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공립학교도 선택해서 간다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00-00-00 00:00

BC주 교육부, 교육 개혁 정책 발표...학부모 학교 선택권 허용
앞으로 학부모들과 학생들이 학교를 선택해서 다닐 수 있게 됐다. 크리스티 클락 BC주 교육부 장관은 17일 밴쿠버 상공회의소에서 학부모와 학생들에게 학교 선택권을 부여하고 각 교육청의 자치권을 확대하는 내용을 포함한 공교육 개혁 정책을 발표했다.

클락 장관의 4대 교육 개혁 정책 중 가장 파격적인 것은 학생들이 해당 교육청 내에서 원하는 학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는 방침이다. 그 동안 학생들은 자신의 주소지에 따라 정해진 학교에만 입학이 허용되어 왔다.

클락 장관은 \"학생들이 해당 교육청 안에서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학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그것이 \'선택\'의 진정한 의미일 것\"이라고 밝혔다.

주정부 교육부는 또 8월부터 각 교육청과 학생들의 성적을 일정 수준 이상 달성하겠다는 책임 계약(Accontability Contract)을 체결할 방침이다. 계약 내용은 추후 공개될 예정이다. 클락 장관은 \"각 교육청이 목표 달성을 하지 못했다고 해서 문책을 하지는 않을 방침이지만 이 정책이 교육청에 동기 부여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클락 장관은 또 현재 1년 단위로 집행되고 있는 교육청의 예산 운영 기간을 3년으로 늘려 효율성을 높이고 각 교육청의 예산 집행 자율권을 확대할 방침이며 현재 학생수에 따라 책정되고 있는 교육 예산 책정 방식도 변경할 계획이다.

또한 클락 장관은 교사 연합의 강한 반발에도 불구하고 교육을 필수 서비스로 지정할 것이라고 다시 한번 못박았다. 클락 장관은 \"학생들의 교육보다 어른들의 이해관계가 더 우선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과 맞설 준비가 되어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교육 개혁 정책 발표에 대해 교육계와 학부모들의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우선 BC교사연합은 주정부가 교육 필수 서비스 지정을 고수한 것에 대해 강한 불만을 제기했다. 또 학생들이 학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에 대해 일부 교육청들은 학부모에게 선택권을 허용할 경우 특정 학교에만 학생들이 몰리고 일부 학교는 소외 당하는 사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그러나 학부모들은 학생들의 이익을 우선으로 하는 교육부의 개혁 정책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