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세상에서 가장 슬픈 이별

정재욱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2-02-22 09:19

정재욱 / 캐나다 한국문협 회원
퇴근 해서 집으로 향해 가는 버스를 기다릴 때였다. 한국에서 전화가 왔었다는 여러 개의 카톡 메시지가 남겨져 있었다. 왠지 불안한 마음을 뒤로 한 채 바로 큰 형님께 전화를 했다. 코로나 양성판정을 받고 격리 병원시설로 옮기신 후에 별 이상이 없으셔서 일반 병실로 이동하실 거라고 했었다. 이제까지 심장 수술과 혈전 제게 수술등 여러번 위험한 고비를 넘기신 터라 걱정도 많이 했고, 제발 이번 위기도 꼭 이겨냈으면 하고 기도하고 있었다. 제발 내가 우려하는 일이 아니기를 간절히 바라며 전화기 송신 버튼을 눌렀다. 형님은 떨리는 목소리로 오전에 병원에서 연락이 왔는데 갑자기 호흡곤란이 와서 어머니께서 돌아가셨다고 했다. 순간 아무 생각도 나지 않고, 멍하니 하늘만 쳐다보았다. 눈에서는 눈물도 나지 않았고, 모든 시간이 그대로 멈추어 버렸다. 어머니를 이 세상에서 만나 뵐 수 없다는 그 말이 믿기지 않았고, 제발 사실이 아니고, 내가 잘못 들었기를 바랬다. 온라인 부고장을 카톡으로 받고서 눈물이 나기 시작했다. 어머니의 이름과 상주로 들어간 내 이름을 보고서 현실임을 깨달았다. 하염없이 흐르는 눈물을 어찌할 수 없었다. 아직 어머니께 해 드리지 못한 일들이 많은데, 함께 여행을 가고, 함께 맛있는 음식도 먹고 싶었는데, 올해는 꼭 살아 계실 때 찾아 뵙겠다고 매일 기도 했는데, 코로나가 잠잠해지는 데로 한국에 갈려고 마음먹고 있었는데. 시간은 더 이상 기다려 주지 않았고, 정작 어머님이 마지막 가시는 길에도 함께 하질 못했다. 나는 나만 생각하는 이기 주의자였고, 불효자였고, 죄인이었다. 지금 아무것도 할 수 없는 내 자신이 원망스럽고, 참을 수가 없었다.
어머니가 돌아 가신 다음 날, 눈이 내렸다. 창 밖으로 하얀 눈이 소복이 쌓인 모습을 보며, 이젠 저 먼 하늘나라에 계실 어머니를 생각했다. 그 곳에선 더 이상 아프시지 말고, 편안하게 계시라고 마음속으로 기도했다. 누나가 보낸 생전에 찍었던 어머니의 사진을 보니 어머니가 더 보고 싶어졌다. 3년 전 한국에서 보냈던 두 달 남짓한 시간이 머리에 떠올랐다. 지금 생각 해 보면 그나마 생전에 어머니와 함께 했던 유일한 시간이었고, 그런 시간이 있어서 다행이었다. 어머니의 정성과 사랑을 온전히 느낄 수 있었던 시간이었다. 어머니와 함께 했던 순간들이 영화의 파로나마처럼 머릿속을 스쳐 지나갔다. 아침 운동을 나가는 내게 먹으라고 두유를 건네 주시던 모습, 점심 때 먹으라고 직접 도시락을 싸 주시던 모습, 팔공산으로 차로 드라이브를 하던 모습, 대구 수목원에서 국화꽃 전시회를 보며 웃으시던 모습, 단풍이 든 나무 아래에서 함께 사진을 찍던 모습, 내가 사 온 치킨 한 조각을 맛있게 드시던 모습, 저녁에 소주를 함께 마시며 옛날 이야기를 하던 모습등. 어머니와 함께 했던 아주 사소한 부분들까지도 내 기억의 서랍에 채워졌다.
작년 연말에 나는 어머니를 떠나 보내는 세상에서 가장 슬픈 이별을 했다. 누구나 한 번은 겪어야 하는 일이겠지만, 아직 그 이별의 아픔과 슬픔이 완전히 가시지 않았지만 이제 어머니를 보내 드리려고 한다. 하늘 나라에서 어머니가 항상 지켜보고 계실꺼라 생각한다. 어머니를 이제 직접 만나 뵐 순 없지만 어머니가 보고 싶을 때마다 함께 찍은 사진을 보며, 내 기억의 서랍에서 그 때의 추억을 떠올릴 것이다. 언제나 내 마음 속에 살아계시고 베풀어 주신 아낌없는 사랑과 함께 하신다는 걸 기억하며 살아갈 것이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봄비 오시네 2022.03.14 (월)
봄비 오시네 사납게 파고들던 겨울비 저만치보드라이 흐르는 봄비의 손결회색빛 마을 화사해지리 다정한 빗살에파랗게 일어서는 풀 내음거칠었던 숨 다스리며나도 한껏 푸르러지리 봄비는 저물녘 마음 강가도란도란 흐르는너의 목소리 겨울 그림자 길어진 날엔새파란 봄비여어서 오소서.  -림(20210506)
임현숙
책장 앞에서 2022.03.14 (월)
도킨스와 하라리, 베르베르와 이정모가 사이좋게 어깨를 밀착하고 있다. 사이좋게?인지는 사실 모르겠다. 시비를 걸거나 영역다툼을 하지않고 시종 점잖게 어우러져 있으니 나쁜 사이는 아닌 것 같달 뿐.   책들은 과묵하다. 포개 있어도 붙어 서 있어도 일생 서로 말을 걸지 않는다. 책들은 다 수줍음을 탄다. 자리를 바꿔 달라 보채지도 않고 어디로 데려가 달라 꼬리치지도 않는다. 즉각적인 피드백을 양산하는 다중 미디어들이 창궐하는...
최민자
봄이 오는 숲길 2022.03.14 (월)
3월의 바람은 아직 차갑다숲속은 알 듯 모를 듯 연두빛 번지고구구 슝, 뺏쫑 슝, 까악 슝, 꾸이꾸이 슝새들의 울음소리와 바람소리가 서로 장단을 맞춘다마른 갈잎은 숲길에 누워꽃샘바람에 흔들리고마르고 까칠한 나무둥치 안으니따뜻한 온기 전해온다솔 나무 푸른 잎에 생기가 돌고골짜기 작은 풀꽃이 고개 숙이고성질 급한 진달래 꽃망울 하나저 혼자 고개 쑥 내밀고 세상에 나와그 꽃망울 머리 위에 사알짝 올라앉는다
조순배
 나의 어린 시절 이야기를 떠올려 본다. 나는 서울 마포구 아현동에서 태어나, 세 살 때쯤 되었을 때 부모님께서 서울 용산구 후암동으로 이사를 했다고 한다. 초등학교를 (내가 다닐 적에는 국민학교라고 지칭했다) 후암동에서 다녔다. 그 시절에는 거주 지역에 따라 초등학교를 배정받는 것이 중요했는데 지역별로  학교 차이가 있었다. 나는 평판이 좋고 역사가 있는 삼광초등학교에 입학해 졸업하게 되었다. 어렸을 때 운동회가 열리면...
이종구
한 차례 함박눈 펄펄했던2월 오후가지마다 탐스럽게 걸터앉은 봄 마중들 환생한 꽃들의 뽀얀 영혼 눈부시다 그래, 기다림은 종종죽은 시간 위를 달려와서둘러 꽃을 피우기도 하지아스름 실려 오는 너의 목소리눈가 주름골 따라 촉촉이 스며드는데 길섶엔한나절 허연 뱃살 양껏 부풀린 눈덩이들다시 겨울의 깊은 속살을 애무한다 이제 더는 구르지 않을 것 같은내 그리움의 수레바퀴는 목련 나무 눈꽃 멀리집 잃은 낮달로 걸려...
백철현
 2020년 초에 중국 우한에서 발원한 바이러스로 인한 팬데믹으로 일상생활 패턴이 전 세계적으로 변한 지 3년째로 접어들고 있다. 교통과 통신기술의 발전은 지구 어느 한 곳에 일어난 사건이나 사변이 거의 실시간으로 전 세계에 알려지고,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지구 사회(Global Society)를 가능케 했다. 천재지변 소식은 인터넷이나 신문, 방송 등의 매체를 통하여 거의 실시간으로 알려지는 것이 한 예다. 이러한 소식이 들릴 때 직접 관계가 없는 한...
김의원
노을진 만남 2022.03.07 (월)
서로 잘 났다고우길 때가 좋았지옷이 이쁘다고시샘부릴 때가 좋았지어린 시절 집 앞도랑물 다리 위에멍석을 깔고 누워밤하늘의 별을 세다가잠이 들곤 했는데세월 참, 빠르다더니어느새 늙어버렸네막걸리 한 잔에억만 밤을 담그며뿌옇게 밤을 지새우다가아프지말고 가자는사촌의 그 말에그만 눈시울이 붉어졌네태화강가에서육모초를 뜯어 말리어 보낸정성스런 그 마음에쓰디쓴 육모초 물을달달하게 마시며흘러가는 구름을무심히 바라보았네
김희숙
나의 세계 2022.02.28 (월)
 벌써 십 년 가까운 세월이 흘렀다. 신춘문예 입상이라는 뜻밖의 타이틀은 내 인생의 하반기에 또 다른 고지로 향하는 출발점이었다. 새로이 맞이한 공간 속에서, 고래가 물을 뿜듯 분출하던 시간이기도 했다. 설레임과 흥분으로 하얗게 밤을 지새우며 빈 여백을 채우던, 벅찬 감정은 그리 오래가지 않았다. 보이지 않는 벽에 가로막혀 앞으로 나가려고 해도 나가지 못하고 제자리걸음만을 반복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초심으로 돌아가 초창기에...
민정희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