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美역사학자 19명 “아베 '역사수정' 압력에 경악” 집단 성명

워싱턴=윤정호 특파원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5-02-05 11:25

“어떤 정부도 역사검열 못해… 위안부도 논쟁 여지 없다”
미국 역사학자 19명이 일본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최근 미국 맥그로힐 출판사가 발간한 역사교과서에 실린 일본군위안부 기술을 문제 삼고, 일본 정부 측이 수정을 요구한 데 대해 반발해 집단 성명을 발표했다. 미국역사협회 회보인 ‘역사의 관점’ 3월호에 게재하기 앞서 5일 공개한 ‘일본의 역사가들과 함께 서서’라는 제목의 성명에서 이들은 “일본 정부가 2차 세계대전 당시 일제의 야만적 성착취 시스템하에서 고통을 겪은 일본군위안부에 대해 일본과 다른 국가의 역사교과서 기술을 억압하려는 기도에 역사학자이자, 미국역사협회 회원으로서 경악을 금치 못한다”고 말했다.

이들은 “일본 정부 문헌에 정통한 역사가 요시미 요시아키(吉見義明)의 신중한 연구와 생존자들의
증언은 위안부가 국가가 후원한 성노예 시스템이란 점을 논쟁의 여지없이 보여주고 있다”며 “많은 여성이 본인 의사에 반해 강제로 이동의 자유가 없는 최전선의 위안소로 끌려갔고, 장교들에게 강간당하거나 탈출하다 폭행당했다”고 말했다.

이들은 특히 “아베 정권은 애국교육을 고취하려고 일본군위안부에 대해 확립된 역사에 의문을 제기
하고, 일부 보수 정치인들은 국가책임을 부정하기 위해 논쟁을 펴고 있다”며 “게다가 생존자들을 비방하고, 우익 극단주의자들은 위안부문제를 기록으로 남기고 희생자의 이야기를 쓰는 데 관여한 언론인과 학자까지 위협하고 겁주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어떤 정부도 역사를 검열할 권리가 없다’는 허버트 지글러 하와이대 교수의 견해
에 동의하고, 수정 요구를 거부한 출판사를 지지한다”고도 했다.

이들은 “(역사학자들은) 과거로부터 배우기 위해 역사를 가르치고, 만들어간다”며 “국가나 특정 이익
단체가 정치적 목적 아래 출판사나 역사학자들에게 연구 결과를 바꾸도록 압력을 가하는 것에 반대한다”고 말했다.

역사학자들의 집단 성명은 이례적이다. 위안부 관련 기술을 한 지글러 교수를 비롯해 코네티컷대 알렉시스 더든·젤라니 콥·마크 할리, 컬럼비아대 캐럴 글럭, 프린스턴대 제러미 아델만, 보스턴 칼리지 데빈 펜다스·프란치스카 세라핌, 코넬대 마크 셀덴, 노트르담대 줄리아 애드니 토머스, 하와이대 시어도어 준유 교수 등이 참여했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미국 버지니아주(州) 페어팩스의 한 수퍼마켓. 물과 우유, 고기, 빵, 손전등, 일회용 가스 등을 잔뜩 담은 카트가 줄을 섰다. 22일(현지 시각) 오후부터 예상되는 폭설에 전기나 가스 공급이...
공화, 자동시민권제 폐지法 내고 청문회
원정출산 신생아 年 4만명‘독수리표(미국산)’베이비를 만들기 위한 원정 출산이 원천 봉쇄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미국 공화당 내 강경 보수파를 중심으로 미국 영토에서...
오바마·아베 '공동비전 성명'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28일 미국 워싱턴DC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미·일공동비전 성명’과 ‘핵무기 비확산과 관련한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SNS 동영상 출마, 親서민·겸손모드… 8년전과 180도 변신
힐러리 클린턴 전 미국 국무장관은 2016년 대통령 선거 출마 선언을 ‘겸손 모드’로 시작했다. 12일 인터넷에 동영상을 올리면서 대권 도전을 공식 선언한 그는 8년 전인 2007년 첫 도전 때와...
미국 인디애나주(州) 마이크 펜스 주지사가 ‘종교자유보호법’에 서명하자 주 전체가 집중포화를 맞고 있다. 이 법은 7월부터 발효하는데, 수정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日국회서 위안부 관련 질문에'日탓 아닌 전쟁탓' 취지 발언   워싱턴포스트와 인터뷰선  "인신매매 희생자" 표현 써아베 신조(安倍晋三·사진) 일본 총리가 27일...
“과거 잘못 인정 안하면 의회에 초대하면 안돼”
미국 내 한인 단체들이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미국 의회 연설 반대 서명운동을 벌이는 가운데, 미국의 한 태평양전쟁 참전군인 단체가 아베 연설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흡연 따른 폐 질환으로… 죽기전 “담배 끊어라” 충고
한국에도 방영됐던 미국의 인기 SF 드라마 '스타트렉'에서 뾰족귀 외계인 '스팍' 역을 맡았던 레너드 니모이<사진>가 지난 27일(현지 시각) 83세를 일기로 별세했다.감정은 하나도...
5년간 美국방장관실 자문… 안보전문가 밴 잭슨, 美의회 서면 증언
북한이 사실상의 핵 보유국이고, 선제 핵 공격을 당하더라도 즉각 보복할 수 있는 능력에 도달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미국의 싱크탱크인 신안보센터 밴잭슨<사진> 객원연구원은 25일...
北전문 美사이트 '38노스' 발표 “미국의 核억지 전략은 실패”
북한이 핵개발을 현재 추세대로 계속한다면 2020년까지 최대 100개의 핵무기를 제조할 수 있고, 미국 본토까지 사정권으로 하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20~30기까지 보유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북한 전문 웹사이트인 ‘38노스’를 운영하는 조엘 위트 미국...
쇼핑몰 이름까지 지목
알 카에다와 연계된 소말리아의 무장 테러 그룹인 알샤바브가 미국과 캐나다·영국의 쇼핑몰을 공격하겠다는 내용의 협박 비디오를 공개했다고 CNN 등 미국 언론들이 22일 보도했다.21일 공개한 영상 선전물에서 알샤바브는 60명 이상이 사망한 2013년 케냐 나이로비...
“어떤 정부도 역사검열 못해… 위안부도 논쟁 여지 없다”
미국 역사학자 19명이 일본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최근 미국 맥그로힐 출판사가 발간한 역사교과서에 실린 일본군위안부 기술을 문제 삼고, 일본 정부 측이 수정을 요구한 데 대해 반발해 집단 성명을 발표했다. 미국역사협회 회보인 ‘역사의 관점’ 3월호에...
다음 달 시상식을 여는 제87회 아카데미상 주요 부문 후보가 백인 일색이라 인종차별 논란이 일고 있다.아카데미상을 주관하는 미국 영화예술과학아카데미(AMPAS)가 공개한 남우주연상, 여우주연상, 감독상 같은 주요 부문 후보가 모두 백인이다. 주연·조연상 같은...
세계 곳곳 공포 현실화
프랑스 풍자 주간지 ‘샤를리 에브도’에 대한 테러 충격이 가시기도 전에 세계 곳곳에서 테러 조직이 발각되고, 또 다른 테러 위협이 제기되는 등 추가 테러 공포가 이어지고 있다.벨기에...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는 주한 일본대사관 앞 위안부 소녀상에 장미꽃을 바쳐라.”미국 내 대표적인 지일파(知日派)인 아·태 안보센터 제프리 호넝(Hornung) 교수가 일본을 향해...
자랑스러운 한국계 미국인 뽑혀
미국 태권도계 대부 이준구(85), 동양인 최초 북미아이스하키리그(NHL) 우승자 짐 백(48·한국명 백지선), 프로미식축구(NFL) 슈퍼볼에서 두 번 우승한 하인스 워드(39), 동계올림픽 동메달...
오바마 대통령도 공감대
미국 의회가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재지정하기 위한 구체적인 움직임에 들어갔다.미국 하원 외교위원회의 일리아나 로스-레티넌(플로리다주·공화) 의원은 25일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재지정하도록 규정하는 법안을 다음 달 개원하는 제114회 의회에서 대표...
크리스마스인 25일을 전후해 미국 전역의 300개 독립영화관에서 일제히 상영을 시작한 영화 인터뷰를 본 관객의 평가는 엇갈렸다. 그저 웃고 즐긴 사람도 있었고, 북한에 대해 몰랐던...
산타클로스 할아버지들이 크리스마스 이브의 ‘선물 전달 작전’을 앞두고 브리핑을 받는 곳이 있다. 그곳이 어디일까?캐나다 CBC 등은 산타가 4일 오전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NORAD)...
하버드大 강사, NYT에 기고 “백인이 소수자될까 우려한 것”
대학측 "시험성적이 전부 아냐"미국 하버드대는 1900년대 초반 7%에 불과하던 유대계 신입생 비율이 1922년 21.5%로 치솟자, "유대계 침공이 학교를 망칠 수 있다"는 총장 지시로 유대인에 대한 입학 심사를 까다롭게 했다. 이후 30년간 유대인 비율을 15% 이하로 유지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