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돈도 사람도 떠난다, 홍콩 헥시트 공포

밴조선에디터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20-05-31 17:49

트럼프 "홍콩 특별지위 박탈절차 착수"… 中 "美에 당하지 않겠다"

홍콩을 둘러싼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커지면서 세계 금융 중심지인 홍콩에서 자본과 인력이 이탈하는 '헥시트(Hexit ·키워드)' 우려가 커지고 있다. 1960년대부터 중국과 미국·유럽을 잇는 무역·금융 가교이자 세계 최고 수준의 자유경제도시였던 홍콩의 미래가 점점 어두워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29일(현지 시각) "중국의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제정 강행에 대응해 홍콩의 특별지위 박탈 절차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지난 28일 중국의 홍콩보안법 제정 강행과 관련해 "중국은 일국양제(一國兩制·한 국가 두 체제) 원칙을 일국일제(一國一制)로 대체했다"며 "홍콩의 특별 대우를 박탈하는 절차를 시작하도록 행정부에 지시했다"고 말했다. 미국은 1992년 제정한 홍콩정책법에 따라 홍콩을 자치 지역으로 규정하고 무역, 외환 거래, 기술 이전, 비자 발급 등에서 중국 본토와 다르게 우대해왔고, 이런 특별 대우 덕분에 홍콩은 사회주의 국가인 중국과 달리 자본주의 체제를 유지하면서 아시아권을 대표하는 금융 허브로 성장했다. 그러나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구체적인 제재 내용을 밝히지는 않았다. 시간을 갖고 중국의 향후 조치를 살펴보며 대응 수위를 조절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작년 反中시위 희생자를 추모하며 - 홍콩 카우룽반도 프린스 에드워드 지하철역 인근에서 31일(현지 시각) 홍콩 시민들이 작년 중국 등으로 범죄인을 송환할 수 있도록 하는 ‘범죄인 인도 법안’에 반대하며 시위에 나섰다가 희생된 이들에게 꽃을 바치려고 기다리고 있다. 시민들 뒤쪽으로 경찰들이 서 있다. /AFP 연합뉴스

홍콩에 대한 우대 철회가 발표되자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중국인은 미국에 당하지 않을 것" "(미국의 홍콩 조치에 대해) 충분히 준비돼 있고, 강력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크게 반발했다. 인민일보 역시 중국의 구체적 조치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다. 미국과 중국이 힘겨루기를 하면서 서로를 의식하고 있는 것이다.

미·중의 패권 다툼이 홍콩으로 옮아붙으면서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홍콩에선 돈과 인재가 해외로 빠져나가는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작년 6월 홍콩 내 민주화 시위가 발생한 이후 홍콩 부자들과 외국인들은 약 50조원(400억달러) 예금을 홍콩에서 인출해 나갔다. 홍콩 최고 부자 리카싱(李嘉誠) 전 청쿵(長江)홀딩스 회장은 총재산 중 절반 이상인 17조원을 홍콩에서 빼내 영국·캐나다 등지로 옮겨놓은 상태다. 영국 경제분석기관 캐피털이코노믹스는 "미국이 홍콩의 특별 지위를 박탈한다면 국제 비즈니스 허브로서 홍콩의 지위는 빠르게 무너질 것"이라고 평가했다.

피터 처크하우스 홍콩 포트우드캐피털 이사는 "자본 이탈은 홍콩 내 부동산 등 수요를 약화하는 부작용으로 연결될 것이다"라고 예상했다. 최근 홍콩에선 자영업들이 파산하고 상업용 건물 매물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아파트 가격은 전년보다 40% 이상 하락했다.

홍콩 내 인력 유출도 가시화되고 있다. 영국 일간 가디언지는 "1997년까지 홍콩을 통치했던 영국 정부가 홍콩 인구의 약 40%에 해당하는 290만명에 대해 영국 시민권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지난 30일 보도했다.

영국은 앞서 중국이 홍콩 보안법을 제정할 경우, 영국 해외 시민 여권을 가진 홍콩인 30여만명에 대해 영국 체류 가능 기간을 6개월에서 12개월로 연장하고, 영국 시민권을 획득할 기회를 부여하겠다고 밝혔다. 그런데 적용 대상을 1997년 7월 홍콩이 영국에서 중국으로 반환되기 전에 태어난 290만명으로 확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홍콩인들에게 미국 영주권을 제공하자"며 "(홍콩) 젊은이들에게는 베이징에 저항할 용기를 부여할 것"이라고 했다.

홍콩에서는 실제 이민 문의가 급증하고 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31일 이민 컨설팅 업체를 인용, 중국이 홍콩 보안법을 제정하기로 결정한 이후 "이전에 볼 수 없는 수준"으로 이민 상담 문의가 쏟아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민 상담 업체 CEO인 앤드루 로는 이 신문에 "홍콩 보안법 제정이 결정되고 다음 날에만 100통 넘는 전화를 받았다"며 "사람들은 당장 내일이라도 떠날 수 있다고 한다"고 전했다.

☞헥시트(Hexit)

홍콩(Hong Kong)과 엑시트(exit)의 합성어로 해외 투자 자금의 홍콩 대이탈을 뜻한다. 최근 중국의 홍콩보안법 강행과 미국의 홍콩 특별 지위 박탈 조치 등으로 홍콩 정세가 불안해지면서 헥시트 우려가 커져, 세계 금융 중심지였던 홍콩의 위상도 흔들리게 됐다.

최형석 기자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해리스 대사 "미국은 자유롭고 다양성 보장되는 국가"주한미국대사관이 경찰관에 의해 사망한 흑인 조지 플로이드 사건으로 촉발된 미국 내 인종차별 반대 시위를 지지한다는 입장을...
8일 갑자기 사망한 피에르 은쿠룬지다 대통령/EPA 연합뉴스16년째 장기 집권중인 아프리카 브룬디의 피에르 은쿠룬지자(55) 대통령이 8일(현지 시각) 갑자기 사망했다. 일각에서는...
▲지난달 25일 체포 과정에서 플로이드의 목을 무릎으로 찍어 눌러 사망에 이르게 한 데릭 쇼빈(44). /AFP 연합뉴스흑인 조지 플로이드(46)의 목을 무릎으로 눌러 숨지게 한 전 미니애폴리스...
병원 주차장 사진 등 분석...중국 정부는 발끈
이르면 작년 여름(8월말), 중국 우한에서 처음으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이 발병했을 것으로 추정된다는 미 하버드 의과대학 연구 결과가 나왔다. 중국 정부가 첫 코로나 확진자가...
▲ 저신다 아던 뉴질랜드 총리. /AP 연합뉴스뉴질랜드 정부가 8일(현지 시각) 현재 확인된 국내 코로나 감염증 환자가 ‘0명’이라고 발표했다. 뉴질랜드는 오는 15일 공식적인 코로나...
가게가 시위대에 털린 김학씨가 1일(현지 시각) 자신의 매장에서 인터뷰를 하고 있다./CBS시카고백인 경찰이 비무장 흑인을 과잉 진압으로 숨지게 한 조지 플로이드 사건에 항의하는 시위가...
美경찰들이 무릎을 꿇었다, 시위대와 연대한다는 표시로 지난달 30일(현지 시각) 미국 플로리다주 코럴게이블스 시청 앞에서 경찰관들이 한쪽 무릎을...
흑인 남성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에 항의하는 폭력 시위가 미국 전역으로 퍼져 한인 사회의 피해가 잇따르면서 교민들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일각에선 1992년 로스앤젤레스(LA) 흑인...
트럼프 "홍콩 특별지위 박탈절차 착수"… 中 "美에 당하지 않겠다"홍콩을 둘러싼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커지면서 세계 금융 중심지인 홍콩에서 자본과 인력이 이탈하는 '헥시트(Hexit ·키워드)' 우려가 커지고 있다. 1960년대부터 중국과 미국·유럽을 잇는 무역·금융...
흑인 남성의 죽음에서 시작… 닷새째 시위 폭동과 약탈로 번져지난 30일(현지 시각) 테네시주(州) 내슈빌 시청. 흑인 남성 조지 플로이드가 백인 경찰의 강압적 체포 과정에서 목이 눌려 사망한 것에 분노한 시위대가 시청 창문을 깨고 들어갔다. 시위대는 '트럼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음 달 말로 예정됐던 주요7개국(G7) 정상회의를 9월로 연기하고, 이때 한국도 초청하겠다고 30일(현지 시각) 밝혔다.30일(현지 시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케빈 매카시 하원 원내대표와 함께 미국 플로리다주...
1, 2단 로켓 분리 성공1단로켓 바다에서 회수19시간 뒤 도킹 예정스페이스X우주탐사 기업 스페이스X가 민간기업 최초로 우주비행사를 국제우주정거장(ISS)으로 실어 나르는 유인 캡슐 ‘크루...
백인 경찰의 과잉 진압으로 목숨을 잃은 흑인 남성 조지 플로이드 사건으로 촉발된 시위가 미국 전역으로 확산하는 가운데 한 10대 청년이 시위 현장 인근에서 총격을 받고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30일(현지 시각) CNN 등에 따르면 미시간주 디트로이트 경찰은...
세계보건기구(WHO)를 겨냥해 연일 '중국 편파적'이라고 날을 세웠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결국 WHO와 모든 관계를 끊겠다고 밝혔다.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29일(현지 시각) 백악관 기자회견을 마치고 들어가려 할 때 한 기자가 질문하기 위해 손을 들고...
트럼프 대통령, 법무부와 FBI에 조사 지시 27일(현지 시각)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에서 조지 플로이드씨의 죽음을 추모하는 시민들이 집회를 갖고...
美, 국가 보고서인 대중국 전략 보고서 발표
2019년 6월 7일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연례 국제경제포럼 총회에서 참석자들과 악수를 하던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연단 아래로 떨어지려고 하자 보안요원이 시 주석을...
백인 경찰이 조지 플로이드씨의 목을 무릎으로 누르고 있는 장면./AFP 연합뉴스백인 경찰 아래 깔린 흑인 남성의 입에서 끊임없이 “숨을 쉴 수 없다”는 호소가 이어진다. 하지만 남성의...
아버지 찰스 왕세자가 경호비용 부담
▲ 작년 9월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린 한 스포츠 행사에서 해리(앞줄 오른쪽 둘째) 왕손이 활시위를 당기는 선수를 바라보고 있다./EPA 연합뉴스영국 왕실에서 독립한 해리(35) 왕손과 메건...
["중국의 홍콩 보안법 반대"… 코로나 이후 첫 대규모 시위]
美, 中기업 33곳 블랙리스트 올리며 "홍콩 특별지위 박탈할 수도"
中왕이 "내정간섭 용납못해"… 美中 전면전에 홍콩이 싸움터
▲ 24일(현지 시각) 홍콩 도심 코즈웨이베이에서 시민들이 중국의 홍콩 국가보안법 제정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한 시민(가운데)은 양손에 영국 식민지 시절 홍콩 국기와 미국...
여행 금지에 수입원 잃어···구조조정도 안 통해
▲ 미 렌터카 업체 허츠가 코로나19 확산으로 경영난에 시달리면서 파산보호신청을 했다. /허츠102년 역사를 지닌 미국 2위 렌터카업체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견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