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최종수정 : 2019-12-11 10:59

정목일 / 캐나다 한국문협 고문
글을 한 편 쓰면 아내나 아이들에게 슬며시 한 번 읽길 청한다. 반응을 보고 싶어서이다. 영국의
대시인 쉴러도 밤새워 한 편의 시를 쓰면 가정부에게 읽게 하고 소감을 물어보았다고 한다. 시를
모르는 가정부가 비평가의 안목일 수는 없으나 가정부에게 만족감을 주지 못한다면 좋은 시가 되지
못할 것이라는 생각에서 반응이 신통치 않으면 몇 번이나 고쳐 썼다고 한다.
 
가족에게 글을 한 번 읽어 주길 청할 때, 첫 번째 독자라고 생각하기는커녕 갑자기 심드렁한 기색을
보이거나 난색을 보이기도 한다. 이럴 때 기분이 좋을 리 만무하다. 우격다짐으로 글을 읽어봐 달라고
사정하기도 곤란하여 포기해 버린 지 오래다. 어떤 때는 눈치를 살펴가며 슬그머니 원고를 내놓고
표정을 살피지만 너무나 사무적인 태도로 “괜찮다”, “그저 그렇다”는 등의 말을 뱉아 내고 얼른
자리를 피하고 만다. 섭섭하지만 어쩔 수가 없다. 제 글을 잘 봐주지 않는다고 화낼 수는 없는 노릇이
아닌가.
 
어머니가 살아 계셨을 적의 일이다. 어느 날 아침, 어머니께서 들뜬 목소리로 “이리 와 보거라. 난초
꽃이 피었어!” 하고 감격에 겨워 손뼉을 치면서 환호하셨다. 나와 아내는 난초 화분을 바라보며
덤덤하게 “예쁘네요”라고 말해 주었을 뿐 더 이상의 관심을 나타내지 않았다. 어머니는 우리를
돌아보시며 섭섭하신 듯했다.
 
내가 가장 곤혹스러워하는 것 중 하나는 아내와 백화점에 가는 일이다. 양복을 한 벌 사야 할 경우엔
아내를 따라 백화점에 가서 옷을 골라야 하는데 여간 신경 쓰이는 일이 아니다. 몇 개의 점포를
들러야 하고, 옷을 입어보고 벗어야 하는 일, 유행과 색깔과 개성 따위를 따지는 일에 그만
지쳐버리고 만다. 어떤 때는 양복 한 벌을 사는 동안 기분이 축 늘어져 죽을 맛이 되기도 하고,
말다툼으로 번지기도 한다. 또 그릇점에서 사지도 않으면서 이것저것을 살펴보며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빠져 있을 땐 ‘남자가 여기서 무얼 하고 있는가?’ 민망하고 쑥스러워진다. 꾹 참고
기다려보지만 더 이상 앞에 서 있기도 서먹하고 무료해서 찻집에 가 있겠다는 말을 하곤 자리를 피한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
 

우리는 자신의 일에만 빠져 타인의 일에 무관심하기가 일쑤다. 타인이 자신의 일에 관심을 가져 주길
원하면서도 타인의 일엔 냉담하거나 관심 밖이다.  내가 밤새워 글 한 편을 써주고 자존심도 버리고
한 번 읽어봐 주길 간청하는 것을 식구들이 외면해도 무심하다고 여길 일도 아니다. 내가 한 작품을
쓰기 위해서 얼마나 애정을 쏟았는지, 밤중에 홀로 집중력을 불어넣었는지 그들은 알지 못한다.
 
어머니께서 정성을 다해 난초를 길러왔으니 꽃이 핀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해 오지 않았는가. 날마다
난초를 보면서 시름을 달래고 마음을 다스리면서 한 송이 꽃을 피우고자 하셨다.  난초 꽃을 보시고
환호한 것은 어머니의 사랑과 관심으로 한 송이의 꽃이 피어났기 때문이다. 일 년 만에 꽃망울을
터뜨린 것을 보고서 혼자 보기가 아까워 식구들에게 함께 보자고 했던 것이다.
 
아내가 백화점 그릇점에서 발을 멈추고 눈빛을 반짝이며 오래 머무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마음에
드는 그릇들을 발견하면서 속으로 탁자 위에 놓아 보고, 그 위에 음식을 담고, 같이 있을 사람들을
그려보는 순간이다. 도자기 그릇들을 보면서 식구들과 함께 음식을 먹는 장면을 떠올리면서 행복감에
잠기는 것이다. 그래서 값이 얼마나 비싼 지, 우리 형편에 무리라는 것을 뻔히 알면서도 달콤한
행복감을 사고 싶어한다. 나도 이런 마음을 짐작하지만 무관심으로 일관하곤 했다.
 
살아가면서 마음을 나타내는데 인색하고 무관심할 때가 많다. 가족들이 어쩌다 내 원고를 읽어주면서
내키지는 않아도 가끔씩 감탄을 발하고, 이런 대목엔 이랬으면 어떨까? 슬며시 관심을 나타내 준다면
얼마나 위로를 받을 것인가. 난초 꽃을 피운 팔순 노모에게 “어머니, 축하해요! 너무나 아름다워요”
이런 감탄 섞인 인사말을 한 번 건네지 못한 것이 송구스럽고 민망할 뿐이다. 어머니 생전에 왜 그런
마음이 열리지 않았단 말인가. 감탄해야 할 순간인 데도 무관심하였던 일이 두고두고 후회스럽기만
하다. 그런 기회는 두 번 다시 오지 않는다는 걸 미처 몰랐다.
 
백화점에 같이 가자는 아내의 말을 이젠 고깝게 여기지 않는다. 그릇점에 오래 머물면 “찻잔이
우아하다”는 말을 아끼지 않으련다.  사랑은 무관심이 아니라 공감의 발견이 아닌가. 공감과 감탄이
있어야 사랑이 꽃피는 것임을 어렴풋이 알 것만 같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잎에게 2020.06.29 (월)
꽃들은 세상을 장식하지만잎들은 세상을 바꿔버린다꽃은 한순간의 영화잎은 세상의 빛깔꽃은 사랑이지만잎은 생명 그 자체꽃에 홀리곤 했지만그대는 언제나 나의 잎이었다
정목일
무관심 2019.12.11 (수)
글을 한 편 쓰면 아내나 아이들에게 슬며시 한 번 읽길 청한다. 반응을 보고 싶어서이다. 영국의대시인 쉴러도 밤새워 한 편의 시를 쓰면 가정부에게 읽게 하고 소감을 물어보았다고 한다. 시를모르는 가정부가 비평가의 안목일 수는 없으나 가정부에게 만족감을 주지 못한다면 좋은 시가 되지못할 것이라는 생각에서 반응이 신통치 않으면 몇 번이나 고쳐 썼다고 한다. 가족에게 글을 한 번 읽어 주길 청할 때, 첫 번째 독자라고 생각하기는커녕...
정목일
2019.08.26 (월)
심심하니 껌이나 씹어볼까. 여행하기 전에 가끔 껌을 사기도 했다. 입에 넣으면달콤해진다. 간편한 위안이다. 스트레스도 씹어본다. 딱딱, 쩍쩍, 그냥 심심풀이다. 사실심심풀이란 심오한 말이다. 잡다하고 혼탁한 마음을 풀어본다는 것이니, 그런 경지가 되려면명경지수(明鏡之水) 같은 심사가 돼야 한다. 마음의 때와 얼룩을 깨끗이 씻어내 영혼이 비춰보여야 한다. 마음에 매화 향기가 나야 한다.그냥 껌을 씹는다. 아무 생각 없이 입을 움직인다....
정목일
봄의 촉감 2019.04.04 (목)
(1) 수양버들누가 가야금을 뜯고 있다.맑은 진양조(調) 가락이 흐른다. 섬섬옥수가 그리움의 농현(弄絃)으로 떨고 있나 보다.숨죽인 고요 속에 번져 나간 가락은 가지마다 움이 터서 파릇파릇 피어나고 있다.누군가 촛불을 켜고 있다.마음 한 가운데 촛불은 바람도 없이 파르르 떨고 있다. 뼈와 살을 태워서 한 줄기 빛이길바라고 있다.깊은 밤중에 한 땀 씩 수(繡)를 놓고 있다. 바늘귀로 임의 얼굴을 보며, 오색실로 사랑을물들이면 별이 기울고 바람이...
정목일
하늘이 잿빛으로 내려와 있다. 버스정류장에 벌써 몇 대의 버스가 서고 지나갔지만 마을 앞엔 한 사람도 내리지 않는다. 도로 위에 돌개바람이 불어 먼지와 티끌들을 공중으로 말아 올린다. 겨울의 황량한 바람이 스쳐가고 있다.'어쩌면 첫눈이 내리려나?’숙이는 창문에 눈을 대고 바깥 풍경을 하염없이 바라본다. 감나무와 대추나무가심하게 흔들리며 바람 소리를 낸다. 참새 떼들이 몸을 떨며 공중으로 사라진다.숙이는 교회당에 가기 위해...
정목일
새해인사 2019.01.08 (화)
새해에는 평범함의 은덕을 알게 해 주소서 사소함의 기쁨을 알게 해 주소서 그 동안 못 만났던 사람들의 손을 잡게 해 주소서 보통의 즐거움을 갖게 해 주소서 풀꽃들과 대화하게 해 주소서일상의 발견과 이 순간의 깨달음을 얻게 하소서 떠오르는 해돋이처럼 경건하게 하루를 맞이하고 지는 해넘이처럼 장엄하게 하루를 장식하게 하소서 나무처럼 하루하루를 살게 하소서
정목일
한지방문 2018.11.02 (금)
우리 나라 아침은 한지 방문으로부터 온다.희끄무레한 여명이 물들어 있는 한지 방문을 보면서 아침이 온 것을 알게 된다. 한지 방문은정결하고 고요롭다. 세상에서 가장 먼저 밝아오는 아침의 서기와 명상이 어려 있다.유리창처럼 빛을 투과하지 않고 머물게 하는 것은 한지 방문밖에 없을 듯하다. 아침 빛을맞아들이고 그 표정을 보여줌으로써 평화와 맑음을 준다. 한지 방문은 빛을 품어 광명을 안게 한다. 지난날의 어둠과 근심을 지워버리고 새...
정목일
달 항아리 2018.07.09 (월)
  달 항아리를 보면 달빛의 맑은 도취 속에 빠진다. 달빛 속의 미인이나 꽃은 더 어여쁘고 향기롭다. 햇빛은 사물의 분명한 모습을 드러내지만, 달빛은 마음까지 닿아 오는 여운(餘韻)을 준다.  달 항아리를 보면 불현듯 조선 중엽의 달밤 속에 있는 듯하다. 달은 농경시대에 우주의 중심, 마음의 한가운데에 있었다. 농사일이나 살아가는 일이 달의 주기에 맞춰 이뤄졌다 한국인의 마음속에는 보름달이 떠 있었다. 달은 해보다 유약해 보이지만,...
정목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