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천사와 별

김춘희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1-01-18 08:31

김춘희 / ()한인문협 밴쿠버 지부 회원


11 마지막 주말이 되면 아들네는 모두 소나무 농장으로 나무를 사러 떠난다. 적당한 크기의 나무를 골라 톱으로 자르고 베어 차에 싣고 나면 어른들은 따근한 커피 아이들은  쵸코릿을 사서 마시고  크리스마스 트리 쇼핑을 끝낸다.

 

  거실에 사다리를 높이 올려 나무 끝까지 올라간 아들은 며느리와 아이들이 일러주는 대로 이리 저리 천사의 위치를 고정하고 장식 등을 키면 아이들은 나무 사이사이에 장식을 걸고 캔디 케인도 걸어 놓는다. 중에서 내가 가장 좋아하는 장식은 크지도 않으면서 반짝이는 작은 별이다. 머리에 천사를 이고 가슴에 별을 달고 몸에 알록 달록 장식을 붙인 소나무는 거실을 소나무 향기로 채운다.

 

 12 달은 크리스마스 준비로 들떠 지낸다. 아이들과 함께 생강 쿠키 집도 단장하고 하루에 개씩만 먹는 쵸코릿 박스에 매일 개씩 문이 열린다. 크리스마스가 몇일 남았는지를 헤아리는 카운트 다운을 하는 것이다트리 밑에는 울긋 불긋 포장한 선물들이 쌓이고.

 

 드디어 24 , 싼타가 찾아 와서 먹어야하는 색색의 쿠키를 굽고사슴이 먹을 당근도 챙기고, 드디어 벽에 걸어 선물 버선이 차서 터질듯 쌓이면 아이들은 일찍 자야한다. 싼타는 자는 아이에게만 찾아 오니까. 마침내 아이들이 모두 꿈나라로 떠나면 어른들은 자기가 좋아하는 와인이나 맥주를 마시며 버선 속에 들어 있는 선물들을 사람씩 돌려 가며 뜯는다. 발신인 없는 버선 선물은 누가 넣었는지 필요도 없고 그저 싼타가 넣어 선물로 알고 감사하며 뜯는다. 선물은 포장하여 점잔케 나무 밑에 갖다 놓지만 버선 속에 들어 자질구레한 물건들은 일일이 포장하지 않아도 된다. 한달 내내 식구들 모두가 한나씩 둘씩 준비되는 대로 집어 넣지만 헐렁하니 버선은  주로 며느리의 사랑의 손길로 채워진다별것도 아닌 물건들이다치실, 칫솔, 여행용 로션, 남자들 미용에 필요한 것들, 작은 행주, 수세미. 상비 약등 ..하찮은 것들이지만 일년 내내 요긴하게 쓰이는 물건들이다. 일일이 그런 물건들을 사러 다니려면 시간도 많이 필요하다. 어느 해인가, 아들은 너무 바빠서 선물을 사러 다닐 시간이 없었다. 아내의 버선에 채워 넣어야 물건이 빈약했고 시간은 없고 그래서 어떻게 했을까?..  아내는 자기 버선 속에서 작은 향수병 하나를 꺼내더니, ‘이건 내가 쓰던 아냐?  뭔가 채워 넣어야 하는데 궁여지책으로 아내의 향수병이 아직 새것인줄로 착각하고 슬쩍 아내의 버선 속에 집어넣었던 것이 들통이 났다. 우리들은 아이들이 깰까봐 소리로 웃지도 하고 웃음을 참느라 진땀을 추억도 있었다.

 

   드디어 25 새벽 아이들이 소리소리 지르며 산타가 쿠키와 우유를 마셨고 사슴이 당근도 먹어 치웠다고 소란을 피우면 우리는 모두 트리 앞에 모여 앉는다산타의 모자를 사람이 선물 받는 사람 이름을 호명하며 선물을 안겨 준다. 선물 받은 사람은 카드를 읽고 물건을 뜯고 고맙다고 허그와 인사를 하면 다음 사람 차례가 되어 같은 방식으로 카드 읽고 선물 뜯고.. 그렇게 거의 두시간 정도 선물뜯기 행사가  끝내게 되면 미리 준비한 스코트랜드 아침 정식으로 허기를 채운다. 서양식 순대(black pudding), 두툼한 베이컨(Ayshire bacon), 콩죽(beans), 서양식 감자전(potato scorn), 토매토 볶음(fried tomato), 그리고 겨란 프라이

 

팬데믹 제한 규제로 교회의 가장 아름다운 전례인 성탄 미사는 누구나 예외 없이 집에서 라이브로 참석했다그러나 미사의 클라이막스인 성체는 미사 사제는 성체를 모시고 밖으로 나와서 분배하므로 다행히 성체를 모실 있었다. 참으로 감사할 일이다. 코로나가 얼마나 우리의 일상을 바궈 놓았는지 모른다. 우리는 이런 시련을 겪고 살아야 하는가? 어찌하여 하느님은 이토록 우리의 시련을 방관 하시는가? 누구든 한번 쯤은 생각 봄직한 오늘의 아픔이요 또한 성찰의 시간이다. 펜데믹 아픔의 브레인 스톰을 지나 건져낸 단어 두개, 그것은 교회와 가정이다.

 

 그동안 많은 젊은이들이 가정 울타리의 의미를 잃고 살아 왔다. 혼자 먹는다는 혼밥혼족 .. 전에 들어 보지 못한 새로운 신조어들이 어지럽게 난무하는 세상이다. 자의거나 타의거나  결혼을 하지 않고 사는 독신자들, 결혼을 해도 의도적으로 아기의 출산을 거부하는 사람들결혼했다가도 마음에 들면 쉽게 이혼하는 사람들.. 가정이라는 단어가 자리를 잃어 버린지 오래다. 가정 뿐인가?

 

 교회의 모습은 어떠한가? 자신의 만족을 위한 놀이터 정도로 왔다 갔다 했던 사람들, 또는 무슨 단체장을 하면 감투가 머리위에 올라가는 알고 목이  뻣뻣 했던 사람들, 교회 문이 닫혔으니 어디로 것인가선택의 여지 없이 가정이다. 가정 안에서 예배도 보고 가정 안에서 식구들과 음식도 나눠야 한다.

 

그리하여 코로나 바이러스는 우리 가정안에 리이브라는 매체로 교회를 꾸미게 주었고 가정 울타리 안에 공동체를 형성하게 주었다바이러스를 피해 찾아 들어 가정 울타리 안에서 모두가 행복을 찾았으면 좋겠다.  

 

   크리스마스 트리를 걷어 내리는 며느리는 천사와 별을 받아 고이 상자 안에 넣었다. 다음 크리스마스를 기약하면서. 그날 천사와 별은 상자 속에 들어가면서 한해를 안전하게 지켜줄 것을 약속한다. 천사는 별을 따라 가라 하고 별은 빛으로 우리가 가야 길을 비춰준다. 그리하여 내가 너를 비추고 네가 나를 비추는 해가 되기를 기도 본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대구떼의 수난 2022.06.15 (수)
유네스코가 지정한 관광지 가스페 반도(Gaspé)는 우리가 1980-90년 사이에 여름마다 찾아갔던 여름 휴가지이다. 몬트리올에서 생 로랑(St-Laurent) 강을 왼쪽으로 끼고 북쪽으로 올라간다. 한나절 드라이브 길에 벌써 바다 냄새가 코 끝을 스친다. 바다와 강이 만나는 대서양 어귀에 리무스키(Rimouski)라는 큰 도시가 나온다. 여태껏 보아 왔던 경치와는 사뭇 다르다. 바닷가 근처에 새우나 조개 같은 어패류의 롤 샌드위치를 파는 간이 판매소가 여기저기 눈에...
김춘희
뿌리 내리기 2022.05.25 (수)
4월이 오면 나는 봄바람이 난다. 물병과 아이폰을 챙겨 넣은 망태기를 어깨에 메고 나 만의 산책길을 향해 집을 나선다. 재작년 옮겨 심은 참나물 뿌리가 제대로 잘 자라주면 좋겠다는 바램과 설레임으로 발걸음이 빠르다. 메이플 리지 동네 듀드니 길로 올라 오다가 230 가에서 오른 쪽으로 들어가면 작은 공원이 있다. 공원 옆으로 잡풀을 헤치고 어렵게 안으로 들어가면 아늑한 공간이 나온다. 마치 나를 위한 참나물 밭처럼 파란 참나물이 무리지어...
김춘희
말하는 북 2022.02.09 (수)
  몬트리올 공항에서 밴쿠버 행 비행기 탑승을 기다리던 중이었다. 키가 늘씬하게 큰 검은 색 피부의 두 청년이 나의 눈길을 끌었다. 머리를 여러 갈래로 땋아 뒤로 묵고, 황금빛 바탕에 현란한 튜닉과 바지에 번쩍대는 금 목걸이와 금색 운동화를 신었다. 그러나 눈에 띄는 외모보다 마치 새들의 지저귐같이, 큰 관악기의 고음처럼 들리는 그들의 언어가 더 나를 매혹 시켰다.  그들 중 한 사람이 기내에서 한 자리 띄어 바로 내 옆에 앉게 되었다....
김춘희
캠퍼의 입양 2021.11.12 (금)
아들은 이미 인터넷을 통해 이 녀석에 대한 충분한 자료를 갖고 있었다. 녀석의 나이와무슨 종자인지 그리고 어떻게 생겼는지 사진까지 받아 보고 내게도 보여주었다.  '중간치 보다 좀 작은 듯해야 내가 데리고 다니기 좋고, 털 많이 빠지는 것도싫고..' 잔소리 하듯 중얼 거리는 나에게 아들은 녀석의 몸무게와 키는 어느 정도며 영국사냥개 스패니얼이 섞인 잡종이라며 엄마의 산책 견으로 좋을 거라 나를 안심시켰다.  동물 애호가...
김춘희
골목안의 풍경 2021.07.26 (월)
김춘희 / (사) 한국문협밴쿠버 지부 회원  우리 집은 막다른 골목 안에 있다. cul-de-sac(컬드싹), 한번 들어가면 나갈 길이 없다는 골목길. 나는 이 길을 주머니 길이라 명명(明明)한다. 주머니길! 얼마나 정 다운 이름인가.  작년 펜데믹이 시작되던 즈음에, 골목 어귀 한 쪽의 숲을 갈아 없애고 자그마한 어린이 놀이터가 있는 공원이 생겼다. 이 골목길의 아이나 어른들은 저녁을 먹고 나면 공원에서 공도 차고 나...
김춘희
골목안의 풍경 2021.07.19 (월)
김춘희 / (사) 한국문협 밴쿠버 지부  우리 집은 막다른 골목 안에 있다. cul-de-sac(컬드싹), 한번 들어가면 나갈 길이 없다는 골목길. 나는 이 길을 주머니길이라 명명(明明)한다. 주머니길! 얼마나 정다운 이름인가.  작년 펜데믹이 시작되던 즈음에, 골목 어귀 한 쪽의 숲을 갈아 없애고 자그마한 어린이 놀이터가 있는 공원이 생겼다. 이 골목길의 아이나 어른들은 저녁을 먹고 나면 공원에서 공도 차고 나 같은 노인들은 산책도 한다. 공원이...
김춘희
두 친구 2021.04.27 (화)
김춘희 / ( 사 ) 한국문협  밴쿠버지부 회원  그의 생애의 기쁨은 어떤 것들이었을까 ?  가정을 이루었을 때, 첫 딸 아기를 안았을 때, 캐나다로 이민 온 후 아들이 태어났을 때... 그의 마음을 살펴본다.  낯선 남의 땅에 살면서도 소소한 기쁨이 많았을 것이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친구와의 만남의 인연을 첫 째 로   꼽아  본다 .     1979 년 이민 5 년 차 되던 그해 연말 부부 동반 동창회가 어느 동창 집에서 열렸다....
김춘희
천사와 별 2021.01.18 (월)
김춘희 / (사)한인문협 밴쿠버 지부 회원11월 마지막 주말이 되면 아들네는 모두 소나무 농장으로 나무를 사러 떠난다. 적당한 크기의 나무를 골라 톱으로 자르고 베어 차에 싣고 나면 어른들은 따근한 커피 아이들은  핫 쵸코릿을 사서 마시고  크리스마스 트리 쇼핑을 끝낸다.   거실에 사다리를 높이 올려 나무 끝까지 올라간 아들은 며느리와 아이들이 일러주는 대로 이리 저리 천사의 위치를 고정하고 장식 등을 키면 아이들은 나무...
김춘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