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나는 YouTube와 사랑에 빠졌다”

김유훈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9-12-23 11:45

김유훈 / 한국문인협회 밴쿠버지부
2019년이 저물어 가고 있다. 해마다 연말이 되면 무언가 아쉬움이 남고, 무엇보다도 나의 모국 대한민국이 새해에는 큰 변화가 생겼으면하는 바램이다. 왜냐하면 지난 반세기 동안 우리의 세대가 열심히 일하여 일구어 놓은 선진 대한민국을 좌파 정부가 들어선 후 정치, 경제, 외교, 안보, 사회, 교육, 등등.. 전 분야를 망가트리고 있어 그 신음소리가 태평양을 건너 이곳까지 들리고 있다. 
지난 세월 우리는 가난을 몸소 겪으며 살았기에 온 국민이 잘 살아보자고 노력하였다. 그당시 나의 많은 친구들은 월남전에서 피를 흘리며 외화와 국군 현대화를 , 나는 뜨거운 사막아래 모랫 바람이 있는 중동에 나가 일했으며, 그리고 독일에는 간호원과 광부로 간 우리들의형과 누님들이 일하여 번 돈을 고국에 송금을 하였다. 또한 국내에서는 구로, 구미공단 등등 수출전진기지를 세워 우리나라를 수출대국으로 만든 결과 대한민국은 어느덧 세계 10위권의 경제대국이 되었다. 
그리고 지금은 SNS시대가 되어 수 많은 정보를 볼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우리 대한민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인터넷 망을 가진 나라로서세계의 정보 통신 분야를 선도하고 있는 중이다. 내가 트럭 운전 중 스마트 폰으로 YouTube를 볼 수 있다는 사실은 과거 그 어느 누구조차 상상할 수 없었던 일이다. 특히 손흥민선수가 뛴 월드컵 축구경기는 물론 유현진 선수의 야구경기를 보기도 하였다. 그리고 트럭 운전은 과거 회사와의 연락을 전화로 하였으나 지금은 스마트 폰으로 모든 정보를 주고 받는 방식으로 바뀌어 영어로 말 할 필요가 거이 사라졌다. 지금 스마트 폰은 현대인들에게 필수품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YouTube의 활용은 수 많은 정보를 마치 TV를 보듯이 볼 수 있어 내 나이 70에 신세대가 되었다. 그리고 과거와 달리 대한민국의 소식을 거의 실시간 볼 수 있어 좋은 점이 있지만 지금은 불안한 소식들이 너무 많아 해외에서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없어 안타까울 뿐이다.
지금 미국과 카나다의 도로위에 수 많은 기아, 현대의 자동차들, 외국인들의 손에는 삼성 갤럭시 폰을, 그리고 코스코와 백화점의 가전은LG라는 우리의 상표가 있어 해외 교민으로 우리나라 제품이라는 자부심이 생겼다. 이런 우리 대한민국이 어쩌다 전 세계 교민들이 걱정하고 매일 매일 고국의 소식에 귀를 기울려야 하게 되었는지?  
사실, 그동안 우리 대한민국이 너무 잘 나가고 있어 아무 걱정, 근심없이 지내고 있다가, 3년 전, 죄없는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 사건을 본후 부터  고국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지게 되었다. 그리고 박 대통령의 탄핵 과정을 보니 일부 잘못된 언론의 여론 조작과, 좌파 정치권의모략이란 것이 점점 사실로 드러나고 있다. 이런 사실은 가짜뉴스로 탄핵을 주도했던 공중파 방송이 아닌 YouTube방송에서 보도하고 있다. 더우기 현 정부 국정 책임자들이 부정과 비리를 마음대로 하는 것을 역시 YouTube에서 많이 찿아내어 보도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도 일부 공영방송에서는 이런 사실들을 상세히 보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언론의 사명은 커녕 공정성조차 버리고 있어이제는 국민들로부터 신뢰성을 잃어버렸다고 볼 수 있다. 다행히 지금은 YouTube시대가 되어 누구나 언론인이 될 수있게 되었다. 특히내부 고발자, 진짜 언론인 출신들, 법조인들, 그리고 대한민국을 사랑하는 모임 등등의 YouTuber들의 활약상이 정말 대단하다. 특히 내가출연 했던 “신의 한 수”와 “고성국 TV”는 물론 정규재 방송, 문갑식기자 등등…의 방송은 하루도 안 볼 수 없게 되었다.  
그러므로 나는 해외에 살고 있는 교민으로서 대한민국을 걱정하고 염려하는 마음으로 고국에서 방송되는 YouTube에서 눈을 뗄 수 없는일이다. 즉 내가 YouTube와 사랑에 빠진 이유는 내가 태어나고 자라난 곳, 나의 가족과 손자들이 살고 있는 곳이 공산화 되지않고 자유민주주의  대한민국으로 더욱 발전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며, 해외 교민으로서 대한민국을 아끼고, 걱정하며, 그리고 사랑하는 마음에서 나온것 임을 말하고 싶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나는 해외 교민이며 대한민국 사람으로서 그 정체성을 한번도 잊은 적이 없다.그래서아침에 눈을 뜨면, 고국의 소식에 눈과 귀를 기울이며 살아온지 어느덧 30년이 흘렀다.내가 그동안 트럭을 타고 미국과 카나다 전역을 돌아 다닐 때 과거엔는 CD를 통하여한국의 가요를 들으며 외로움을 달랠 수 있었다. 다행히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인해YouTube를 볼 수 있게되어 고국의 소식을 소상하게 보고 듣게 되었으며 실시간 댓글로의사를 소통할 수 있음은 우리...
김유훈
김유훈 / (사)한국문협 밴쿠버지부 회원해외에서 바라본 대한민국은 대단한 국가이다.  불과 60 여년만에  전세계 가장 가난한 나라에서 세계 10위의 경제대국이  되었다.우리의 어린시절 6.25 전쟁 이후 대부분이 가난했고 서울의 청계천과 산동네에는 판자촌이 대부분이였다.  지금 청계천 주변에는 고층빌딩들로, 판자촌은 고층아파트  마을들로 변한 모습은 고국을 방문할  때마다 감회가 새롭다.이렇게 대한민국의 역사가...
김유훈
무작정 상경 2021.05.03 (월)
김유훈 / (사) 한국문협밴쿠버지부 회원 “무작정 상경” 이란 말은 과거 한국이 가난했던 60-70년대에 흔히 쓰이던 표현이다.농촌 인구가 80%가 넘었을 시절 가난을 벗어나고자 많은 사람들이 고향을 등지고 더 나은 삶을위해 서울과 대도시로 일터를 찾아 떠났다.  그리고 이 시절 “쨍하고 해뜰 날”이란 노래를  부르며 온갖 고생 끝에 자리를 잡게 된 사연들이수없이 많이 있다....
김유훈
김유훈(사)한국문협 밴지부우리의 학창시절에 반드시 외워야했던 국민교육헌장은  “우리는 민족 중흥의 역사적 사명을 띠고 이 땅에 태어났다…”하며 시작되었다. 그 당시만 해도 절대 빈곤의 가난한 나라를 일으켜 잘 사는 것이 온 국민들의 꿈이며 희망이였다. 그리고 “새마을 노래”와 “잘 살아 보세”란 노래를 방방곳곳에서 전 국민이 부른 결과 대한민국은 민족이 중흥되었고 잘 살게 되었을 뿐 만 아니라 지금은 세계적인 나라가 되었다...
김유훈
김유훈(사)한국문인협 밴쿠버 지부 회원 한 해의 끝자락에서 돌이켜보니, 금년은 내가 살아오며 한 번도 경험해 본 적이 없는 시간을 지나온 것 같다. 중국 바이러스(covid-19)로 인해 전 세계가 공포속에서 지내며 수 많은 희생자들이 나왔다. 특히 소규모 자영업자들, 각종 운동선수들은 물론 공연 기획자들과 많은 연예인들에 이르기 까지, 그리고 국경을 폐쇄하여 사람들이 오갈 수 없어 여행업계는 거의 파산직전에 이르렀다. ...
김유훈
내가 지금가지 살아오면서 금년 (2020)처럼 온 세상이 혼란했던 기억은 없었다. 지난 해부터중국에서 부터 시작된 우환 폐렴(Covid-19)이라는 역병이 전 세계를 휩쓰는 까닭에 나라마다 큰어려움에 빠졌다. 미국과 카나다를 오가는 길까지 막혀버린 이때에 다행히 생활 필수품을 실은트럭들은 국경을 오갈 수 있지만 내가 속한 회사는 목재 등 건설자재를 나르는 회사인 까닭에물동량이 확 줄어들어 나는 트럭의 핸들을 잠시 놓고 지내게 되었다.그동안...
김유훈
     연극의 3대 요소를 희곡, 배우, 그리고 관객이라 한다. 특히 관객을 말하려면 무대가 필수적으로 따르게 되어있다. 이는 오늘날의 배우, 가수, 그리고 목사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이들에게는 공통점이 있다. 즉 배우의 시나리오, 가수의 노랫말, 목사의 설교 노트가 희곡에 해당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무대에  관객이 있어야 배우는 연극을, 가수는 신이 나서 노래 할 수 있으며, 목사는 교인들이 많이 있으면 더 힘 있고 영적인...
김유훈
아내의 취미생활 2020.03.31 (화)
 금년은 나의 결혼 40주년이 되는 해이다.  23살의 새색시가 어느덧 환갑을 훌쩍 넘긴 할머니가 되었다. 그리고 아내는 지금도 변함없이 열심히 많은 일을 하고 있다. 지난  20년 넘게 직장생활을 하였으며 은퇴 후, 지금은 작은 스모크 숍을 운영하고 있다. 아내는 이렇게 바쁘게 살고 있지만 쉬지 않고 취미생활을 하고 있다.   과거 한국에서는 목사 사모로 일은 안 했지만 취미생활은 열심이었다. 지점토 공예, 수채화 그리기, 그리고...
김유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