로 했다. 이들에 대해 5대 심혈관질환 위험 요소 유무를 조사하고, 평균 7~9년을 추적 관찰하면서 심혈관질환 발생 여부와 전체 사망률을 조사했다.

연구 결과, 17만7369명이 사망했고, 8만596명에서 심혈관질환이 발생했다. 주요 심혈관질환 위험 요소는 10년간 심혈관 질환이 발생할 확률에 절반 이상 기여했다. 남성은 52.6%, 여성은 57.2%였다. 전체 사망률에는 19.1% (남성), 22.2%(여성) 영향을 미쳤다. 특히 5대 위험 요소 중 고혈압은 심혈관질환 발생에 가장 큰 기여를 했다.

나이, 성별, 인종이나 유전적 요인과 같이 타고나는 위험 요인은 어쩔 수 없지만, 절반 이상의 심혈관계 질환이 교정 가능한 요인에 의해서 발생한다는 것을 알게 됐다. 체중을 줄이고, 담배를 끊고, 혈압·당뇨병·고지혈증을 적절히 조절하면, 심혈관계 질환 상당 부분을 예방할 수 있다는 의미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닥터 이은봉의 의학연구 다이제스트]
올리브 오일은 대표적 식물성 기름으로, 건강에 유익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지중해식 식이의 중요한 요소다. 실제로 올리브 기름은 여러 연구에서 심혈관 질환 위험을 낮추어주는 것으로...
[닥터 이은봉의 의학 연구 다이제스트]
▲Getty Images Bank요즘 아이들은 휴대폰, TV, 비디오게임 등으로 영상 스크린을 보는 시간이 크게 늘었다. 스크린을 많이 보면 볼수록 운동을 적게 하고, 적절한 수면 시간도 준다. 이 때문에...
[닥터 이은봉의 의학연구 다이제스트]
▲사진출처= Getty Images Bank심근경색증, 뇌졸중 등으로 대표되는 심혈관질환으로 전 세계인 셋 중 하나가 사망한다. 이런 심혈관질환의 5대 위험 요소로는 체질량지수(비만도), 고혈압,...
[닥터 이은봉의 의학 연구 다이제스트]
▲미국 알츠하이머치료재단의 알츠하이머병 이미지./조선일보DB노인성 치매라고 하는 알츠하이머병 발생은 유전적 요인, 혈압, 당뇨, 비만, 흡연, 청력 장애 등 다양한 요소에 영향을...
[Dr.이은봉의 의학 연구 다이제스트]
▲사진출처= Getty Images Bank흡연이 일시적으로 심리적 스트레스를 낮추어 줄 수는 있지만, 담배 한 대 피우고 난 순간부터 니코틴 레벨이 떨어짐에 따라 곧 불안, 초조, 우울감이 엄습한다....
[닥터 이은봉의 의학연구 다이제스트]
밤에 자다 깨다 뒤척이노라면 “지금이 몇 시인가?” 하며 시계를 자주 들여다보게 된다.최근 국제 학술지 ‘신경 질환을 위한 일차 의료’에 밤에 자다가 시계를 보는 행동과 불면증의...
[Dr. 이은봉의 의학 연구 다이제스트]
▲사진출처= Getty Images Bank통계상 65세 이상 인구의 30%, 80세 이상은 절반에서 낙상을 겪는다. 뼈가 약하고 근력이 약한 고령자는 낙상 시 골절이 10~20%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여생을 제대로...
[닥터 이은봉의 의학 연구 다이제스트]
콜라, 사이다와 같이 설탕이 첨가된 청량음료들은 시원하고 맛있지만, 장기간 마시면 비만, 당뇨병 등을 유발해서 심혈관질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뇨병 환자들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