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혹시 BC주 주거 위기 가정에 해당하십니까?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7-04-21 10:45

BC주 세입자 10가구 중 7가구가 주거비에 어려움
BC주 주거 문제 얼마나 심각한가?

올해부터 캐나다 국내 공영주택 공급이 증가할 전망이다. 연방정부가 주거 문제 해법으로 향후 11년간 112억달러를 공영주택 지원예산으로 배정했다. 예산 집행처인 캐나다주택모기지공사(CMHC)는 이 예산을 만료하는 공영주택 지원합의 갱신에 사용할 예정이다. 일부 코압(Co-op)등 연방정부 주거지원 혜택을 받는 공영주택 세입자에게는 반가운 소식이다. 그간 연방정부 지원금이 끊기면서 월세가 부담이 크게 늘어난 세입자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연방정부는 더 많은 예산을 캐나다인 주거문제 해결에 투입하겠다고 강조했다.

CMHC를 관할하는 쟝-이브 듀클로(Duclos) 연방 가족·아동·사회개발 장관은 CMHC를 통해 올해 말까지 국가주거전략(National Housing Strategy)를 마련할 방침이라고 지난 5일 발표했다. 이 전략 기조에는 50억달러를 올해 새로 집행해 주거위기에 대응하겠다는 내용이 있다.  결과적으로 공영주택 공급이 늘어날 전망이다. 캐나다 북부 거주자와 보호지역 바깥에 사는 원주민 주거 마련도 모두 공영주택 확대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앞서 2016년 예산안에서 정부는 50억달러를 공영주택 에너지·상하수도 개선과 추가 건설, 재정지원 등에 사용하겠다고 밝혔는 데, 이번 정책 역시 같은 연장선상에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듀클로 장관은 20일에도 공영주택을 늘려 주거문제에 대응한다는 방안을 발표했다. 그러나 시장에서는 연방정부 주택 공급이 임대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준은 아니라고 보고 있다. BC주, 특히 메트로밴쿠버 주거 문제는 캐나다에서 가장 심각한 위기 상태다.

BC주총선 앞두고 떠오른 주거 문제

메트로밴쿠버 주거 문제는 사회·경제 문제이기도 하다. 회사는 값비싼 주거비용 때문에 적정 인건비로는 인력을 구하기 어렵다고 밝히고  있다. 생활비에서 주거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기 때문에, 일정 급여 이하로는 사람을 구하기 극히 어렵다.

가정도 문제다. 밴쿠버에서 성인이 된 자녀가 같은 동네에 살았으면 하는 부모 마음대로 살 여건이 안된다. 주택 구매가 어렵고, 일부 지역에서는 특정 소득 이하면 아예 임대도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정치인들도 인지하고 있다. 5월 9일 주총선을 앞두고 있었던 한인 기자 간담회에서 크리스티 클락(Clark) BC주수상겸 BC자유당(BC Liberals)대표와 존 호건(Horgan) BC신민당(BC NDP) 대표 역시 언급한 바 있다. 다른 장소, 다른 시간에 언급했지만, 둘 다 장성한 자녀가 같은 동네 살았으면 하는 부모 심정과 주거 비용으로 인한 구인난, 기업 성장 한계를 지목했다.

실제로 수치가 위기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캐나다임대주택지수(CRHI)를 보면 메트로밴쿠버에는 경제적 위기 상황에 놓인 세입자 숫자가 적지 않다.  일반적으로 소득 30% 이상을 주거비로 쓰면 노란불이 들어온 상태로, 50% 이상은 빨간 불이 들어온 상태로 본다. 노란 불은 사소한 지출 증가에도 어려움이 커질 수 있는 수준, 빨간 불은 그런 증가가 있으면 가계가 위기에 빠지는 수준이다.

메트로밴쿠버에서 노란 불이 들어온, 세들어 사는 가구는 무려 13만6025가구에 달한다. 빨간불은 7만3540가구에 켜졌다. 각각 전체 세입자 중 각각 45%와 24%에 해당하는 수치다. 메트로밴쿠버에는 89만1335가구가 살고 있는 데, 이중 34%인 30만4270가구가 세들어 살고 있다. 이렇게 세들어 사는 집, 10집 중 거의 7집이 거주비로 고통받고 있는 상황이 주거 위기 주 내용이다.

주거 위기를 보여주는 또 다른 지표로는 과밀 문제가 있다. 원래 필요한 집 규모보다 더 작은 집에 사는 세입자는 4만7415가구, 전체 16%에 달한다.

이 위기 해소에 필요한 비용을 산출한 단체가 있다. 연간 18억달러 예산을 BC주정부와 주정부가 주거접근성 위기에 투입하면 해결할 수 있다는 제안을 BC주 비영리주거협회(BCNPHA)가 5월 9일 주총선을 앞두고 발표했다.

제안서를 보면 BC주 전역 2016년을 기준으로 8만가구 적체 수요에 매년 새로 발생하는 7000가구분 증가 수요를 정책적으로 해결해 주거 문제 심화를 막는 데 필요한 예산 전망치는 연간 12억8000만달러다.  여기에 월세나 소득지원금 등 사회복지 기금을 더해 총 18억달러 예산을 제안했다.

그러나 2016·17회계연도 기준 BC주에 실제 투입한 정부 임대주택 관련 예산은 6억7000만달러로 BCNPHA가 제안한 수치 반을 넘는다.  단 현재 집행 예산이 희망 없는 수치는 아니다. BCNPHA는 향후 예산 증액을 전제로 “주정부와 연방정부가 공급 부족 해소 접근에 첫 걸음을 뗐다”며 “해당 규모 예산을 매년 편성해야 주거접근성 문제에 일단 대응할 수있다”고 밝혔다.

이민자에게도 주거비용은 큰 짐

주거 위기는 현재 거주자 뿐만 아니라, BC주에 사는 이민자 생존을 위협하고 유입을 방해하는 문제다. 유학생도 어렵다. 기자가 만난 한 유학원 관계자는 “유학생에서 이민으로 전환하는 추세인데, 주거비 부담이 커서 밴쿠버에 계속 머물지 못하는 젊은 이민 희망자가 많다”며 “아예 외곽지역에 3~4년 고생하고 돌아오겠다는 각오로 오는 청년이 많다”고 말했다.

현황을 살펴보면 BC주 이민자 중에 주거위기 피해자가 적지않다. 캐나다임대주택지수(CRHI)를 통해 보면 현재 메트로밴쿠버 이주 5년 이하 이민자 중 20%에 해당하는 2만3210가구가 세입자인데, 거의 반(48%), 1만1220가구 주거비 지출이 소득 30%를 넘는 노란불 상태다. 또 6550가구(28%)는 빨간불상태다. 즉 메트로밴쿠버 이주 5년 이하 세입자 10가구 중 7가구는 주거비 때문에 가계를 놓고 아슬아슬한 줄타기 중이다.  이민 5년 이하 세입자 3집 중 1집 꼴인 8350가구(36%)는 과밀상태에 머물고 있다.

CRHI 수치를 보면 BC주 이주 6~10년 이하 이민자 중에는 자기 집 소유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다. 세입자 비율이 해당 그룹 15%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2009·10년 메트로밴쿠버 주택 가격이 소폭 조정을 보였을 때, 당시 새로운 이민자였던 이들은 사라는 권유나 조언을 많이 받았으리라고 추정했다. 이주 6~10년차 이민자 중에서도 1만7050가구는 세입자이며, 이들은 5년차 이하 후배보다 연소득이 평균 5000달러 가량 높은 5만5000달러지만, 61%가 주거비 부담이 과한 주거 위기 상태에 있다. 또 3집 중 1집(33%)꼴로 5610가구가 과밀 상태에살고 있다.

BC주로 이주한 지 10년이 넘은 이민자 중 세입자 비중은 65%로 두 후배 그룹보다 월등하게 높다. 이 그룹 중 세입자는 7만4170가구다. 주거위기 상태 비율은 이중 65%인 4만7730가구다. 단 오래 산 이주자가 장점이 전혀 없는 건 아니다. 이주 10년을 넘은 이민자 평균 소득은 연 5만5564달러로 후배 그룹보다 높고, 과밀 상태 사는 세입자 비율도 5집 중 1집(20%), 1만5185가구로 상대적으로 낮다.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캐나다 전국적으로는 6월 증가세
캐나다주택모기지공사(CMHC)는 6월 주택 착공량이 계절조정을 적용해 21만5459세대로, 앞서 5월 21만4570세대보다 소량 감소했다고 11일 발표했다.  밥 듀건(Dugan) CMHC수석경제분석가는 “주택 착공량은 거의 5년 만에 최고치에 도달했다”며 “올해들어 BC주를 제외한...
매물 줄어 거래량·거래 총액은 감소… 가격은 상승세
BC주부동산협회(BCREA)는 13일 6월 마감 BC주 부동산 시장 보고서에서 “강한 경제가 주거 수요를 평균보다 더 오래 달리게 했다”고 밝혔다. 협회는 부동산 중개 전산망인 멀티플리스팅서비스(MLS) 상에서 6월 1만1671건을 매매해 지난해 같은 달보다 9.6% 거래량이...
BC주 소매점 매출 지난해 7.4% 증가… 성장률 캐나다 2위
BC주 소매점 매출 신장세가 캐나다 2위를 기록했다. 상업용 부동산 전문 콜리어스 인터네셔널 캐나다 지사가 6월 말 공개한 보고서를 보면, 2016년 BC주 소매 매출 총액이 768억9000만달러로, 2015년보다 7.4% 증가했다. 소매 매출 총액 증가율 1위는 PEI주로 7.7% 증가했다....
가격 상승 비율도 아파트가 단독주택 크게 앞질러
프레이저밸리부동산협회(FVREB)는 6월 부동산 동향 보고서에서 “전체 주택 시장 활동은 6월 중 다소 둔화했지만, 아파트 매매는 683건이 이뤄져 해당 월 사상 최다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부동산 중개 전산망 멀티플리스팅서비스(MLS) 기준으로 프레이저밸리에서는...
6월 시장 아파트·단독주택 양상 달라져
밴쿠버부동산협회(REBGV)는 5일 “메트로밴쿠버 전역에서 아파트 시장 내 수요 공급 불균형이 구매자 경쟁을 일으키고 있다”며 6월 마감 부동산 동향 보고서를 공개했다.6월 매트로밴쿠버 주택 매매량은 3893건으로 사상 최다를 기록했던 지난해 6월 4400건보다 11.5%...
캐나다 임대주택 90%는 민간 기업 또는 개인 소유
임대 주택 월세는 개인 소유 집이 회사 소유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하다고 캐나다주택모기지공사(CMHC)가 5일 주택시장 분석 보고서에서 결론을 내렸다.   CMHC는 “임대용 주택 중 약 90%는 개인 투자자와 민간 기업이 소유하고 있다"며 “개인 투자자 소유 세대...
CMHC 2011년 자료 기준 분석… 관리비 납부자 증가
캐나다 아파트 관리비는 고층일수록, 또 완공한 지 오래될수록 비싸다는 결론이 나왔다. 캐나다주택모기지공사(CMHC)는 4일 2011년 기준 캐나다 평균 아파트 관리비는 월 302달러지만, 건물 건축 연도와 높이에 따라 큰 차이가 있다고 밝혔다. 높이 4층 이하 저층...
캐나다 국세청 밴쿠버·토론토 지역 지목
캐나다 국세청(CRA)이 16일 밴쿠버와 토론토를 지목하면서 부동산 거래 관련 탈세 단속을 강화하고 있다고 발표했다.국세청은 메트로밴쿠버와 광역 토론토 지역을 중점으로 부동산 거래 관련 세무 감사를 늘려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2016년 10월 3일부터는 주...
팔 집 없는 데 살 사람은 있어 가격 오름세
BC주부동산협회(BCREA)는 13일 5월 마감 BC주 부동산 시장 보고서를 발표하면서 “대부분 지역에서 주택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했다”라고 제목을 정했다. 협회는 부동산 중개 전산망인 멀티플리스팅서비스(MLS) 기준 5월 동안 주택 1만2402건이 매매돼, 지난해...
밴쿠버·빅토리아는 5월 주춤세
캐나다주택모기지공사(CMHC)는 8일 올해 5월 캐나다 전국 주택 착공물량이 21만4621세대로 올해 4월 21만3435세대 착공보다 다소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밥 듀건(Dugan) CMHC수석경제분석가는 “주택 착공 추세가 캐나다 도심 지역에서 5월 들어 증가했다”며 “연립 주택과...
중앙은행 월간 금융제도분석 보고서에서 지목
캐나다중앙은행은 8일 자체 월간 금융제도분석(FSR) 보고서를 내면서 가계 부채와 주택 시장 불균형이 지난 6개월 이상 심화해 캐나다 금융 제도에서 가장 중요한 취약점이라고 지목했다.  그러나 스티븐 폴로즈(Poloz) 캐나다중앙은행 총재는 “금융 제도...
노인 아파트 월세 평균 3375달러·공실률 3.3%
노인 인구 증가가 당장 노인 아파트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살 곳을 찾기는 어려운 데 가격마저 올랐다. 캐나다주택모기지공사(CMHC)는 31일 BC주 노인 전용 임대 아파트 공실률이 4.5%로 지난해보다 2%포인트 하락했다고 발표했다. 노인 아파트 공실률 하락은 캐나다...
봄철 매매 반등 발생… 매물 적어 가격 상승 원인
BC부동산협회(BCREA)는 15일 부동산 중개 전산망인 멀티플리스팅서비스(MLS) 기준 4월 주택 매매량은 9865건으로 지난해 4월보다 23.9% 줄었다고 시장 동향 보고서를 발표했다. 4월 주택 매매총액 71억9000만달러도 2016년 4월 수치보다 25.4% 감소했다. BC주 MLS평균 주택가격은...
토론토 가격상승 주도, 캘거리·사스카툰 계속 하락
캐나다부동산협회(CREA)는 2017년 4월 전국 주택 거래량이 3월보다 1.7%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계절조정 적용 안 한 4월 거래량은 1년 전보다 7.5% 감소했다. 3월에서 4월로 넘어오면서 주택 매물은 10% 증가했다. 부동산 중개 전산망인 멀티플리스팅서비스(MLS)...
CMHC 일출효과 분석…리치먼드·버나비·노스쇼어는 즉시 영향
밴쿠버 주택 가격이 인접 중심지에 일출효과(spill-over effect)를 일으키고 있다고 캐나다주택모기지공사(CMHC)가 11일 지적했다.  주택 시장에서 일출효과란 핵심 지역 집값이 통근 거리 안에 있는 다른 지역 집값에도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말한다. 밴쿠버시...
"수요가 매물 따라 잡은 상태” 진단 내려
프레이저밸리부동산(FVREB) 협회는 4월 부동산 동향 보고서에서 “4월에도 프레이저밸리 시장은 계속 힘내며 달려가 지난 10개월 중 지역 내 최고 매매량을 달성했다”고 발표했다.  부동산 중개 전산망 멀티플리스팅서비스(MLS) 기준으로 2230건 매매가 4월 중...
가격도 아파트·타운홈 상승세 두드러져
“아파트와 타운홈 수요가 메트로밴쿠버 주택시장을 계속 몰고 갔다”고 밴쿠버부동산협회(REBGV)가 4월 부동산 동향 보고서를 3일 공개했다. 부동산 매매 전산망 멀티플리스팅서비스(MLS) 기준 4월 매트로밴쿠버 주택 매매량은 3553건으로 지난해 4월 4781건보다 25.7%,...
CMHC 2분기 시장 진단 보고서에서 지적
캐나다 정부기관이 주택 시장을 두고 “문제 상태를 보여주는 상당한 증거가 있다”고 총평했다.캐나다주택모기지공사(CMHC)는 26일 공개한 분기별 주택시장 진단 보고서(Housing Market Assessment·약자 HMA)에서 “일부 개선 조짐도 보이기는 하나, 공식적인 총평으로...
외국인 취득세 도입 등 조처 발표… 금융계 권고 조처는 실행 안해
토론토 부동산 시장이 심상치 않다. 3월 토론토 주택 평균 거래가는 91만6567달러로 지난해보다 33.2% 올랐다. 벤치마크 가격 기준으로도 28.6% 상승했다. 온타리오 주정부는 27일 주정부 예산안을 발표하면서 브레이크를 거는 조처를 했다.앞서 가파른 상승세가 문제를...
밴쿠버 이어 토론토에서도 무브오버 구매자 현상
특정 지역 주택을 사려 했지만, 시장 상황 때문에 인접 지역으로 옮겨 구매하는 무브오버(Move-over) 구매자가 밴쿠버에 이어 광역토론토에도 발생했다고 부동산 중개업체 리맥스가 25일 봄 시장분석 보고서에서 지적했다.리맥스는 “무브오버 구매자가 온타리오주...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