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UBC 신체운동학(KINESIOLOGY), 선배로부터 듣는다

정윤선, 이주희 akcse.ubc.pub@gmail.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5-09-21 13:33


저희 AKCSE Publication에서는 매주, UBC Science/Engineering 관련 소식을 알려드렸습니다. 이번 주 부터는 UBC Science/Engineering에 재학 중이거나 졸업하신 학생분들을 직접 만나 인터뷰를 통해 보다 더 생생한 UBC의 삶을 전해드리려고 합니다. 매주 다양한 Science/Engineering 전공자를 만나 해당 프로그램에 대하여 얘기를 나누고 그 소식을 전해드릴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 드립니다.
이번 주에는 박새일씨를 만나보겠습니다. 박새일씨(사진)는 UBC 신체운동학 4학년 재학 중입니다. 신체 운동학 혹은 교육 관련 분야에 관심 있는 독자들에게 많은 도움 되었으면 합니다.





<▲ >



1. 간단한 자기 소개 부탁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신체운동학을 전공하고 있는4학년 박새일 입니다.

2. Kinesiology라는 프로그램에 대해서 설명 부탁 드립니다.
신체 운동학은 4년이 걸리는 프로그램이고 세가지 부전공이 있습니다. Kinesiology (신체운동학) & Health Science (보건학), Interdisciplinary studies (종합), Physical & Health Education (교육학)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3. Workload는 어떤가요?
제가 생각하기에 workload는 보통인 것 같아요. 외우는 양은 다른 과목들의 수업이랑 비슷합니다. 수업마다 다르지만 파트너랑 같이 하는 숙제도 많고, 랩을 할 때 여러 학생들이랑 같이 그룹워크도 많이 합니다. 하지만 공부에 관심이 있다면 생각보다 공부 양이 많지 않고 쉬운 것 같아요.

4. 이공계학부랑 (faculty of science) 다른 점이 무엇인가요?
신체운동학이라는 단어를 설명하려면 “움직임의 공부” “the study of movement” 입니다. 그래서 인간의 몸에 관련된것을 주로 공부하죠. 이공계 학부에서 공부하는 생물학이랑 화학에 대해서 우리도 공부하지만, 좀 더 인체에 관련된 주제 위주로 배웁니다. 그리고 신체 운동학에서는 건강에 대해서 많이 강조하는데, 그냥 육체적인 건강뿐만 아니라 건강한 마음과 정신도 중요하게 생각해요.

5. 고등학교때 신체운동학이라는 전공에 대해서 어떻게 알게 되었나요?
저는 솔직히 고등학교때는 몰랐는데 제 친누나가 추천해줬어요. 그때 당시에 저희 누나는 이공계 학부에서 생물학을 전공하고 있었는데 자신이 신체운동학에 대해서 좀 더 일찍 알았더라면 그것을 선택했을 거라고 말해줬어요.

6. 신체운동학을 전공으로 택한 특별한 계기가 있나요?
특별한 계기는 없었지만 저는 체육선생님이 되고 싶은 마음이 있어서 선택했습니다. 그리고 제가 워낙 운동하는 것을 좋아해서 인체에 대한 관심이 많았습니다.

7. 신체운동학을 졸업한 후에는 어떤 진로들이 있나요?
이 프로그램을 통해서 주로 갖는 직업들은: 의사, 물리치료사, 체육 선생님, 퍼스널 트레이너, 스포츠 감독, 연구원입니다.

8. 지금 하고 계신 외부활동이 있나요?
저는 지금 학교 안에 있는 카페 “Uppercase” 라는 곳에서 일하고 있고 “코이노니아” 라는 동아리에서 회계를 맡고있어요. 봉사활동은 Potter`s Place Mission 이라고 Downtown East Side 에 있는 교회/food bank같은곳에서 도와주고 있습니다. 아직 확실하지는 않지만, 작년에 임원으로서 활동했던 World Vision UBC 이라는 동아리에 다시 가입할 예정이에요.

9. 자신만의 시간관리 팁이 있나요?
계획을 미리 세우는 게 제일 중요한 것 같아요. Planner 아니면 노트를 사서 그 날 아니면 그 주에 해야 할 것을 다 적어서 그 계획대로 산다면 저는 시간을 잘 관리했다고 생각해요.

10. 앞으로의 계획이 어떻게 되시나요? 
 일단 대학교를 졸업하는 게 지금 저의 계획입니다.

11. 교육쪽으로 목표를 정하셨는데, 그 과정이 어떻게 되나요?
신체운동학에서 필요한 과목들을 듣고 졸업한 후 교육 프로그램에 지원하면 됩니다.

12. 교육쪽으로 진로를 정하게 된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저는 선생님이 아주 의미 있는 직업이라고 생각해요. 대학교 와서 신체운동학 과목을 듣기 전에는 체육 선생님은 쉽고 대충해도 되는 직업이라고 생각했는데 절대 아니더라고요. 체육 선생님으로서 학생들한테 운동을 좋아할 수 있게끔 도와줘야 한다고 배웠습니다. 하지만 그러려면 선생님이 먼저 그 운동에 대해서 배워야하고 그 운동의 스킬뿐만이 아니라 tactic/decision making 도 가르쳐야 합니다. 운동을 배우면 그 운동에 대해 자신감이 생기고 자신감이 생기면, 좋아하게 되죠. 어렸을 때부터 운동을 좋아하게 되고 어른이 되어서 운동을 꾸준히 한다면 많은 질병을 안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는 과학적인 증거도 있습니다. 만약 의사들의 직업은 병이 걸린 사람들을 치료하는 것 이라면 체육 선생님들은 그 사람들이 처음부터 병을 안 걸릴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이라고 저는 믿습니다.

13. 교육 쪽으로 진학할때 신체 운동학이라는 프로그램이 어떻게 도움이 되나요?
 Physical Education 부전공을 위한 과목들이 따로 있습니다. 이 과목들에서 체육시간 같이 다양한 스포츠를 배우지만 그것을 학생들에게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 배워요. 예를 들어서 제가 작년에 배드민턴 하고 배구를 배우고 가르치는 수업을 들었는데UBC근처에 있는 중학교에서 6학년들을 가르칠 기회가 있었습니다. 또한, 아이가 크면서 몸이 어떻게 자라며 아이가 운동에 대한 생각이 변화하는 것에 따라서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 배웁니다.

14. 신체운동학만의 매력이 무엇인가요?  
나중에 다른 직업을 갖게 되어도 신체운동학에서 배운 것들 (어떻게 운동하는지, 좋은 다이어트가 무엇인지, 어떻게 하면 안 다치는지)은 자기자신과 가족과 친구들의 건강을 위해 쓸 수 있어서 좋은 것 같습니다. 그리고 건강은 그냥 육체적인 것 만이 아니라 마음과 정신적으로도 건강해야 한다는 것을 평생 잊지 않고 참고하면서 살 것 같습니다.

15. 이 외에 하고 싶은 말씀이 있다면?
아무리 돈을 많이 벌어도 건강하지 않으면 행복하기 힘들 것 같아요. 커서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다른 사람들을 도우면서 돈을 벌 수 있으면 저는 그게 성공한 거라고 생각합니다.

위와 같은 정보를 더 얻고 싶으시면 akcse.ubc.pub@gmail.com로 문의 해주시길 바랍니다. AKCSE (Association of Korean Canadian Scientists and Engineers)는 UBC 한인 학생회 중 하나로 Science와 Engineering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모인 아카데믹 클럽입니다. UBC내에 선후배간의 교류는 물론이고 대학원생들 및 졸업생들과도 관계를 이어주는 역할을 하고 있는 동아리입니다. 저희 AKCSE Publication Committee 는 앞으로도 유익한 정보를 계속 제공할 예정입니다. 많은 도움 되시길 바라며, 이상 AKCSE Publication Committee 정윤선, 이주희가 작성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건축가란 무엇인가’ 특강 내달 22일 개최
15년 경력의 제이정 건축가 강연자로 나서
건축가를 꿈꾸는 밴쿠버 청소년들을 위한 특강이 오는 6월 22일(토) 오전 11시, 밴쿠버 다운타운에 위치한 Jay Jung Architect Inc. 본사에서 열린다.   청소년 한국문화 사절단(KCYAS)이...
한인 여성, 모든 인종·성별 통틀어 대학 진학률 최고
졸업률은 평균 수준··· 백인은 진학률 낮고 졸업률 높아
한인들의 대학 진학률이 캐나다 모든 인종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연방 통계청이 발표한 경제·사회 보고서에 따르면, 캐나다에 거주하는 한인과 중국인의...
한인과학기술자협회 주최··· 제15회 행사
BC주 거주 4~11학년 학생 183명 참가
지난 4일 캐나다한인과학기술자협회(The Association of Korean Canadian Scientists and Engineers, 이하 AKCSE)가 주최한 수학경시대회가 사이먼 프레이저 대학(SFU) 버나비 캠퍼스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K-3학년 대상으로 난독증 검사 실시
4학년 이전에 치료 시작해야 효과적
BC주가 초등학교 K-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난독증을 비롯한 기타 학습 장애를 검사한다.   16일 데이비드 이비 BC 수상은 이와 같이 발표하며, “아이들이 어린 나이에 난독증 검사를...
10일 발표된 ‘QS 세계대학평가 전공별 순위’에서 여전히 미국과 영국 대학들이 최상위권을 휩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시아에선 싱가포르, 중국이 꾸준히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다....
재학생들이 직접 가이드 나서 다양한 팁 전달
UBC와 SFU 진학을 준비하는 한인 고등학생들이 캠퍼스의 낭만을 미리 경험할 수 있는 행사가 열린다.   라움한글은 UBC 인턴기자단인 하늬바람, SFU의 한인동아리 KSU(Korean Student Union)와...
트뤼도 정부, 4월 예산안 발표 앞두고 공약
5년간 10억 달러··· 2024-25년도 시행 기대
이르면 올해부터 캐나다에도 국가에서 운영하는 학교 급식제도가 시행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저스틴 트뤼도 총리와 크리스티아 프리랜드 재무장관은 1일 토론토에서 열린...
소셜미디어가 학생들 정신건강·학습에 악영향
지난해 미국 41개 주정부도 메타에 집단소송
대형 소셜미디어 기업들이 온타리오 교육청 네 곳으로부터 대규모 소송을 당했다. 소셜미디어가 학생들의 학습과 정신건강, 사이버괴롭힘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이유 때문이다....
4월 1일부터 주전역 95% 데이케어에 적용
“양육 가정 보육료 부담 덜기 위한 조치”
오는 4월부터 주전역 보육 시설에서 시행되고 있는 ‘대기료(waitlist fees)’ 관행이 사라진다. 28일 그레이스 로레(Lore) BC보육부 장관은 주정부의 수수료 인하 사업의 일환으로 BC에서 허가...
트뤼도 정부, 3가지 보육 실천 공약 제시
2026년까지 전국에 25만 개 보육공간 조성
트뤼도 정부가 맞벌이 가정의 보육 공백을 최소화할 실질적인 대안책을 마련했다. '하루 10달러' 보육 공간을 확대해 더 많은 양육 가정에 저렴한 보육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것이 골자다....
‘벤처 1세대’ 최기창 서울대 산학협력교수 강연자로 나서
밴쿠버 청소년 한국 문화사절단(Korean Cultural Youth Ambassador, 이하 KCYA)이 광역 밴쿠버에 거주하는 청소년들을 위한 온라인 특강을 개최한다.   오는 4월 6일(토) 오후 5시부터 진행될...
토론토대, 3년 연속 세계 21위 안착
UBC는 작년 보다 4계단 오른 36위
올해 캐나다 명문 대학들이 세계 대학 평판 랭킹에서 지난해에 비해 약진한 성적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타임즈의 대학 평가기관인 THE(Times Higher Education)가 발표한 2023 세계 대학...
유학생 모집하는 신규 대학 2년간 승인 중단
“사립 대학에 최소 어학 요건도 새롭게 도입”
앞으로 2년간 BC주 대학들의 무분별한 유학생 유치 활동에 제동이 걸릴 전망이다. 29일 BC주정부는 외국인 유학생을 모집하려는 신규 고등교육 기관에 대한 승인을 오는 2026년 2월까지...
오는 9월 학기부터 휴대전화 사용 금지령
사이버 폭력 예방 차원··· 올봄 법안도 도입
다가오는 9월 학기부터 BC주 전역 학교에서 교내 휴대전화 사용이 본격적으로 금지된다. 데이비드 이비 BC 수상은 금요일 기자회견을 열고 ‘온라인 위협(online threats)’으로부터...
맥길 등 영어권 대학 등록금 약 30% 인상
졸업 전까지 불어로 의사소통 가능해야
퀘벡 “불어 보호 위한 결정”··· 대학들 반발
앞으로 퀘벡 소재의 영어권 대학에 진학하는 타주(州) 학생들은 등록금을 더 지불하고 불어도 필수적으로 배워야 한다.   14일 퀘벡 교육부는 다가오는 2024-25학기를 시작으로...
OECD, 만 15세 국제학업성취도 평가 발표
팬데믹 이후 하락 추세··· 순위 밀렸지만 상위권
캐나다 학생들의 수학 능력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비교적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는 평가 결과가 나왔다. 5일 OECD가 공개한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 2022' 결과에...
내년 1월부터 학기 중 주 20시간 이상 근로 불가
유학생들 생활고 가중 우려··· 인력난 재발 지적도
내년 1월부터 캐나다 유학생들이 학기 중 일할 수 있는 시간이 다시 주당 20시간 이하로 제한된다. 연방 이민부가 지난해 11월 한시적으로 적용했던 유학생 근로시간 완화 조치가 2023년...
북미 학생 3분의 1, “홀로코스트 조작됐다 생각”
역사 제대로 알아야··· 2025-26학년도에 시행 예정
제2차 세계대전 중 나치 독일이 자행한 유대인 대학살을 의미하는 ‘홀로코스트’에 대한 교육이 앞으로 BC에서 의무화될 것으로 보인다. 데이비드 이비 BC수상은 지난 30일 광역...
JM Education & KCSA 주최 세미나 UBC서 11월 25일 개최
대학 입시 과정부터 대학교 생활 등 생생한 경험담 전달
▲지난해 세미나 당시 모습 UBC 한인 경영대 학생회(KCSA)와 입시전문 JM Education이 공동으로 진행하는 대규모 대학 입시 무료 세미나가 오는 11월 25일(토) 오전 11시부터 오후 1시 30분까지 UBC...
▲Getty Images BankSAT와 함께 미국의 양대 대입 시험인 ACT의 올해 평균 점수가 32년 만에 가장 낮았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1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ACT 주관사에 따르면, 올해 ACT의 전국 평균...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