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금연하면 더 스트레스? 오히려 불안감 잠재워

이은봉 서울대병원 내과 교수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3-06-23 10:14

[Dr.이은봉의 의학 연구 다이제스트]


흡연이 일시적으로 심리적 스트레스를 낮추어 줄 수는 있지만, 담배 한 대 피우고 난 순간부터 니코틴 레벨이 떨어짐에 따라 곧 불안, 초조, 우울감이 엄습한다. 이런 이유로 금연은 불안증이나 우울증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다.

최근 미국의사협회지 네트워크판에 금연과 불안, 우울증 간의 관계를 조사한 연구가 발표됐다. 연구는 전 세계 140개 의료센터에서 총 4260명이 참여한 금연 연구를 재분석하는 식으로 이뤄졌다. 금연에 실패한 3781명(흡연군)과 금연에 실제로 성공했던 479명(금연군)을 대상으로 6개월간의 금연 과정 중에 일어난 불안증과 우울증 변화를 비교 분석했다. 환자의 평균 나이는 47세였다.

분석 결과, 담배를 계속 피운 흡연군에서는 불안증 지수가 4.31점에서 2.29점으로 낮아졌다. 하지만, 담배를 끊은 금연군에서는 3.81점에서 1.51점으로 흡연군보다 더 개선됐다. 우울증의 경우도 흡연군은 2.51점에서 1.67점으로 개선된 반면에, 금연군은 2.21점에서 0.92점으로 좀 더 나아졌다. 금연이 불안 우울을 악화시키지 않은 것이다.

동물실험에 의하면, 뇌는 니코틴에 장시간 노출되면, 스트레스 호르몬 코티졸 분비가 늘고, 중추신경 전달 물질 시스템 교란이 일어나서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에 영향을 미친다. 그 과정서 우울증이나 불안증이 발생할 수 있다.

흡연자들은 담배가 스트레스를 줄여주고, 마음을 편안하게 해 주기 때문에 도저히 끊을 수 없다고 말한다. 하지만 금연 시 불안, 우울이 심해질 것이란 것은 기우였다. 금연이 일시적인 금단 증상을 일으킬 수는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불안과 우울을 오히려 개선시켰다. 담배, 걱정 말고 끊고 볼 일이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닥터 이은봉의 의학연구 다이제스트]
올리브 오일은 대표적 식물성 기름으로, 건강에 유익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지중해식 식이의 중요한 요소다. 실제로 올리브 기름은 여러 연구에서 심혈관 질환 위험을 낮추어주는 것으로...
[닥터 이은봉의 의학 연구 다이제스트]
▲Getty Images Bank요즘 아이들은 휴대폰, TV, 비디오게임 등으로 영상 스크린을 보는 시간이 크게 늘었다. 스크린을 많이 보면 볼수록 운동을 적게 하고, 적절한 수면 시간도 준다. 이 때문에...
[닥터 이은봉의 의학연구 다이제스트]
▲사진출처= Getty Images Bank심근경색증, 뇌졸중 등으로 대표되는 심혈관질환으로 전 세계인 셋 중 하나가 사망한다. 이런 심혈관질환의 5대 위험 요소로는 체질량지수(비만도), 고혈압,...
[닥터 이은봉의 의학 연구 다이제스트]
▲미국 알츠하이머치료재단의 알츠하이머병 이미지./조선일보DB노인성 치매라고 하는 알츠하이머병 발생은 유전적 요인, 혈압, 당뇨, 비만, 흡연, 청력 장애 등 다양한 요소에 영향을...
[Dr.이은봉의 의학 연구 다이제스트]
▲사진출처= Getty Images Bank흡연이 일시적으로 심리적 스트레스를 낮추어 줄 수는 있지만, 담배 한 대 피우고 난 순간부터 니코틴 레벨이 떨어짐에 따라 곧 불안, 초조, 우울감이 엄습한다....
[닥터 이은봉의 의학연구 다이제스트]
밤에 자다 깨다 뒤척이노라면 “지금이 몇 시인가?” 하며 시계를 자주 들여다보게 된다.최근 국제 학술지 ‘신경 질환을 위한 일차 의료’에 밤에 자다가 시계를 보는 행동과 불면증의...
[Dr. 이은봉의 의학 연구 다이제스트]
▲사진출처= Getty Images Bank통계상 65세 이상 인구의 30%, 80세 이상은 절반에서 낙상을 겪는다. 뼈가 약하고 근력이 약한 고령자는 낙상 시 골절이 10~20%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여생을 제대로...
[닥터 이은봉의 의학 연구 다이제스트]
콜라, 사이다와 같이 설탕이 첨가된 청량음료들은 시원하고 맛있지만, 장기간 마시면 비만, 당뇨병 등을 유발해서 심혈관질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뇨병 환자들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