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올해 부동산 심사 숙고해야 합니다”

밴쿠버 조선 news@van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최종수정 : 2010-04-02 00:00

BC부동산 종합 박람회 개최하는 이상훈 대표

BC 부동산 종합 박람회를 개최하는 바이유엔터프라이즈 이상훈 대표와 이메일을 통해 박람회와 최근 시장 동향에 대해 문답을 나눴다.

오는 8일과 9일 밴쿠버 컨벤션 센터에서 열리는 무료 박람회는 한인들이 부동산 시장을 종합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권민수 기자 ms@vanchosun.com

 

문. 올해 6번째 부동산 박람회 입니다. 해마다 박람회 테마가 있는데, 올해의 테마는 어떻습니까?

“작년도 밴쿠버 부동산 시장의 가장 큰 화두는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였습니다.

미국발 경기침체가 밴쿠버 부동산 시장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느냐가 그 관건이었습니다. 그래서 작년에는 ‘Real Estate Market, still strong?’이 저희 박람회의 테마였습니다.

올해 캐나다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올림픽이었지요. 사람들도 관심사도 자연히 올림픽 이후에 캐나다 경기와 부동산 시장으로 이동하고 있고요. 따라서 올해 박람회의 테마는 ‘Does the Olympic heat the Real Estate Market?’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문. 밴쿠버와 서부 캐나다 부동산 시장에서 관계자들이 요즘 공통으로 나누는 화제가 있습니까?

“화제는 올림픽 이후 부동산 시장동향이지요. 하지만 이 또한 견해가 엇갈립니다. 두 가지 측면에서 말씀드릴수가 있겠습니다.

첫째로 부동산 경기가 계속 좋을 것이라는 전망인데요 이는 현재 콘도 시장에 활기를 띈 타이완 바이어를 중심으로 나오는 의견입니다. 타이완 바이어는 현금 동원력이 있기 때문에 부동산 시장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칩니다. 그런 타이완 바이어가 적극적으로 시장에 뛰어들면 경기는 올라갈 수 밖에 없게 됩니다.

둘째로는 경기가 한동안 정체될 것이라는 전망인데요, 올해 시행될 HST와 바뀐 모기지 기준법, 고용시장 악화, 유럽 경기침체, 캐나다화 강세 등으로 인해서 시장이 지금에 비해서 나아지기 힘들 것이라는 의견입니다.”

 

문. 박람회의 강연자 중 이 중 한 명에게만 개인적으로 부동산 시장에 대한 조언을 구할 수 있다면, 이 대표께서는 누구를 만나시겠습니까?

“경기 정책적인 면에서는 콜린 핸슨(Hansen) BC주 재무부 장관이 아무래도 최적격이겠지요.  경기 정책에 대해 누구보다 더 잘 알고 또 정부의 경기 정책이 시장에 가장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그런 측면에서는 핸슨 장관이 가장 좋지 않을까 합니다.

그리고 일반 시장에 대해서는 캐나다 주택보험공사(CMHC) 수석시장 분석가 로빈 애드맥(Adamache) 씨가 좋다고 생각합니다. 소비자의 요구나 경기 정보를 국가적인 차원에서 평가, 분석 하실 수 있는 분입니다”

 

문. 한인이 밴쿠버 부동산 시장과 관련해 박람회에 찾아와 꼭 봤으면 하는 부분이 있으십니까?

“한인들도 전체 밴쿠버 부동산 시장이 어떻게 돌아가는지를 알아야만 부동산 투자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하고 이득을 극대화 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본인이 개인적 아는 전문가하고만 상담하는 것보다 박람회장과 같이 각 지역별, 분야별 전문가가 모두 한군데 나와있는 곳에서 상담을 하면 좀 더 폭넓게 알 수 있게 되기 때문입니다. 투자에 대한 판단도 좀 더 정확하게 할 수 있겠지요.”

 

문. 밴쿠버 동계올림픽이 끝난 가운데, 아직 깨지기 쉬운 경기회복단계에 있는 현시점에 앞으로 올해 부동산 시장을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좀더 시간을 두고 심사숙고 할 필요가 있는 부분입니다.

앞에서도 말씀 드렸듯이 부동산 시장이 좋아질 요인들도 충분히 많이 있지만 현재 부동산 시장에는 위험요소가 너무 많습니다.

곧 시행될 HST나 모기지 기준법이 가장 좋은 예이지요. 당장 은행도 이자를 올리지 않았습니까. 은행이 이자를 올리게 되면 투자 심리가 위축이 되고 이는 시장이 주춤하는 원인을 제공할 것입니다.

또 미국발 서브 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아직 회복이 되고 있다고 명확히 말하기는 힘들고 유럽 경제도 수렁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캐나다 경제만 갑자기 붐~하고 좋아지기는 어렵지 않나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캐나다 달러의 강세도 이러한 투자 위축에 한 몫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캐나다 달러가 미화대비 98센트까지 치솟았습니다. 상대적으로 캐나다는 투자하기 비싼 나라가 되고 있다는 의미지요. 이런 정황을 봐서 부동산 시장에 투자할 때 심사숙고할 필요가 있지 않나 생각됩니다”

 

문. 일부에서는 올해 7월 HST도입과 앞서 모기지 대출 조건 강화가 부동산 시장에 악재가 될 것이란 전망이 있습니다. 어느 정도 충격이 가겠습니까?

“앞에는 제가 좀 부정적으로 말씀을 드렸지만 HST나 새로 시행될 모기지 기준법이 밴쿠버에 미칠 영향은 예상외로 약할 수도 있습니다.

그 이유로는 밴쿠버 부동산 시장은 지역적인 특성이 있습니다. 그 지역적 특성이라는 것이 밴쿠버에는 중국사람이 많지요. 중국 사람중에서도 특히 타이완 사람들, 이 사람들은 현금 파워가 있습니다. 현금 파워가 있는 사람들에게는 HST가 그렇게 큰 장애로 다가올것 같지는 않습니다.

전 BC주 부동산 시장이 한동안 주춤할 수 있지만 특히 중국 시장만은 주류를 벗어난 움직임을 보이면서 시장가치를 지속, 내지는 성장 시킬 가능성이 있습니다”

 

문. 캐나다 부동산 시장에 호재가 될만한 요인이 있습니까?

“대표적으로는 낮은 이자율이 있습니다. 아무리 중앙은행이 금리를 올린다고 해도 여전히 캐나다 금리는 세계 최저 수준입니다. 이러한 금리덕에 지금까지 부동산 시장이 이렇게 튼튼할 수 있었던 것이죠.

또 IMF 에서 전망한 캐나다 사람들의 GDP 성장 전망 역시 좋은 요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IMF는 2010년도 캐나다의 GDP를 약 1조4390억달러로 내다 봤습니다. 2011년에는 약 1조5110억달러, 2012년에는 약 1조5850억달러로 향후 상승률은 미국이나 한국에 비해 높은 중국과 비슷한 수준입니다.

세계 경제 분석가들도 캐나다 경제가 성장여력이 충분하다고 분석하고 있다는 결정적인 증거인 셈이지요.

이를 바탕으로 생각해 보면 경제력이 올라갈 수록 투자 심리역시 올라갑니다. 앞으로 캐나다 시장이 계속 성장세를 기록한다면 이는 자연적으로 캐나다 부동산 시장에는 호재일 수 밖에 없다는 이야기지요.

하지만 위 같은 요인이 앞에 나와있는 좋지 않은 요인들을 타개할만한 확실한 호재라고는 보기 힘들 수 있습니다”



밴쿠버 조선일보가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기사의 저작권과 판권은 밴쿠버 조선일보사의 소유며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허가없이 전재, 복사, 출판, 인터넷 및 데이터 베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이제 신문도 이메일로 받아 보세요! 매일 업데이트 되는 뉴스와 정보, 그리고
한인 사회의 각종 소식들을 편리하게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 신청하세요.

광고문의: ad@vanchosun.com   기사제보: news@vanchosun.com   웹 문의: web@vanchosun.com

유권자 10% 서명 넘었지만, 앞으로 먼 길
통합소비세(HST) 도입반대 주민청원 운동을 통해 접수된 서명이 BC주 안에서 30만건을 넘었다고 4일 파이트HST 크리스 델라니(Delaney)간사가 밝혔다.
해리 블로이(Bloy) BC주의원(MLA)이 주의회에서 7월 27일을 ‘BC주 한국전 참전용사의 날(British Columbia’s Korean War Veterans Day)’ 제정을 지난 29일 건의했다. 블로이 의원은 BC주 대(對)한국사회 연락담당자로 메트로 밴쿠버의 한인교민사회와 인연이 깊다. 블로이 의원은...
5월은 캐나다가 제정한 ‘아시아 전통문화의 달(Asian Heritage Month)’다. 아시아계 캐네디언들이 지켜온 역사를 축하하고, 각 나라의 문화를 적극 홍보하는 기간이다. 캐나다 정부는 2002년 5월에 공식적으로 아시아 전통문화의 달을 공식 제정했다. 미국보다는 23년...
BC주의 각 교육청은 수요에 따라 평생교육 프로그램(Continuing Education)을 마련해놓고 있다. 무료로 수강할 수 있는 ESL, ELSA, 고등학교 학과목 프로그램을 비롯해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사무보조, 전산회계 등의 자격증 프로그램이나 요리, 정신 수양 운동 등의 여가...
43개 학교에서 학생들 가르쳐… 경찰 “피해 더 있을 것”
지난 3월 10일 코퀴틀람 연방경찰(RCMP)은 한 학생의 부모로부터 교사가 학생을 성추행한다는 신고를 받았다. 부모의 신고로 수사를 시작한 경찰은 같은 날 2명의 피해자가 더 있는 것을 알아냈다
반대 주민청원 운동도 활발
통합소비세(HST)도입 내용을 담은 법안이 BC주의회에서 29일 쾌속 결의됐다.
"미술로 중∙장년 층 삶에 모티브를 제공합니다" 캐나다 자연 미술학교 박봉택 원장   인터뷰를 위해 ‘캐나다 자연미술학교’를 찾았다. 조금 이른 시간에 도착해서 기다리는데...
필리핀·베트남·인도·한국계 언론인들 초청
원탁회의에는 밴쿠버 내 필리핀·베트남·인도계 라디오 방송 대표들과 한국 교민신문 기자들이 초청됐다...
지난 4월 말, 한국기자협회가 주최한 제9회 재외동포기자대회에 1주일 간 참가했다. 이튿날 에는 한국관광공사가 준비한 점심식사가 일정에 포함되어 있었다. 식사 시간에 배정된 자리는 마침 지난해 7월 새로 부임한 한국관광공사 이참 사장 옆자리였다. 이사장은...
홀트 렌프류(Holt Renfrew)가 밴쿠버 다운타운점에서 로스 앤젤레스 남성의류 라인인 Smooth Co. 론칭행사를 지난 23일 가졌다. 이날 행사에는 로스 앤젤레스를 배경으로 한 MTV의 리얼리티...
밴쿠버 컨벤션 센터에서 ‘그로서리 쇼케이스 웨스트 2010(Grocery Showcase West 2010)’가 4월 25일과 26일 양일간 진행됐다. 해마다 열리는 행사로 올해 25회째를 맞았다. 350여개의 업체가 참여해 무료로 정품이나 샘플을 제공하며 자사 제품을 홍보했다. 올해는 소비자를...
매트로 밴쿠버에 매출 높은 인쇄소들
메트로 밴쿠버 인쇄소의 일감은 ▲업소용 전단과 카탈로그 ▲업무용 양식과 서류 ▲신문∙잡지 3가지로 나뉜다.
BC주에서 무료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영리 자선단체 Access Justice와 Pro bono Law B.C.가 지난 4월 1일에 정식 합병하여 Access Pro bono라는 이름으로 새로 출범했다. Access Justice는 변호사 선임료를 부담할 수 없는 저소득층에 무료 법률상담 서비스로 봉사했고, Pro bono Law B...
BC주정부가 BCIT에 44만7400달러의 재정 지원을 하겠다고 28일 보도자료를 통해 밝혔다. BCIT의 초음파 검사자 양성 디플로마 프로그램(Diagnostic Medical Sonography: 풀타임·2년 과정) 정원을 현재 24명에서 89명으로 2배 늘이기 위해서다. BCIT는 BC주에서 유일하게 현재 초음파...
캐나다에 난민 신청하며 버텨… 대법기각
주밴쿠버 총영사관(총영사 서덕모)은 한국에서 사기로 약 80억원 피해를 입히고 밴쿠버로 도피했던 조수남씨(여∙56세)가 한국-캐나다 범죄인 인도협약에 따라 28일 한국으로 송환됐다고 밝
“새 경제적 기회 있을 것”
BC주정부는 27일 주립공원(provincial park) 7곳을 새로 A급 공원(Class A)으로 승급하고 자연보호구역(conservancy) 1곳을 새로 정하는 법안(의안 15)을 주의회에 상정했다.
다른 교육청도 봄방학 연장 검토 중 주정부의 교부금 삭감에 대책 고심
BC주정부와 교육 교부금 씨름을 벌여온 메트로 밴쿠버내 각 교육청이 수업 일수를 줄이거나 줄일 것을 검토하고 있다.
7월부터 이용하는 서비스에 과세
통합소비세(HST) 정식 도입은 7월1일부터 이지만, BC주정부는 5월1일부터 7월 이후 이용하게 되는 상품∙서비스를 결제할 때 HST를 부과할 방침이다.
연간행사인 그로서리 쇼케이스 웨스트(GSW)가 지난 25일과 26일 밴쿠버 컨벤션 센터에서 열렸다. 행사에는 350여개의 업체가 참여해 무료로 정품이나 샘플을 제공하며 자사 제품을 홍보했다. 올해는 소비자를 고려해 안전하고 발상을 전환한 식품을 내놓는 경향이...
밴쿠버 웨스트 커리스데일 아레나에서 지난 18일과 19일에 골동품을 전시판매하는 앤티크 페어가 열렸다. 색은 살짝 바랬지만 고풍스러운 18세기 영국에서 건너온 주방 용품을 비롯해 영국의 정치가 윈스턴 처칠 조각상, 고서적, 찻기 세트 등 다양한 희소가치가...
 1251  1252  1253  1254  1255  1256  1257  1258  1259  1260