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올림픽 선수촌, 투자가치 있을까?

한혜성 기자 helen@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1-02-18 10:09

‘빌리지 온 펄스 크릭(前 올림픽 선수촌)’ 230세대가 18일부터 인터넷 사전 예약자를 대상으로 분양을 시작한 가운데 투자자들은 ‘미래 투자 가치’에 대해 저울질하고 있다. 분양 하루 전날 세일즈 센터 앞에는  10여명이 줄서 대기하는 진풍경이 연출되기도 했지만 이제껏 만나본 한인 투자자들의 심정은 아직  ‘긴가민가’다. 한편, 밥 레니(Rennie) 레니 마케팅 사장은 지난해 5월보다 평균 30%정도 내려간 이번 분양에 대해 “매우 낙관적”이라고 밝힌 바 있다. 과연 그럴까?

다운타운과 마주보는 워터프론트 입지조건과 바닷가 산책로, 인근 대형 커뮤니티 센터 등 각종 편의 시설은 최대의 매력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상당수 거주자가 임대 입주자라는 사실, 주변 개발에 시일이 걸린다는 점, 할인 후에도 여전히 예일타운과 비슷한 가격대, 평방피트당 비싼 관리비 등은 투자심리에 감점요인이다.

<▲ 빌리지 온 펄스 크릭 앞에는 다운타운이 바라다보이는 산책로가 있다. (한혜성 기자 helen@vanchosun.com)>

많은 투자자들은 무엇보다 ‘부실공사’일 가능성을 두고 망설이고 있다. 취재 도중 만난 한 올림픽 선수촌 프로젝트 관계자는 익명을 요구하며 “올림픽 전에 급하게 올린 건물이라 마감재가 매우 허술하다”며 “임대투자용이면 모르겠지만 가까운 지인들에게 도저히 사라고 못하겠다”고 머리를 저었다.

한인 리얼터도 투자를 선뜻 권하진 못했다. 인터뷰를 나눈 이 리얼터는 “개발사가 과거에 누수콘도(Leaky Condo)를 지어 논란이 된 적이 있었다”라고 말하고 “다운타운 중심이 아니라 외곽인데다 동네 인근이 별로 좋지 않다. 차이나타운이 서서히 변해가는 것처럼 (올림픽 선수촌 주변도) 언젠간 발전하겠지만 시일이 상당히 걸릴 것”이라고 의견을 밝혔다. 가격에 대해서도 “예전에 너무 부풀려졌던 가격이 이제야 거품을 뺐다”며 “그럴지라도 아직 여러 조건에 비해 비싼감이 있는데 일부 투자자는  ‘최고 50%나 내렸으니 헐 값’이라고 생각한다”고 우려를 표했다.  

17일 있었던 세일즈 캠페인 관련 기자회견이 끝나고 분양을 앞둔 브리지동과 카약동을 각각 2세대씩 실제로 살펴봤다. 카약동의 701호와 711호, 브리지동의 601호와 605호다. 모두 창문을 크게 내고 9피트 이상 높은 천장이라 실평수에 비해 넓어보였으며 채광도 좋았다. 젊은층이 좋아할만한 아기자기하고 동선이 짧은 레이아웃은 전문직 종사자나 어린 아이를 둔 가정에게 어필할 것 같았다. 미엘(Miele)사의 하이엔드 전자제품을 들어놓았고 화장실 바닥은 석회석 타일, 마루 바닥은 하드우드로 마감했다.

<▲ 카약동 701호 발코니에서 바라본 펄스크릭 조망이다. (한혜성 기자 helen@vanchosun.com)>

<▲ 브리지동 6층에서 보이는 조망. 다운타운 서쪽이 보인다.(한혜성 기자 helen@vanchosun.com)>

하지만 그 외에는 그다지 눈에 띄는 점을 발견할 수 없었다. 베드룸 바닥은 저렴해보이는 카페트가 깔려있었고 키친 아일랜드도 화강암이 아니었다. 캐비넷, 손잡이, 옷장 등에 사용된 나무자재도 평범했다. 복도나 로비 등 공용공간도 좁은 편이었다. 같이 집을 둘러본 로컬 방송국 기자는 “비슷한 가격이면 차라리 예일타운 콘도가 더 낫겠다”고 했다.  

주변환경은?
올림픽 선수촌은 바로 앞에 길게 뻗어있는 산책로가 인상적이다. 산책로를 따라 걸으면 다운타운, 밴쿠버 웨스트까지 닿는다. 이처럼 바닷가 바로 앞에 콘도 부지는 다운타운 인근에 거의 남아있지 않다. 콘도  사이로도  산책길이 나있다. 공공 예술품이 전시된 널찍한 퍼블릭 플라자와 4만4000스퀘어피트에 달하는 초대형 커뮤니티 센터도 삶에 편의를 더할 것이다.


반면, 단지 내 상가는 대부분 텅텅 비어있다. 런던 드럭과 어반페어 등 대형 슈퍼마켓이 곧 들어선다는 안내가 붙어있었지만 입점 시기는 고지하지 않았다. 거리를 오가는 거주민도 거의 없어 단지 전체가 스산한 분위기를 자아냈다. 

<▲ 브리지동 서쪽은 아직 미개발 상태로 남아있다. (한혜성 기자 helen@vanchosun.com)>

<▲ 빌리지 온 펄스 크릭 단지 내 모습. 앞에 걸어가는 기자단을 제외하면 오가는 거주자가 없다. (한혜성 기자 helen@vanchosun.com)>

건물 주변은 아직 공사중인 곳이 많았다. 서쪽에 있는 공원부지는 아직 흙이 그대로 드러난 채이고 동쪽으로는 큰 트레일러들이 답답하게 서있었다. 남쪽에는 다른 콘도 프로젝트 분양이 진행 중이었다.  유동인구가 많아지려면 시간이 꽤 걸릴 듯 보였다.

펄스크릭을 두고 건너 편에 새로 건설될 초대형 에지워터(EdgeWater) 카지노도 ‘빌리지 온 펄스 크릭’ 투자에  득이 될지 실이 될지는 아직 알 수 없다.  BC주정부는 BC플레이스 옆에 총 4억5000만달러를 들여 카지노를 비롯해 고급 호텔, 식당 등이 들어설   복합유흥단지를 계획했다. 하지만 인근 지역주민들은 ‘카지노 반대 시민 연대(Vancouver Not Vegas)’를 조직하는 등 주민 투표를 통해 결정되어야 할 사항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한혜성 기자 Helen@vanchosun.com

<2월 18일 공개된 빌리지 온 펄스 크릭 분양 가격>

브리지(Bridge)동
스튜디오: 34만9500달러~35만4900달러
스튜디오 플러스: 36만9900달러~38만9900달러
1 베드룸: 35만900달러~57만900달러
1베드룸 플러스: 45만9900달러~61만900달러
2베드룸: 72만9900달러~74만9900달러
2베드룸 플러스: 51만900달러~166만9900달러
3베드룸 플러스: 109만9900달러~191만9900달러
펜트하우스: 124만9900달러~176만9900달러
럭셔리 컬렉션: 279만9900달러~410만900달러(3베드룸 플러스, 2623~3482 평방피트)

카약(Kayak)동
스튜디오: 33만9900달러~37만9900달러
1베드룸: 32만9900달러~49만9900달러
1베드룸 플러스: 32만9900달러~59만9900달러
2베드룸: 49만9900달러~54만9900달러
2베드룸 플러스: 46만9900달러~179만9900달러
3베드룸 플러스: 127만5900달러~190만900달러
펜트하우스: 63만9900달러~73만9900달러
럭셔리 컬렉션: 215만900달러~359만9900달러(2&3베드 플러스, 1776~2800 평방피트)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집값 감당 가능한 캐나다 도시 TOP 15
1위 온주 썬더베이, BC는 순위권에 없어
대도시에서의 내 집 마련을 단념하고,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도시로 향하는 수요자들이 많아지고 있다. 이에 캐나다 부동산 중개업체 로얄 르페이지(Royal LePage)는 주별 중위 총...
옛 코퀴틀람 칼리지 부지··· 아직 초기 단계
임대주택 등 2500세대··· 보육공간 조성은 물음표
코퀴틀람 시의회가 노스로드 한인타운 인근에 7개동 고층 콘도 개발을 두고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   27일 코퀴틀람 시의회는 브룩미어 애비뉴에 위치한 7.2에이커 규모 부지에 고층...
메트로 밴쿠버 4개 부지에 주택 건설 추진
2단계 착수··· 오는 2026~2028년 완공 목표
메트로 밴쿠버에 시세보다 저렴한 임대 주택 670호(unit)가 앞으로 2년 내 추가로 공급될 예정이다. 데이비드 이비 BC 수상은 23일 정부와 메트로 밴쿠버 주택공사 간 주택 건설 파트너십의...
5년 만에 큰 폭 개선··· 시장 진입 늘어
소득 오르고 모기지 금리 떨어진 효과
캐나다의 주택구매여력(Housing affordability)이 주택가격 하락과 소득 상승, 낮은 금리에 힘입어 지난 분기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캐나다 국립은행(National Bank of Canada; NBC)이 16일...
BC 4월 주택 거래량 전년비 1.5% 증가
집값도 쑥··· 평균가 '100만 달러' 돌파
BC주 주택 시장의 매수 심리가 따뜻한 계절에 접어들면서 다시 살아나고 있다. 오는 6월 캐나다 기준금리가 인하될 것으로 예상되자, 부동산 시장의 분위기가 반전되기 시작한 것으로...
모기지 상품 대부분이 5년 이내 만기
고금리에 주택 소유자 재정 악화 불러와
캐나다의 고금리 정책이 장기화되면서 모기지 갱신을 앞둔 주택 소유자의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약정 기간(term)이 더 긴 모기지 상품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
주택에 임대용 ‘세컨더리 스위트’ 지으면 대출금 지원
최대 4만불 탕감··· 5년간 임대료 시세보다 낮게 받아야
BC주가 주택난 해결 방안 중 하나로 도입한 ‘세컨더리 스위트(secondary suite)’ 인센티브 3년 파일럿 프로그램이 2일 시작됐다.   세컨더리 스위트는 주택 내 임대용 분리 거주...
올해 BC 주택 경기 “시작은 완만, 끝은 강력”
금리 인하 시기 맞춰, 매수자 시장 진입 기대
올해 BC주의 주택 거래 열기가 연말 들어 점진적으로 고조될 것이란 새로운 전망이 나왔다. 25일 BC 부동산 협회(BCREA)는 2024 전망 보고서를 통해 BC주 주택 경기가 올해 상반기 완만한...
써리·랭리·포코 등 신규 주택 개발 속도↑
BC주정부가 심화하는 주거난에 대응하여 향후 5년간 더 많은 고성장 도시에 주택을 우선 공급한다. 라비 칼론 BC주택부 장관은 23일 성명을 통해 수요가 높은 20개 고성장 도시와 마을을...
지난달 주택 매매 전년비 9.5% 감소
관망 분위기 지속··· 1분기 실적은 양호
지난달 BC주 주거용 부동산 거래량이 모기지 금리 하락에도 불구하고 둔화 조짐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BC부동산협회(BCREA)가 15일 발표한 월간 시장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3월...
작년 신규주택 착공 실적 ‘사상 최고치’
“콘도미니엄·임대아파트 건설이 주도”
주택 공급의 선행지수라 할 수 있는 신규 주택 착공 실적이 지난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캐나다 모기지주택공사(CMHC)가 15일 발표한 주택건설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연방정부 “저활용 공공 토지에 임대 주택 건설”
‘세컨더리 스위트’ 짓는 집주인에 저금리 대출
2031년까지 신규 주택 387만 호 공급 기대
연방정부가 공공 토지를 적극 활용해 고질적인 주택난을 해결하겠다고 밝혔다.   저스틴 트뤼도 총리는 12일 기자회견을 열고, ▲더 많은 주택 공급 ▲더 쉬운 주택 임대 및...
새 집 첫 매입자 대상 ‘30년 모기지 상환’ 허용
RRSP 다운페이 인출 한도 ‘3만5천→6만 달러’
“RRSP 인출 후 상환도 5년 후부터 가능할 것”
앞으로 캐나다에서 신규 주택을 매입하는 첫 주택 구매자들이 보험 가입 없이도 모기지 ‘30년 상환’(30-year amortization)을 선택할 수 있을 전망이다. 크리스티아 프리랜드 연방...
무주택자 55% "가족 도움 없이 내집 마련 어려워"
주택 소유자도 고금리 압박에 허리띠 졸라매
캐나다 무주택자의 내집 마련 꿈이 점점 더 희박해지고 있는 모습이다.   CIBC가 11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주택을 소유하고 있지 않은 캐나다인의 76%가 앞으로 주택 시장...
6억 달러 투입해 모듈 주택 기술·설계 육성
주택 건설 속도 높여 주거난 해소가 목표
캐나다의 모듈식 주택과 조립식 주택의 개발을 확대하기 위한 ‘주택 건설 혁신 이니셔티브’에 6억 달러의 자금이 투입될 전망이다. 저스틴 트뤼도 총리는 5일 캘거리에서 기자회견을...
CMHC, 저금리에 매수자 몰리며 집값 오를 듯
BC·온타리오는 주택 착공 부족으로 공급난 직면
캐나다 집값이 오는 2026년에 사상 최고치를 경신할 것이란 새 전망이 나왔다. 캐나다 모기지주택공사(CMHC)가 4일 발표한 최신 주택시장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캐나다 주택 가격은 내년까지...
2024 예산안 공약··· 15억 달러 보호 기금 조성
BC 프로그램서 착안··· 저렴한 임대료 유지가 골자
트뤼도 정부가 임대 주택 세입자들의 주거 안정을 돕기 위해 15억 달러를 새롭게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저스틴 트뤼도 총리는 4일 위니펙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저렴한 임대 주택을 더...
3일 단기보유 부동산 양도세 법안 상정
통과되면 세금 2023-24년 과세 연도 소급
단기 매매 부동산 투기 방지를 골자로 하는 ‘주택 단기 보유 양도소득세’(home-flipping tax; HFT) 법안이 마침내 3일 상정됐다. 카트린 콘로이 BC재무장관은 이날 BC주 의회에서 ‘주택 단기...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