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신록의 계절

정목일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8-03-20 08:51

정목일 / 캐나다 한국문협 고문
우리나라 사월 중순부터 오월 중순까지 한 달쯤의 신록기(新綠期)엔 그 어떤 꽃들도 빛날 순 없다. 
색채나 빛깔에 신비, 장엄, 경이라는 왕관을 씌운다면 꽃이 아닌 신록에만 해당되지 않을까 싶다. 장미, 모란, 국화, 튤립 등은 화려, 우아, 매혹, 황홀이란 공주가 쓰는 관쯤이면 될 것이다. 신록은 신이 낸 빛깔이어서 스스로 햇빛을 끌어당기고 향유를 바른다. 신록은 탄생의 빛깔이다. 볼 때마다 빛깔들이 꿈틀거리고 새로워진다. 
산이 국토의 70%를 차지하는 우리나라에선 어디로 가나 숲을 볼 수 있다. 산엔 소나무가 가장 많지만, 수많은 나무들이 어울려 산다. 외국처럼 특정한 나무들로만 숲을 이루고 있지 않아서 봄․가을엔 색채의 향연 속에 빠지게 만든다. 수목의 종류가 많기 때문에 신록과 단풍의 색채가 다양하고 아름답기가 세계에서도 으뜸이 아닐까 한다. 
신록기의 산과 숲에선 수백의 초록이 한데 넘실거린다. 엇비슷하면서도 다른 미묘하고 섬세한 초록 빛깔들은 도대체 몇 가지나 될까. 나무들의 수효보다 많을 듯하다. 한 나무일 지라도 오래 된 잎과 새 잎의 빛깔이 다르다. 널찍한 잎, 좁직한 잎, 바늘잎의 빛깔이 서로 차이가 난다. 한 잎이라 할지라도 앞뒤의 빛깔이 사뭇 다르다. 바람에 흔들리며 잎의 빛깔들이 반짝거린다. 새들도 오래 동안 말문을 닫고 지내다 신록 속에서 새로운 말들을 주고받는다. 신록기의 산과 들은 색채로 넘쳐나는 신명, 그 자체다. 
청 단풍은 푸르무레, 전나무 구상나무는 푸르스레, 산수유 생강나무는 푸르초롬, 느티나무는 푸릇푸릇, 참나무는 푸르딩딩, 소나무는 검푸레하다. 나무들은 금방 산부(産婦)의 몸에서 생겨난 빛깔들을 띠고 있다. 순산(順産)의 빛깔이라 할까. 갓난아기처럼 젖 내음을 풍기고 피부는 햇살에 비춰 보일 듯 맑고 여리다. 보드랍고 천진스러워 볼을 대고 입 맞추고 싶다. 
초록 빛깔 속에도 강약(强弱)이 있고, 농담(濃淡)이 있다. 명암(明暗)이 있고 원근(遠近)이 있다. 나무들마다 빛깔들로 군락을 이뤄 둥글게 혹은 편편하게 자리를 잡고 있다. 그 군락들이 뒤섞여서 녹색의 구름 밭이 되고 파도가 된다. 
신록기의 나무들을 보면 하나씩의 초록빛 분수가 되어 뿜어 오른다. 오래 동안 참았던 그리움을 맘껏 펼쳐내고 있다. 빛깔들은 하늘과 사방으로 평창하고 있다. 초록 풍선처럼 부풀어 오르는 모습이다. 신록기의 시시각각으로 살아 움직이는 초록 빛깔을 화가는 어떻게 화폭에 담아낼 수 있을까. 변하지 않는 바위산은 잘 그려낼 수 있지만, 볼 때마다 새로워지는 신록기의 산과 들판을 어떻게 그려낼 수 있을 것인가. 나무들도 있는 힘을 다하여 신록을 펼치지만, 햇빛과 바람과 기후, 천지 기운이 함께 힘을 합쳐 내는 생명의 광채를 인간의 능력으로 어떻게 그려낼 수 있단 말인가. 수백, 수천의 미묘한 초록 빛깔들을 어떻게 채색한단 말인가. 
신록기엔 누가 천지 가득한 초록 오케스트라를 지휘하고 있는 것일까. 이 세상에 보지 못했던 선(線)과 색채들의 영혼을 깨워서 축복과 찬미의 신비음(紳秘音)을 내는 것일까. 나무들은 자신들의 군락마다 다른 악기들을 들고 있다. 단색(單色)이 아닌 기기묘묘하고 무한 음역의 초록 악기들이 지휘자의 손을 따라 움직이고 있다. 신이 내는 오묘하고 깊은 선율이다. 황홀하고 청신한 신록의 대 오케스트라를 감상할 수 있는 것이야말로 신록기만이 누릴 수 있는 축복이다. 신록을 통해서 세상은 다시 태어나고 새로워진다. 잎눈에서 초록의 빛깔들이 깨어나는 것이 깨달음이 아닐까. 
인생의 신록기는 16~25 세쯤이 아닐까 한다. 이 시기는 미지의 세계에 대해 꿈꾸는 때이다. 내 신록기는 아버지를 여의고 소년 가장이 되어 시련과 방황 속에 지나갔다. 그러나 가슴 속에 신록의 꿈만은 잃지 않았다. 
신록기엔 내 몸에서도 잎눈이 피어나서 순결한 기운이 흐르는 듯 눈이 맑아지고 마음이 푸르러진다. 잎눈에서 막 벌레처럼 기어 나온 듯 움직이는 빛깔, 탄생의 거룩한 광채, 환희로 넘치는 생기발랄의 초록을 본다 
신록이야말로 축복의 표정이요 찬미의 노래다. 꿈과 성장을 예비하는 은총의 기도이다. 우리에겐 이 신록기가 있어 마음을 순치시켜 주고 가슴을 설레게 만든다. 사계(四季)가 있고 산이 많은 나라에서 사는 사람들에게 하늘이 내리는 특별한 은총이 아닐 수 없다. 
신록을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가슴이 벅차고 살아있음이 너무 행복하다. 신록기엔 나도 한 그루 나무가 되어 하늘을 향해 마음껏 가슴을 펼쳐본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잎에게 2020.06.29 (월)
꽃들은 세상을 장식하지만잎들은 세상을 바꿔버린다꽃은 한순간의 영화잎은 세상의 빛깔꽃은 사랑이지만잎은 생명 그 자체꽃에 홀리곤 했지만그대는 언제나 나의 잎이었다
정목일
무관심 2019.12.11 (수)
글을 한 편 쓰면 아내나 아이들에게 슬며시 한 번 읽길 청한다. 반응을 보고 싶어서이다. 영국의대시인 쉴러도 밤새워 한 편의 시를 쓰면 가정부에게 읽게 하고 소감을 물어보았다고 한다. 시를모르는 가정부가 비평가의 안목일 수는 없으나 가정부에게 만족감을 주지 못한다면 좋은 시가 되지못할 것이라는 생각에서 반응이 신통치 않으면 몇 번이나 고쳐 썼다고 한다. 가족에게 글을 한 번 읽어 주길 청할 때, 첫 번째 독자라고 생각하기는커녕...
정목일
2019.08.26 (월)
심심하니 껌이나 씹어볼까. 여행하기 전에 가끔 껌을 사기도 했다. 입에 넣으면달콤해진다. 간편한 위안이다. 스트레스도 씹어본다. 딱딱, 쩍쩍, 그냥 심심풀이다. 사실심심풀이란 심오한 말이다. 잡다하고 혼탁한 마음을 풀어본다는 것이니, 그런 경지가 되려면명경지수(明鏡之水) 같은 심사가 돼야 한다. 마음의 때와 얼룩을 깨끗이 씻어내 영혼이 비춰보여야 한다. 마음에 매화 향기가 나야 한다.그냥 껌을 씹는다. 아무 생각 없이 입을 움직인다....
정목일
봄의 촉감 2019.04.04 (목)
(1) 수양버들누가 가야금을 뜯고 있다.맑은 진양조(調) 가락이 흐른다. 섬섬옥수가 그리움의 농현(弄絃)으로 떨고 있나 보다.숨죽인 고요 속에 번져 나간 가락은 가지마다 움이 터서 파릇파릇 피어나고 있다.누군가 촛불을 켜고 있다.마음 한 가운데 촛불은 바람도 없이 파르르 떨고 있다. 뼈와 살을 태워서 한 줄기 빛이길바라고 있다.깊은 밤중에 한 땀 씩 수(繡)를 놓고 있다. 바늘귀로 임의 얼굴을 보며, 오색실로 사랑을물들이면 별이 기울고 바람이...
정목일
하늘이 잿빛으로 내려와 있다. 버스정류장에 벌써 몇 대의 버스가 서고 지나갔지만 마을 앞엔 한 사람도 내리지 않는다. 도로 위에 돌개바람이 불어 먼지와 티끌들을 공중으로 말아 올린다. 겨울의 황량한 바람이 스쳐가고 있다.'어쩌면 첫눈이 내리려나?’숙이는 창문에 눈을 대고 바깥 풍경을 하염없이 바라본다. 감나무와 대추나무가심하게 흔들리며 바람 소리를 낸다. 참새 떼들이 몸을 떨며 공중으로 사라진다.숙이는 교회당에 가기 위해...
정목일
새해인사 2019.01.08 (화)
새해에는 평범함의 은덕을 알게 해 주소서 사소함의 기쁨을 알게 해 주소서 그 동안 못 만났던 사람들의 손을 잡게 해 주소서 보통의 즐거움을 갖게 해 주소서 풀꽃들과 대화하게 해 주소서일상의 발견과 이 순간의 깨달음을 얻게 하소서 떠오르는 해돋이처럼 경건하게 하루를 맞이하고 지는 해넘이처럼 장엄하게 하루를 장식하게 하소서 나무처럼 하루하루를 살게 하소서
정목일
한지방문 2018.11.02 (금)
우리 나라 아침은 한지 방문으로부터 온다.희끄무레한 여명이 물들어 있는 한지 방문을 보면서 아침이 온 것을 알게 된다. 한지 방문은정결하고 고요롭다. 세상에서 가장 먼저 밝아오는 아침의 서기와 명상이 어려 있다.유리창처럼 빛을 투과하지 않고 머물게 하는 것은 한지 방문밖에 없을 듯하다. 아침 빛을맞아들이고 그 표정을 보여줌으로써 평화와 맑음을 준다. 한지 방문은 빛을 품어 광명을 안게 한다. 지난날의 어둠과 근심을 지워버리고 새...
정목일
달 항아리 2018.07.09 (월)
  달 항아리를 보면 달빛의 맑은 도취 속에 빠진다. 달빛 속의 미인이나 꽃은 더 어여쁘고 향기롭다. 햇빛은 사물의 분명한 모습을 드러내지만, 달빛은 마음까지 닿아 오는 여운(餘韻)을 준다.  달 항아리를 보면 불현듯 조선 중엽의 달밤 속에 있는 듯하다. 달은 농경시대에 우주의 중심, 마음의 한가운데에 있었다. 농사일이나 살아가는 일이 달의 주기에 맞춰 이뤄졌다 한국인의 마음속에는 보름달이 떠 있었다. 달은 해보다 유약해 보이지만,...
정목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