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한지방문

정목일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8-11-02 16:32

정목일 / 캐나다 한국문협 고문
우리 나라 아침은 한지 방문으로부터 온다.
희끄무레한 여명이 물들어 있는 한지 방문을 보면서 아침이 온 것을 알게 된다. 한지 방문은
정결하고 고요롭다. 세상에서 가장 먼저 밝아오는 아침의 서기와 명상이 어려 있다.
유리창처럼 빛을 투과하지 않고 머물게 하는 것은 한지 방문밖에 없을 듯하다. 아침 빛을
맞아들이고 그 표정을 보여줌으로써 평화와 맑음을 준다.
 
한지 방문은 빛을 품어 광명을 안게 한다. 지난날의 어둠과 근심을 지워버리고 새 기분으로
하루를 열게 한다. 드러나지 않고 은근하게, 눈부시지 않고 환하게, 번쩍거리지 않고
삼삼하게, 마음을 채워준다. 한지 방문은 빛을 여과시키고 함축시켜 담담하게 드러낸다.
한지 방문이야말로 우리 민족이 빛의 표정을 볼 수 있게 한 지혜의 꽃이 아닐까.
 유리창은 사물을 분명히 볼 수 있게 한다면, 한지 방문은 빛의 표정과 숨결을 느끼며
사색의 시간을 갖게 만든다. 숨쉬고 있는 이 순간의 소중함을 일깨워 준다. 시간의 흐름을
보여주며 빛의 미학을 펼쳐 보인다.
 
한지 방문엔 달빛이 찾아온다. 달빛을 머금는다고나 할까, 달빛에 젖는다고나 할까, 달빛과
만나 포옹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벌레는 무슨 말을 사방연속무늬로 늘어놓고, 바람은
나뭇가지를 흔들어 댄다. 소리만 들리는 게 아니다. 신록 향기와 들꽃 향기도 스며온다.
 바깥을 내다 볼 순 없지만 더 세심하게 느끼고 교감할 수 있는 문이다. 안과 밖 만이 아니라
찰나와 영원, 자연과 인간의 통로가 된다. 차단과 밀폐가 아닌 조화와 교감을 위한 문이다.
빛의 표정에 눈맞추고 바람과 풀벌레의 소리에 귀대고 있는 한지 방문, 닫혀 있는 게 아니라
자연 속으로 열려 있으며 숨쉬고 있는 문이다. 바깥을 보는 게 아니라 마음을 보는 문이다.
 

조선 오백 년 동안 우리 겨레가 백자(白瓷)만을 추구해온 것은 한지 방문의 한없이 맑고
환한 표정 때문이리라. 우리 민족 이외엔 순백색만을 오백 년 동안 탐구한 민족은 없다.
백자, 한지 방문은 빛으로 반사 시키지 않고 안으로 머금어 품어내므로 그윽하고도
고요초롬하다. 다름 아닌 해와 달이 내는 영원의 빛깔이기 때문일 것이다. 무채색이지만
삼라만상의 모든 빛깔을 다 함축하고 있으며 정화된 빛이기에 한없이 빠져들었고 평안을
얻었다. 여명이 물든 한지 방문, 달빛 젖은 방문을 바라볼 때는 선(禪)의 세계에 빠져들게
한다. 우리 마음을 채워주는 생명의 빛, 평화의 빛, 환희의 빛이기 때문이리라.
 
한지 방문엔 밤늦도록 주무시지 않고 나를 기다리는 어머니의 모습이 투영돼 있다. 내
발걸음 소리 들으려고 귀를 기울이며 책을 읽고 계시는 어머니의 모습이 내 가슴에 새겨져
있다. 잔기침을 하면서 책을 읽으시던 어머니의 방문 그림자가 내 열여섯 살 적 가을 달빛과
함께 남아 있다. 한지 방문이 비어있는 것처럼 너무 적적해 보여서일까. 한 쪽에 구절초
꽃잎이나 단풍잎을 붙여놓는 경우도 있다. 다닥다닥 붙이지 않고 한 켠에 한두 잎쯤 붙여
심심파적(深深破寂)으로 단조로움을 면해 보자는 심사일 것이다. 북풍한설(北風寒雪)에도
지지 않는 꽃과 단풍잎을 보면서 겨울을 보내자는 것이다.
 
한지 방문엔 문풍지가 운다. 겨울철의 문풍지는 '우는'것이 아닌 '떨림'이다. 한파에 떨고
있는 모든 것들의 모습을 보는 듯 하지만, 문풍지 울리는 소리를 들으며 온돌방의 안온함에
안기게 한다.
 한지 방문은 가로 세로 짜인 나무 문 살의 단아한 모습을 보여 준다. 직선들이 쭉쭉
뻗어나가 교차하면서 작은 정사각형들을 만든다. 한지 방문의 문 살엔 한글의 자모가
들어앉아 있다. ㄱ, ㄴ, ㄷ, ㄹ, ㅁ, ㅂ자가 눈에 띄며 'ㅅ'자를 찾기가 난감하지만 'ㅇ'자나
'ㅎ'자는 방문고리를 보면 수긍이 된다. 흰 방문에 검고 둥근 무쇠 문고리가 달려 있어 묘한
대조를 이룬다. 직선미와 곡선미가 어울리고 흑과 백이 만나고 있으며, 누군가 금방이라도
문고리를 잡아당길 듯한 여운을 준다. 기다림의 미학과 은근함을 품고 있다.
 민족의 문자(文字)가 민족사상과 문화를 낳은 어머니라면, 한지 방문 또한 한국사상과
문화를 낳은 산파역할을 한 것은 아니었을까. 고요한 아침의 나라, 맑고 깨끗함을 추구해온
민족정서의 바탕이 되게 한 한지 방문---.
 
언제나 맑고 성스런 마음으로 아침을 맞고 깨끗하고 밝은 마음으로 하루를 보내고자 하는
우리 민족의 표상이 아닐까. 한국인의 여유, 깨끗한 마음, 심오한 사상은 빛을 머금어 매화
꽃 빛 같은 표정을 지닌 한지 방문을 보면서 살아오는 동안 싹트고 피어난 것이 아닌가 한다.
 나는 한지 방문을 물들이는 햇빛을 보면서 하루를 맞고, 한지 방문을 적시는 달빛의 명상을
보면서 하루를 거두고 싶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잎에게 2020.06.29 (월)
꽃들은 세상을 장식하지만잎들은 세상을 바꿔버린다꽃은 한순간의 영화잎은 세상의 빛깔꽃은 사랑이지만잎은 생명 그 자체꽃에 홀리곤 했지만그대는 언제나 나의 잎이었다
정목일
무관심 2019.12.11 (수)
글을 한 편 쓰면 아내나 아이들에게 슬며시 한 번 읽길 청한다. 반응을 보고 싶어서이다. 영국의대시인 쉴러도 밤새워 한 편의 시를 쓰면 가정부에게 읽게 하고 소감을 물어보았다고 한다. 시를모르는 가정부가 비평가의 안목일 수는 없으나 가정부에게 만족감을 주지 못한다면 좋은 시가 되지못할 것이라는 생각에서 반응이 신통치 않으면 몇 번이나 고쳐 썼다고 한다. 가족에게 글을 한 번 읽어 주길 청할 때, 첫 번째 독자라고 생각하기는커녕...
정목일
2019.08.26 (월)
심심하니 껌이나 씹어볼까. 여행하기 전에 가끔 껌을 사기도 했다. 입에 넣으면달콤해진다. 간편한 위안이다. 스트레스도 씹어본다. 딱딱, 쩍쩍, 그냥 심심풀이다. 사실심심풀이란 심오한 말이다. 잡다하고 혼탁한 마음을 풀어본다는 것이니, 그런 경지가 되려면명경지수(明鏡之水) 같은 심사가 돼야 한다. 마음의 때와 얼룩을 깨끗이 씻어내 영혼이 비춰보여야 한다. 마음에 매화 향기가 나야 한다.그냥 껌을 씹는다. 아무 생각 없이 입을 움직인다....
정목일
봄의 촉감 2019.04.04 (목)
(1) 수양버들누가 가야금을 뜯고 있다.맑은 진양조(調) 가락이 흐른다. 섬섬옥수가 그리움의 농현(弄絃)으로 떨고 있나 보다.숨죽인 고요 속에 번져 나간 가락은 가지마다 움이 터서 파릇파릇 피어나고 있다.누군가 촛불을 켜고 있다.마음 한 가운데 촛불은 바람도 없이 파르르 떨고 있다. 뼈와 살을 태워서 한 줄기 빛이길바라고 있다.깊은 밤중에 한 땀 씩 수(繡)를 놓고 있다. 바늘귀로 임의 얼굴을 보며, 오색실로 사랑을물들이면 별이 기울고 바람이...
정목일
하늘이 잿빛으로 내려와 있다. 버스정류장에 벌써 몇 대의 버스가 서고 지나갔지만 마을 앞엔 한 사람도 내리지 않는다. 도로 위에 돌개바람이 불어 먼지와 티끌들을 공중으로 말아 올린다. 겨울의 황량한 바람이 스쳐가고 있다.'어쩌면 첫눈이 내리려나?’숙이는 창문에 눈을 대고 바깥 풍경을 하염없이 바라본다. 감나무와 대추나무가심하게 흔들리며 바람 소리를 낸다. 참새 떼들이 몸을 떨며 공중으로 사라진다.숙이는 교회당에 가기 위해...
정목일
새해인사 2019.01.08 (화)
새해에는 평범함의 은덕을 알게 해 주소서 사소함의 기쁨을 알게 해 주소서 그 동안 못 만났던 사람들의 손을 잡게 해 주소서 보통의 즐거움을 갖게 해 주소서 풀꽃들과 대화하게 해 주소서일상의 발견과 이 순간의 깨달음을 얻게 하소서 떠오르는 해돋이처럼 경건하게 하루를 맞이하고 지는 해넘이처럼 장엄하게 하루를 장식하게 하소서 나무처럼 하루하루를 살게 하소서
정목일
한지방문 2018.11.02 (금)
우리 나라 아침은 한지 방문으로부터 온다.희끄무레한 여명이 물들어 있는 한지 방문을 보면서 아침이 온 것을 알게 된다. 한지 방문은정결하고 고요롭다. 세상에서 가장 먼저 밝아오는 아침의 서기와 명상이 어려 있다.유리창처럼 빛을 투과하지 않고 머물게 하는 것은 한지 방문밖에 없을 듯하다. 아침 빛을맞아들이고 그 표정을 보여줌으로써 평화와 맑음을 준다. 한지 방문은 빛을 품어 광명을 안게 한다. 지난날의 어둠과 근심을 지워버리고 새...
정목일
달 항아리 2018.07.09 (월)
  달 항아리를 보면 달빛의 맑은 도취 속에 빠진다. 달빛 속의 미인이나 꽃은 더 어여쁘고 향기롭다. 햇빛은 사물의 분명한 모습을 드러내지만, 달빛은 마음까지 닿아 오는 여운(餘韻)을 준다.  달 항아리를 보면 불현듯 조선 중엽의 달밤 속에 있는 듯하다. 달은 농경시대에 우주의 중심, 마음의 한가운데에 있었다. 농사일이나 살아가는 일이 달의 주기에 맞춰 이뤄졌다 한국인의 마음속에는 보름달이 떠 있었다. 달은 해보다 유약해 보이지만,...
정목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