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최종수정 : 2016-02-12 17:18

한국문협밴쿠버지부 회원기고/수필
 인류역사가 시작된 후 우리 인간이 서로 간의 인사를 나누는 습관과 풍습이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언어학자 외에는 일반인들은 전혀 짐작할 수가 없다. 이 지구 위에 존재하는 수많은 종족과 부족들, 그리고 개인 사이에 행해지는 사교적인 예의의 인사 하는 풍습은 오래전부터 계속 전래했다고 생각된다.

     수많은 다른 민족과 함께 어울려 생활하다 보면 인사의 종류에도 민족과 종교, 또 문화권에 따라 조금씩 다른 것을 발견할 수 있다. 흥미로운 것은 말로 하는 인사가 보편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인사법이지만, 어느 인종에 따라서는 말 대신 몸의 일부를 접촉하는 것으로 인사를 대신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예를 들자면, 에스키모는 언어 대신 서로 뺨을 때리고 친한 사이에는 서로 마주 보며 코를 비빈다. 뉴-질랜드의 원어민인 마오리족은 코를 맞추는 것이 인사이고, 케냐의 마사이족은 서로 얼굴에 침을 뱉는다고 한다. 그 이유는 이곳 마사이족이 사는 케냐와 탄자니아 지역은 비가 많이 오지 않아 물이 귀하여 누구나 서로 만나면 상대에게 인사로 주는 것이 물이라고 한다. 그런데 물이 대단히 귀하여 인사로 물을 줄 수 없으니 그 대신 침을 상대에게 뱉음으로써  상징적으로 물을 주는 인사로 대신하는 것이다.

     이러한 특수한 민족들이 아직도 그들의 전통을 지키는 풍습 외에 이 지구 위의 여러 다양한 민족들의 현대식 인사법은 주로 손을 잡는 악수가 보편화 되어 있다.

    이 악수의 유래는 BC1800년 바빌로니아에서 새해를 맞이할 때 축제를 벌이는 자리에서 왕이 최고 신(God) ‘말두크’ 상의 손을 잡았다는데 이것은 ‘말두크’가 그해의 통치권을 왕에게 내린다는 것을 의미했으며, 그 후 아시리아가 바빌로니아를 정복하고 아시리아의 왕들도 이 의식을 전수한 것이다.

     악수의 기원에 관한 이야기는 이집트 시대보다 훨씬 더 올라가서 옛사람들은 길에서 만나면 우선 적이라고 의심을 하고 몸에 지니고 있는 칼에 손을 댔고 상대방도 마찬가지였다. 두 사람은 서로 상대에게 서서히 접근하였고 그러다가 서로 싸울 뜻이 없음을 알게 되면 칼을 거두고 무기를 쓰는 오른손을 내밀어 적의가 없다는 뜻을 나타냈다. 이러한 다양한 인사형태를 따라 이웃과 이웃끼리, 이민족과 이민족 간에 서로의 호의적인 마음을 표시하면서 상대방의 마음을 편하게 하고 친선을 도모하는 의식이 되어갔다.

     민족에 따라 인사에 내포된 뜻도 다양하다.

     우리나라를 예로 들자면 지금부터 반세기를 거슬러 올라간 시대까지도 집안의 어른들, 친지 간이나 이웃 간에 아침 일찍이 하는 인사는 으례 ” 진지 잡수셨어요?” 또는 “안녕히 주무셨어요?”, “안녕하세요?” 였다. 반세기 전까지만 해도 우리나라는 먹을 것이 넉넉지 못하여 종종 아침 식사를 거르는 때가 많았다. 그래서 사람들은 우선 주위의 사람들이 끼니를 거르지 않나 하는 것에 관심을 두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안녕히 주무셨어요?” 또 “안녕하십니까?”하고 문의하는 인사는 옛날에는 사람들의 건강에 필요한 의약품이나 의사가 희소했기 때문에 밤사이에 병으로 고통을 받는 사람들이 많아서 밤을 지나는 동안 병으로 고생하지 않았는지를 문의하는 뜻이었다. 중국에도 옛날에는 우리와 같은 인사를 하였는데 지금은 다 사라졌다고 한다.

     이러한 인사도 하루의 시간에 따라 다르고 또 동양과 서양에 따라, 민족과 문화에 따라 다르다. 서양의 대표적인 영어권과 독어권에서는 “Good morning” 또는 “Guten Morgen”(북부 독일) 혹은 “Gruess Gott”(남부 독일) 이라고 하고, 불어권에서는 ‘봉주어(Bonjour)”라고 하며, 중동의 모슬렘들의 인사는 “살람 왈레콤(Salam Wahlechom)”, 유대인은 “샬롬(Shalom)”, 아프리카의 케냐 주위 지방에서는 “쟘보 부와나(Jambo Bwana)”, “하바리 가니(Babari Gani)”, 혹은 “하쿠나 마타타(Hakuna Matata)” 이다. 스페인은 “부에노스 디아스(Buenos dias)”, 이탈리아는 “봉죠르노(Buongiorno)”, 포르투갈은 “봄디아(Bom Dia)”라고 한다. 같은 동양이라도 한국에서는 문안의 뜻을 갖고, 중국인의 인사는 “조상(광동어) 혹은 “자오샹(북경어)”이라 하는데 그것은 “이른아침”이라는 뜻이며 “니 하오”라는 인사는 “안녕하시오?, 또 인도의 힌두인들은 “나마쓰데”, 씨-크인들은 “샸스리카”, 필리핀은 “마간당 우마가”, 일본은 “오하요 고자이마쓰” 이다.

     이렇게 예를 들자면 끝이 없지만 이러한 인사들의 뜻은 한 의미로 귀착하는데 그것은 모두 문안과 안녕을 물으며 빌어주는 것이다. 이러한 예절은 상대에게 친근감을 불러일으켜서 서로의 마음을 안심시키고 편하게 하며, 친목을 도모하는 표시를 함으로써 친선을 유지하는데 커다란 역할을 한다.
    
     이른 아침 거리에서 지나치는 낯선 사람들과 눈을 마주치며 나누는 첫 인사는 우리들의 마음을 푸근하게 하고 하루의 일과를 즐겁게 하는 강력한 힘이 있다.
     “Good Morning, Have a nice day!”
      얼마나 흐뭇하고 고무적인가!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인사 2016.02.12 (금)
 인류역사가 시작된 후 우리 인간이 서로 간의 인사를 나누는 습관과 풍습이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언어학자 외에는 일반인들은 전혀 짐작할 수가 없다. 이 지구 위에 존재하는 수많은 종족과 부족들, 그리고 개인 사이에 행해지는 사교적인 예의의 인사 하는 풍습은 오래전부터 계속 전래했다고 생각된다.     수많은 다른 민족과 함께 어울려 생활하다 보면 인사의 종류에도 민족과 종교, 또 문화권에 따라...
이진우
...
이진우
나의 애완견들 2014.12.12 (금)
   오래전 직장에 다닐 때 한 직장동료로부터 애완견을 얻은 일이 있었다. 그러지 않아도 애완견을 하나 갖고 싶은 생각이 있었는데 뜻밖에 하나를 얻게되어 기뻤다. 그 당시에는 광역 밴쿠버 지역 아파트나 남의 집 셋방에 사는 사람들에게 애완동물을 허용치 않는 곳이 많았다. 이 직장동료가 자기가 갖고 있던 독일종 도벨만과 캐나다의 라브라돌의 혼혈견을 나에게 준 이유도 자기가 새로 입주할 아파트가 애완동물을 허용치 않아 부득이...
이진우
얼마 전이다. 캐나다 온타리오 주 토론토 지역에서 편의점을 경영하는 어느 한인교포가 Lotto의 잭팟(Jackpot)에 당첨되어 거액의 상금을 받았다는 소식이 한인 사회의 신문 통해 크게 알려진 적이 있었다.이 뉴스를 들은 사람들의 반응은 여러 가지였을 거라고 생각된다. 더러는 선망의 마음으로, 더러는 축하의 마음으로 아니면 나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이진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