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패툴로 브릿지에서 생긴 일

김유훈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6-09-24 10:33

한국문협밴쿠버지부 회원기고/수필
내가 카나다에 온지 벌서 25년, 처음 정착한 곳이 써리였는 데  외국치고는 좀 시골 분위기가 있었다.  뿐만아니라 교통이 매우 불편한 곳이다. 시내로 나가려면 좁은 패툴로 브릿지를 이용해서 가는 길과 No.1고속 도로를 이용해야한다. 더우기 나는 유학생으로 밴쿠버 서쪽 끝에  있는 Regent college를  다니는 데 너무 힘들어 부득이 이사까지 하였다. 그 후 내가 다시 써리에  정착한지 20년, 처음에 낯설고 외국같던 이곳은 이제 우리 동네로서 사는데는 시내로 갈 때 빼고  별로 불편함이 없다. 대형 몰이 두 곳 , 수영장도 여러 곳이며 도서실과 컴뮤니티 센터  등등에 가는 데 10분 이내로 갈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그리고 남쪽72번가  양지바른 언덕에는 나와 아내가 언젠가 묻혀야 할 곳이 준비되어 있기도 하다.  그러므로 이는 외국이란 개념이 거이 없고 사는 데 편리한 우리 동네란 생각이 앞선다.

허나 시내로 가려면 언제나 거쳐야 할 곳이 바로 패툴로 브릿지이다.  지금도 이 다리를 건너노라면 멀리 보이는 아름다운 경치를  즐기다가도 문득 떠오르는 추억이 있다. 오래된 사건이지만 내가 차를 새로 구입한 지 두주일 만에 그곳에서 대형 사고를 당하였다. 나는 딸애와 함께 그곳을 운전 중  차량 여러대가 갑짜기 내 차선으로 뛰어들어  네 대의 차량이 함께 부딪치고 말았다. 그 때 다리 위에 경찰차량이 네 다섯대. 소방차량이 세대 등등 달려와서 사고 차량들을  수습하였고  내차를 옆으로 들이받은 차는 소방관들이 장비들을 이용하여 승객을 꺼내었다.

문제는 그 후 ICBC의 편지로 부터 시작 되었다. 그 편지에 의하면 내가 사건의 책임이 100%라는 것이다. 그 때 나는 너무 억울하여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다. 그리고 백방으로 사건을 수습하려 뛰어 다녔다. 특히 신문에 실린 유명한 서양 변호사 세분 모두에게 상담을 하였지만 그들 모두 한결같이 ICBC상대로 싸워 이길 수 없다 하였다. 그래도 나는 너무 억울하여 홀로 ICBC를 상대로 동의 할 수 없다고 어필하였다. 분명히 내 잘못이 아니라 하였지만 그 당시 근처의 증인들 모두 나의 잘못이라고 하였다는 것이다. 나는 그말에 끝까지 승복할 수 없다고 하여 결국 세 명의 ICBC사고 전문가들과 패널을 하기로 하였다. 그 때 나는 내 편 증인으로 최수진씨를 지명하여 함께 패널에 참석하였다.

드디어 세명의 전문가들과  나와 최수진씨 그리고 나의 담당자가 함께 토론을 벌였다. 그러나 그들이 갖고온 사진들을 보니 아주 결정적인 사진 즉  옆에서 내차를 받아 문짝이 찌그러져  소방관들이 기계로 문을 짜르는 사진이 증발된 것을 내가 발견하였다. 나는 그 때 그들에게 증발된 사진을 갖고 오라 하였다. 그러자 한명이 갖고온 결정적인 사진을 갖고 왔다. 나는 그 사진을 가르키며 왜 옆차가 문이 안 열릴 정도로 되었는 지를 나에게 설명해 주면 너희들의 결정에 승복하겠다고 하였다. 그러자 세명의 전문가들이 나에게 잠깐 밖에 나가 있으라 하더니 잠시 후 나를 불렀다. 그리고 “O.K. 너는 아무 잘못이 없다고 우리들이 결정하였다.”  그 때 나는 오랜 스트래스끝에서 해방되어 너무 기뻣다.

그 때 내가 느낀 점은 분명히 내 잘못이 없다면 끝까지 어필하여 확실한 증거를 제시하면 이길 수 있다는 사실이다. 특히 내 경우는 증인들이 모두 백인이고 세명의 운전자들 모두 같은 백인들이여서 내가 힘든 싸움을 하게 된 경우였다. 그리고 아주 아쉬웠던 일은 만나는 변호사들마다 “ICBC를 상대로 이길 수 없어 미안하다” 라고 한 일이다. 글세 억울한 사건을 맡아  도와주는 일이 변호사 일이라 생각하는 데 현실은 전혀 다른 것 같다.

나는 지금도 패툴로 브릿지위를 달릴 때면 오래전의 사건이 떠오른다. 처음에는 너무 억울해서 여기 저기 따라다녔던 일들, 그리고 ICBC를 상대로 홀로 어필 했던 일들, 결국 패널에서 180도 뒤집은 그 판결 생각만해도 저절로 흐믓한 마음에 멀리 보이는 흰눈 덮흰  산들이 더욱  아름답게 펼쳐지고 있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2019년이 저물어 가고 있다. 해마다 연말이 되면 무언가 아쉬움이 남고, 무엇보다도 나의 모국 대한민국이 새해에는 큰 변화가 생겼으면하는 바램이다. 왜냐하면 지난 반세기 동안 우리의 세대가 열심히 일하여 일구어 놓은 선진 대한민국을 좌파 정부가 들어선 후 정치, 경제, 외교, 안보, 사회, 교육, 등등.. 전 분야를 망가트리고 있어 그 신음소리가 태평양을 건너 이곳까지 들리고 있다. 지난 세월 우리는 가난을 몸소 겪으며 살았기에 온 국민이 잘...
김유훈
내가 하는 일은 카나다에서 생산되는 물건을 미국으로 보내고 다시 미국의 제품들을 카나다로 갖고 오는 일이다. 때문에 미국 국경을 넘나드는 일은 이제 나의 일상이 되었다. 그리고 미국의 고속도로와  주변의 환경은 매우 친숙하여 딴 나라 같지 않다. 내가 자주 다니는 곳이 I-5고속도로 Exit...
김유훈
밴쿠버의 봄은 도시 전체가 마치 정원과 같다.  27년전, 나는 우리 4식구를 데리고 벗꽃이 활짝 핀 밴쿠버 공항에 도착하였다.  10살의  아들과  7살의 딸을  두 손에잡고 밴쿠버 땅을 밟은 것이 엊그제 같기만 한데 세월이이렇게 빠르게 지나가 버렸다. 그리고 우리 두 아이들은카나다 교육을 무사히 잘 받고 이제는 독수리가 날개를펴고 훨훨 나르듯이 모두 둥지를 떠났다. 아들은 한국으로, 그리고 딸은 미국에서 자리를 잡고 지내고...
김유훈
2019년 새해가 밝아왔다. 새해를 맞이하면 누구나 꿈과 희망을 갖고 금년에는 지난 해보다 좀 더 나아지기를 기대하게된다. 우리가  살고있는 카나다 밴쿠버는 아름다운 자연 경관 뿐만 아니라 삶의 질에서도 세계적으로 최상위권 안에 드는 곳이다. 이곳에서 살고있는 나는 감사해야 하지만 요즈음은 오히려 잠을 쉽게 잘 수 없다. 그 이유는 고국인 대한민국이 걱정되기 때문이다.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닭도록 계속되어야 할 우리의...
김유훈
지금 세계는 스마트 기기의 시대다. 전자산업의 발달로 인해 자동차, 비행기, 배 그리고 각종 건축물에 스마트한 전자장비가 설치되어 현대사회를 대부분 관리하고 있다. 그리고 미국과 카나다의 드넓은 땅의 농사까지 첨단기법 즉 스마트 기기는 물론 인공지능까지 이용하여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개인의 삶과 가장 밀접한 전자기기는 스마트 폰이다. 최근 스마트 폰의 세계적인 시장에서 한국 제품, 즉 삼성과 LG가 선두권에 있다는 사실은...
김유훈
내 인생 2막 2장 2018.04.17 (화)
오늘날 한국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가장 큰 국가적인 과제는 “일자리 문제”이다. 그 중에서도 청년들의 일자리는 실로 심각하다.  내가 외국에 살며 보아도 이곳 역시 다르지 않은 현실이다.젊은이들이 대학, 대학원을 나와도 특별한 일부를 제외하고는 갈 곳이 많지 않아 맥도날드와 같은 패스트푸드 가게에서 알바로 일하고 있는 청년들이 많이 있다. 얼마 전 한국의 어느 방송에 4시간짜리 알바 두명 모집에 140명이 지원했다는 소식을 듣고...
김유훈
이태리는 유럽 최대의 고대 국가로서 역사적, 지리적으로 매우 중요한 나라이다. 그리고  그 곳의 도시들은 이름만 들어도 유명하다. 로마, 나폴리, 베니스 등등은 언제라도 가고 싶은 곳이다. 그러나 이곳 밴쿠버에도 오래전에 정착한 많은 이태리 이민자들이 살고 있어 그들의 고향 지명을 그대로 쓰고 있어 나름대로 향수를 달래고 있다. 특히 밴쿠버 시내 Commercial 이나 E.Hastings St.에는 지금까지 이태리 교민들이 많이 살고 있다. 특별히 내가...
김유훈
꽃피는 봄이 오면 2017.02.25 (토)
 지난겨울은 이곳 밴쿠버의 날씨가 매우 추웠다. 그리고 눈까지 많이 내렸다. 곧 3월이 오면 남쪽에서부터  꽃 소식이 들려오겠지. 이번 겨울은 이곳뿐 만 아니라 한국도 매서운 한파와 눈이 많이 내렸나 보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고국은 정치적 한파가 온 나라를 뒤덮었다. 한 방송국의 조작된 보도로부터 시작된 언론선동, 그리고 촛불이 민심이란 이유로 국민이 직접 뽑아준 대통령을 탄핵하고 그 자리에서 끌어내리려 하였다. 글쎄, 아무리...
김유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